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히라타 고에몬(平田幸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1709년에 팔송사(八送使) 세견 제1선의 정사(正使)로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나오에몬(平田直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쓰시마번의 가로(家老). 본명은 사네가타(眞賢). 1685년 번주의 명에 따라 스야마 쇼에몬(陶山庄右衛門), 가노 고노스케(加納幸之助) 두 유학자와 함께 『종씨가보(宗氏家譜)』를 편집했다. 안용복 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젊은 나이에 쓰시마번의 도시요리(年寄)로 근무했...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나이젠(平田內膳)[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내선(平田內膳). 히라타 나이젠(平田內膳)은 혹은 히라타 나오에몬(平田直右衛門)이라고도 하고 조선 쪽 기록에서는 평방태(平方泰)라고도 한다. 1725년 6월 관백입저고경대차왜(關白立儲告慶大差倭) 도선주로 조선에 파견되었다. 1728...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나이젠(平田內膳)[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번태(平蕃泰)라고도 한다. 1760년 2월부터 1762년 4월까지 62대 관수(館守)였다. 홍명한(洪名漢)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종왜(從倭) 8명 등과 함께 조선에 왔다가 1762년 4월에 사망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다이토(平田帯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대도(平田帯刀) 에도시대 후기의 쓰시마번의 관리. 평전대도(平田帯刀). 평질직(平質直)라고도 하며, 1817년 4월부터 1820년 3월까지 86대 관수(館守)였다. 조봉진(趙鳳振)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종왜(從倭) 8명...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다카노부(平田喬信)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관리. 평전교신(平田喬信). 히라타 하야노스케(平田隼之允) 넷째 아들이고, 통칭은 루이에몬(類右衛門)이다. 쓰시마 후추번(對馬府中藩) 가로(家老)였다.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從事官) 이방언(李邦彦)...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모자에몬(平田茂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무좌위문(平田茂左衛門). 1692년 11월에 쓰시마에서 도주 소 요시자네(宗義眞)의 퇴휴(退休)를 알리기 위해 도주퇴휴고지차왜(島主退休告知差倭) 히라타 하야토(平田準人, 平眞幸)를 파견하였는데, 이때 도선주(都船主)로서 봉진압물(封進押物)...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미키노조(平田造酒允)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조주윤(平田造酒允). 1707년 팔송사(八送使) 부특송사의 정사(正使)로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사추(平田左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좌중(平田左中).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쓰시마번(對馬藩)의 관리인 쓰지게치...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세이(平田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제(平田齊).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번장(平蕃長)으로 되어 있다. 1765년 6월에 쓰시마도주 소 요시나가(宗義暢)의 도서청개대차왜(圖書請改大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도선주(都船主) 아오야기 젠에몬(靑柳善右衛門, 藤直淸)...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쇼겐(平田將監)[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장감(平田將監).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성태(平誠泰)로 되어 있다. 1733년 3월에 신도주승습고경봉행대차왜(新島主承襲告慶奉行大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도선주(都船主) 가조 리쿠노신(加城陸之進, 平正英), 봉진압물(奉進押物)...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쇼겐(平田將監)[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장감(平田將監). 쓰시마번(對馬藩) 번주(藩主)의 가신. 1764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통...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쇼자에몬(平田所左衛門)[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소좌위문(平田所左衛門). 평성상(平成尙)라고도 한다. 1675년 7월부터 1679년 1월까지 17대 관수(館守)였다. 어진익(魚震翼)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왜(伴從倭) 8명과 격왜(格倭) 40명 등과 함께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쇼자에몬(平田所左衛門)[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소좌위문(平田所左衛門). 평상지(平尙智)라고도 한다. 1709년 11월부터 1711년 2월까지 34대 관수(館守)였다. 권이진(權以鎭)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종왜(從倭) 8명과 함께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쇼자에몬(平田所左衛門)[3]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소좌위문(平田所左衛門). 평상치(平尙致) 혹은 평여량(平如亮)라고도 한다. 전대 관수왜 니이 마고에몬(仁位孫右衛門)이 병에 걸려 사망하여 1724년 10월부터 1726년 10월까지 42대 관수(館守)로 파견되었고, 조석명(趙錫命)이 동래...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쇼자에몬(平田所左衛門)[4]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소좌위문(平田所左衛門). 평여임(平如任)라고도 한다. 1758년 5월부터 1760년 4월까지 61대 관수(館守)였다. 그 후 1763년 통신사행 때 재판차왜로 배행하기도 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슈덴(平田主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주전(平田主田). 1795년 6월에 관백입저고경대차왜(關白立儲告慶大差倭) 정관(正官) 히구치 미노(樋口美濃, 平暢朝)가 왔는데, 이때 봉진압물(封進押物) 나카가와 요스케(中川要助), 그리고 시봉(侍奉) 2인, 반종(伴從) 16명, 격왜(格...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이쓰키(平田齋宮)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제궁(平田齋宮). 평성구(平成久)라고도 한다. 1646년 4월에 격왜(格倭) 11명을 거느리고 홋코쿠(北國)에 표류한 왜인을 들여보내는 일에 대해 서계의 개찬(改撰)을 재촉하기 위해 도항하였다. 서계는 에치젠(越前) 상인을 태운 3...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하야토(平田準人)[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준인(平田準人). 조선 측 자료에는 평진행(平眞幸)으로 기록되어 있다. 1682년에는 호행차왜(護行差倭) 정관(正官)으로 통신사를 배행했다. 1692년 소 요시자네(宗義眞)의 퇴휴차왜(退休差倭) 정관으로 조선에 도해하였다. 1711년에...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하야토(平田隼人)[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준인(平田隼人).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창상(平暢常)으로 되어 있다. 1787년 7월에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즉위를 알리는 관백승습고경차왜(關白承襲告慶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도선주(都船主) 가와치 시치에몬(河內柒右衛門...
