고서·고문서 11,066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31〉 敎材觀 鄕土の自然を歌つた代表的な敎材である. 金剛山を見た者は勿論, 見ざる者と雖も朝鮮に於ける金剛山を知らぬ者はない. 金剛山は鄕土の誇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32〉 [ 一 ] 雲をしのいで そびゆる巖山(いはやま) くれなゐ黄色(きいろ) 色づくもみぢ葉(は) そよ風吹(ふ)けば ひらひら散(ち)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金剛山打鈴금강산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8〉 [ 1 ] 산은 놉다 골도 깁다 그늘마다 머루나 다래 줄줄이 쌍쌍 줄줄이 쌍쌍 열엿고나 피엿네 열녓고나 피여 에헤루에
    구분창가 | 편저자洪鍾起
  • 金剛山이 조흘시고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a〉劉道順〈/a〉 〈co〉金駿永〈/co〉 〈ar〉金駿永〈/ar〉 〈s〉미스‧코리아〈/s〉 〈b〉伴奏 日本콜럼비아管絃樂團〈/b〉 〈p
    구분신민요
  • 金剛石 水は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0〉 [ 一 ] 金剛石(こんがうせき)も みがかずば 珠(たま)のひかりは そはざらん 人(ひと)も學(まな)びて 後(のち)にこそ まことの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金剛石 水は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0〉 [ 一 ] 金剛石(こんがうせき)も みがかずば 珠(たま)のひかりは そはざらん 人(ひと)も學(まな)びて 後(のち)にこそ まことの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金剛石 水は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0〉 [ 一 ] 金剛石(こんがうせき)も みがかずば 珠(たま)のひかりは そはざらん 人(ひと)も學(まな)びて 後(のち)にこそ まことの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金剛石 水は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0〉 [ 一 ] 金剛石(こんがうせき)も みがかずば 珠(たま)のひかりは そはざらん 人(ひと)も學(まな)びて 後(のち)にこそ まことの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金剛石(こんごうせき) 水(みず)は器(うつわ)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mn〉오선보, 가사가 반복해서 기록됨〈/mn〉 〈#21〉 金剛石(こんごうせき)もみがかずば, 珠(たま)のひかりはそは(わ)ざらん. 人(
    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金剛石(コンコウセキ)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 金剛石(コンコセキ)モ磨(ミガ)カズバ、玉(タマ)ノ光(ヒカリ)ハ添(ソ)ハザラン、人(ヒト)モ學(マナ)ビテ後(ノチ)ニコソ、眞(マコト)ノ德(トク
    구분잡가 | 편저자노익형
페이지 / 110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