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11,066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mn〉오선보 있음〈/mn〉 〈#7〉 [ 一, ] 녯 도화동(桃花洞) 한 가뎡(家庭)에 그의 식구(食口) 세[三] [人] 게집 아
    구분창가 | 편저자李尙俊
  • 沈淸歌 화초가(花草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67] 팔월부용군자룡에 만당추수홍연화며 암향부동월황혼에 소식 젼튼 한메화요 진시유랑거후재라 붉어잇는 복송화며 월증텬향단계자에 향문십리 개화
    구분잡가 | 편저자洪鍾起
  • 沈淸歌(심청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e〉(클레멘트曲과 同一)〈/e〉 〈#34〉 녯 도화동(桃花洞) 한 가뎡(家庭)에 그의 식구(食口) 세 사람[三人] 계집 아해(兒孩) 심청
    구분창가
  • 〈a〉金英載〈/a〉 〈#25〉 [ 一 ] 어린 누나 심청이 불상하지요 압 못 보는 아버지 눈을 랴고 공양미라 삼석 몸이 팔니여 치
    구분창가
  • 沈皇后思親歌(편지 쓰난 데)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52] 秋月(추월)은 滿庭(만뎡)하야 珊瑚珠簾(산호주렴)에 빗치여 들 제 靑天(쳥텬)에 져 기럭이난 月下(월하)에 놉히 서 루…룩 ―ㄹ
    구분잡가 | 편저자듸-‧제-‧핸드포-드
  • 女(じょ)子(し)の務(つとめ)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23〉 [ 一、 ] 朝(あさ)な夕(ゆう)なにうまず働(はたら)き、 花(はな)の衣(ころも)もあだには着(つ)けず、 洗(せん)濯(たく)裁(さ
    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女(ぢょ)子(し)の務(つとめ)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58〉 [ 一, ] 朝(あさ)な夕(ゆう)なにうまず働(はたら)き, 花(はな)の衣(ころも)もあだには着(つ)けず, 洗(せん)濯(たく)
    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旅浪の唄 (放浪歌曲譜와同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36〉 [ 1 ] 船は港に 日は西に いつも日暮れにや歸るのが 枯たれ我身は野に山に 何が戀しうて寢ののやう [ 2 ] 捨てた故鄕は惜し
    구분창가 | 편저자洪鍾起
  • 〈m〉Allegro Moderato〈/m〉 〈m〉깃붐에 넘치는 氣分으로〈/m〉 〈#1〉 [ 1 ] 봄이― 왓네 봄이― 왓네 無窮花 江山
    구분창가 | 편저자朴容九
  • [185] 天地鴻濛 開闢初에 靈秀之氣 鍾毓야 銀河 속 扶桑 압헤 朝鮮이 되엿셰라 職方氏 그림으로 地界를 삷혀 보니 分野 箕尾 되고 地形은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페이지 / 110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