    유형분류인물
  • 히로 슌쿄(廣春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자(儒者). 광춘행(廣春杏). 자는 기린(希林), 호는 시우네(芝畦). 1764년 정사(正使) 조엄(趙曮) ‧ 부사(副使)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從事官) 김상익(金相翊) ‧ 제술관(製述官) 남옥(南玉) 등 통신사(通信使) 일행이 쇼군 도...
    유형분류인물
  • 히로마쓰 모스케(廣松茂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광송무조(廣松茂助).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조선어통사로 수행하였다. 171...
    유형분류인물
  • 히로세 가이키치(廣瀨魁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함장(艦長). 광뢰괴길(廣瀨魁吉).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일행이 부산항에서 나가사키항(長崎港)으로 건너갔을 때 탑승한 함선 안네이마루(安寧丸)의 함장(艦長)이다. 1881년 4월 8일 조사시찰단 일행이 안네이마루에 올라탔을 때, 육군어학생(陸軍語學...
    유형분류인물
  • 히로세 요시유키(廣瀨好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자(儒者). 광뢰호지(廣瀨好之). 1764년 정사(正使) 조엄(趙曮) ‧ 부사(副使)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從事官) 김상익(金相翊) ‧ 제술관(製述官) 남옥(南玉) 등 통신사(通信使) 일행이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
    유형분류인물
  • 히로시마(廣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주고쿠(中國) 중부에 있는 히로시마현(廣島縣). 광도(廣島). 세토나이카이(瀨戶內海)에 인접해 있으며, 광릉(廣陵)이라고도 한다. 에도시대의 아키(安藝) ∙ 빈고(備後) 2국(國)을 점하고 있었으며, 북동부는 기비코겐(吉備高原), 남부의 세토나이카이를 따라 히...
    유형분류지명
  • 히로시마마루(廣島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증기선. 광도환(廣島丸). 1881년 4월 26일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일행이 고베(神戶)에서 요코하마(橫濱)로 향할 때 탑승한 비각선(飛脚船)이다. 이 때 출발하기 전에 오사카협동상회(大阪協同商會) 사장 다카노 겐조(高須謙三)가 배에 올라타서 작별인...
    유형분류물품도구
  • 히로쓰 히로노부(廣津弘信)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외교관. 광진홍신(廣津弘信). 현재의 후쿠오카현(福岡縣) 출신. 슌조(俊蔵)라고도 하였다. 의사 마다 쇼초(馬田昌調)의 아들. 나가사키(長崎)에서 서양의학을 배우는 등 서양문명을 접하였으며, 메이지유신 이후 외교관으로서 조일외교에 관여하였다. 187...
    유형분류인물
  • 히로우치 기자에몬(廣內儀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에 참전한 무장. 광내의좌위문(廣內儀左衛門). 히로우치 기자에몬의 아들 히로우치 고로베에(廣內五郞兵衛)의 가보에는 마스다 나가모리(增田長盛)의 가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 후 세키가하라(關ヶ原) 전투에서도 공적을 남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유형분류인물
  • 히비 지슈(日比自周)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의원(醫員). 일비자주(日比自周). 성은 히비(日比), 이름은 보(某), 자는 쇼호(正甫). 나니와(浪華, 오사카) 출신. 일비자주재(日比自周齋)라고도 하였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유형분류인물
  • 히비(日比)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오카야마현(岡山縣) 남부 다마노시(玉野市) 히비(日比). 일비(日比). 에도시대에는 비젠국(備前國)에 속하였고, 세토나이카이(瀨戶內海) 항로에서 순풍(順風)이나 밀물을 기다리는 항구로 번창하였다. 1643년, 1711년, 1719년 통신사행 때에 사신 일...
