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659,610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君於大夫,將葬,弔於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鄭云:“出,謂柩已在路。” ○孔云:“君或來弔,參差早晩,不必恒在殯宮。或當朝廟明日將發之時,亦如柩出殯宮,命引之三步。” ○箴曰 柩旣朝廟,直自廟門,出于
    권차명喪禮外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君牙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H_53:1 “曰怨咨”, 卽牧民之官以民隱告王也.
    서명서경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君臨臣喪,以巫祝桃茢執戈,惡之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鄭云:“已襲,則止巫,去桃茢。” ○孔云:“〈喪大記〉,‘大夫之喪,將大斂,君往,巫止于門外,祝先入。’ 又〈士喪禮〉,大斂而往,‘巫止于廟門外,祝代之。小
    권차명喪禮外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君視臣如手足臣視君如腹心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引證 《儀禮ㆍ喪服》傳曰:“大夫爲舊君,何以服齊衰三月也?大夫去君,埽其宗廟。故服齊衰三月,言與民同也。何大夫之謂乎?言其以道去君而猶未絶也。”【注云:“三
    권차명孟子要義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君賜食,必正席先嘗之。君賜腥,必熟而薦之。君賜生,必畜之。侍食於君,君祭,先飯。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邢曰:“賜食,謂君以熟食賜己。” ○朱子曰:“席固正矣。至此又正,以爲禮也。” ○邢曰:“先品嘗之,【〈膳夫〉注云:“每物皆嘗之。”】 敬君惠也。”【孔氏云
    권차명論語古今注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君遇柩於路,必使人弔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胡銓云:“若齊侯哭敝無存之類。” ○箴曰 定九年秋,“齊侯伐晉夷儀。敝無存先登,死於門霤之下。齊侯求得其尸,三襚之,與之犀軒,親推其車。” 【見《左傳》】
    권차명喪禮外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君陳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H_49:1 “入告順外”, 葛眞以成王之失言者, 過矣. 蓋君陳歸美於上則忠也, 乃成王則又敷告之曰: “此君陳之謀猷而歸美於我, 故人必不知其實. 非我, 卽君陳爲之.” 此上又歸美於下也, 豈非君臣兩得其道乎? HCBH_49:2 “修”, “不修”在事, 可以執跡以簡別...
    서명서경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君不見東園桃李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5] 아사라 世上事 쓸데업다 君不見東園桃李片時春을 娼家 少婦야 웃들 마소 大丈夫 平生事業 거연히 지냇구나 東流水 구비구비 물결은 밧비밧비
    구분잡가 | 편저자朴寅秀
  • 吝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屯  六三    往吝。【窮也】 蒙  初六    以往吝。 蒙  六四    吝。【獨遠實也】 同人 六二    吝。 蠱  六四    吝。【往
    권차명周易四箋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吳二臨川小民事母至孝一夕有神見夢曰汝明日午刻當爲雷擊死吳以老母在堂乞救護神曰受命於天不可免也吳恐驚其母凌晨具饌以進白云將他適請暫詣妹家母不許俄黑雲起日中天地冥暗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