    유형분류지명
  • 히사노 사부로자에몬(久野三郞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관리. 구야삼랑좌위문(久野三郞左衛門).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부사 황선(黃璿),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가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통신사에게 예를 행하기 위해 오와리추나...
    유형분류인물
  • 히사미즈 사부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1857년 아오모리(靑森)현에서 태어났다. 1871년 공진생후보(貢進生候補)로 번비유학생(藩費留學生)이 되었다. 훗카이도 개척사(北海道開拓使) 관비생 및 외무성 외교견습생을 지냈다. 1882년 서울에서 근무할 것을 명받았다. 임오군란 당시 조선의 정확한 상황을 파...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히사카즈 다로자에몬(久和太郞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구화태랑좌위문(久和太郞左衛門).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성목(平成睦)으로 되어 있다. 1659년에 도주의 부특송선(副特送船)의 부관(副官)으로서, 정관(正官) 평성상(平成尙) ‧ 도선주(都船主) 등성위(藤成爲) ‧ 이선주(二船主) 등성...
    유형분류인물
  • 히사카즈 야고자에몬(久和彌五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구화미오좌위문(久和彌五左衛門).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중정(平重正)으로 되어 있다. 1671년 9월에 쓰시마에서 봉진압물(封進押物) 1인, 반종(伴從) 3명, 격왜(格倭) 40명 등과 함께 서계를 지참하고 도항하였다. 쓰시마에 표류...
    유형분류인물
  • 히요시마루(日吉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왜관에 보낸 쓰시마의 쌀 수송선. 일길환(日吉丸). 왜관에 갔다가 쓰시마로 돌아갈 때 항상 쌀을 싣고 갔기 때문에 일본 측에서는 어미조선(御米漕船)이라고도 한다. 이때 쌀은 공작미(公作米)로 대일 공무역(對日公貿易)에서 공무역품 수입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지급하던 ...
    유형분류물품도구
  • 히자 간후(膝雁阜)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슬안부(膝雁阜). 슬목이(膝目夷)라고도 하였다.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曺命采)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유형분류인물
  • 히젠(肥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이키(壹岐) ∙ 쓰시마를 제외한 사가현(佐賀縣) ∙ 나가사키현(長崎縣)의 대부분 지역. 비전(肥前). 히젠국(肥前國)이라고도 하며, 히고국(肥後國)과 합쳐서 히슈(肥州)라고도 하였다. 율령제(律令制) 하에서는 사이카이도(西海道)에 속하였는데, 1871년 폐번...
    유형분류제도
  • 히케시(火消)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의 소방 조직. 화소(火消). 다이묘히케시(大名火消) ‧ 조히케시(定火消) ‧ 마치히케시(町火消) 등의 조직이 있었고, 통신사 일행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소방대책을 담당하였다.
    유형분류제도
  • 히코네(彦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시가현(滋賀縣) 비와코(琵琶湖) 동안(東岸)에 있는 히코네시(彦根市). 언근(彦根). 에도시대에는 오미국(近江國)에 속하였다. 조선 후기 통신사행 가운데 1617년과 1811년을 제외한 나머지 사행 때마다 사신 일행이 이곳에 묵었다. 1763년 정사...
    유형분류지명
  • 히코베 기자에몬(彦部儀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관리. 언부의좌위문(彦部儀左衛門). 마쓰다이라 무네토시(松平宗俊)의 가신.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부사 임수간(任守幹)・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
    유형분류인물
  • 히코사카 모토아키(彦阪元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언판원명(彦阪元明). 자는 시쇼(子章), 단바(丹波) 출신.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
    유형분류인물
  • 히코사카 시게노리(彦坂重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관리. 언판중구(彦坂重矩). 혹은 히코사카 이키노카미 시게노리(彦坂壹岐守重矩).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부사 이언강(李彦綱)・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쓰나요시(德川綱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을...
    유형분류인물
  • 히코사카 시게쓰구(彦坂重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관리. 언판중소(彦坂重紹). 다이묘(大名) 및 조정(朝廷)을 감시하는 직임인 오메쓰케(大目付)와 오사카마치부교(大阪町奉行)를 역임하였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통신사가 도쿠가와 쓰...
    유형분류인물
  • 히코자카 시게하루(彦坂重治)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관리. 언판중치(彦坂重治). 히고자카 이키노카미(彦坂壹岐守). 1661년에서 1677년까지 오사카마치부교(大阪町奉行), 1680년에서 1687년까지 막부의 재정을 담당한 간조부교(勘定奉行)를 지냈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
    유형분류인물
  • 히키 조자에몬(比企長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관리. 비기장좌위문(比企長左衛門). 1707년 무사시국(武藏國)에 있었던 신노지촌(眞能寺村)의 다이칸(代官)이었다.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유형분류인물
  • 히토미 도겐(人見桃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학자(漢學者). 인견도원(人見桃原). 히토미 긴(人見沂)이라고도 한다. 히토미 지쿠도(人見竹洞)의 아들이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쓰나요시(德川綱吉)의 습...
    유형분류인물
  • 히토미 로슈(人見鷺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한시인(漢詩人). 인견노주(人見鷺洲). 인견호(人見浩) ∙ 인견의수(人見義樹) ∙ 인견칠랑우위문(人見七郞右衛門)로도 알려져 있고, 『해유록(海游錄)』에는 야노주(野鷺洲)라고 하였으며, 야호(野浩)의 자는 언호(彦浩), 호는 노주(鷺洲)라고 하였...
    유형분류인물
  • 히토미 모토카메(人見元龜)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인물. 인견원귀(人見元龜). 호는 긴켄(琴軒). 히토미 지쿠도(人見竹洞)의 맏아들. 하야시 호코(林鳳岡)의 문하에서 배웠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통신사 일행이 제5대 쇼군 ...
    유형분류인물
  • 히토미 모토히로(人見元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인물. 인견원호(人見元浩). 호는 고젠도(浩然堂), 별호는 고잔(香山), 통칭은 시치로자에몬(七郞左衛門). 히토미 지쿠도(人見竹洞)의 조카. 인견야호(人見野浩) ∙ 향산야호(香山野浩)로도 알려져 있고, 『통항일람(通航一覽)』에는 인견 칠랑좌...
    유형분류인물
  • 히토미 셋코(人見雪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한시인(漢詩人). 인견설강(人見雪江). 본성은 오노(小野), 뒤에 노(野)로 바꿈, 이름은 가쓰(活), 자는 고사쓰(行察), 별호는 다이토(帶刀). 하야시 호코(林鳳岡)의 문하에서 배웠다.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
    유형분류인물
  • 히토미 유세쓰(人見友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인물. 인견우설(人見友雪). 호는 세키케이(石溪). 히토미 지쿠도(人見竹洞)의 둘째아들. 하야시 호코(林鳳岡)의 문하에서 배웠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통신사 일행이 제5대 쇼...
    유형분류인물
  • 히토미 지쿠도(人見竹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유학자. 인견죽동(人見竹洞). 본성(本姓)은 오노(小野), 이름은 세쓰(節), 자는 기케이(宜卿), 별호는 가쿠잔(鶴山), 통칭은 유겐(友元) ∙ 마타시치로(又七郞). 교토 출신. 궁중의사(禁裏の医師)의 아들. 히토미 보쿠유켄(人見卜幽軒)의 조카....
    유형분류인물
  • 히토쓰야나기 나오모리(一柳直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아즈치모모야마시대(安土桃山時代)의 무장. 일류직성(一柳直盛) 초명은 미쓰마사(三政), 이름은 나오모리(直盛), 통칭은 시로에몬(四郞右衛門). 미노(美濃)출신이다. 1590년 형이 사망하여 가독이 되어,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에게 오와리(尾張) 구로다성(黑...
    유형분류인물
  • 힐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철목족의 우두머리. 유주 일대를 장악하고 대연(大燕) 황제를 자칭한다. 강을 건너 명나라 황제를 위협하나 서몽상이 이끄는 군대에게 참패당한다. 용성왕에게 도움을 청하여 함께 몽상에게 대적하나, 몽상의 화공을 이기지 못하고 달아나다 붙잡혀홍의보에게 참살당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힐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힐향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왕묘제악(關王廟祭樂)의 음악.
  • 힘의 재인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1년 12월 《동광》 제28호에 발표된 이광수(李光洙, 1892-1950)의 논설.
    정의1931년 12월 《동광》 제28호에 발표된 이광수(李光洙, 1892-1950)의 논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im ui jaeinsik | MR표기Him ŭi chaeins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힘의 철학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서는 힘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안창호(安昌浩, 1878-1938)의 사상.
    정의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서는 힘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안창호(安昌浩, 1878-1938)의 사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im ui cheolhak | MR표기him ŭi ch’ŏr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舟車等說, 戎陣, 軺軒, 佛狼機, 踏車舡, 雙輪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5권 1장 6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玳瑁, 介蟲, 四靈, 蔡, 洛龜呈書, 龜卜, 龜人, 吉凶, 千歲, 解人語, 神龜, 五色, 北斗龜, 南辰龜, 五星龜, 八風龜, 二十八宿龜, 月龜,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0권 2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紅巾之亂, 東史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7권 2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巧匠, 牛頭旃檀, 佛像, 供養, 禮拜, 波斯國王, 如來, 形體, 眞金, 紫磨, 五尺餘, 二像, 眼, 葡萄朶, 耳, 捲樺皮, 鼻, 雙爪甲, 舌,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磨之之法, 身體, 裝飾品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7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5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史牒, 正音, 日用恒用文字, 俗音, 三能, 倒景, 觜觿, 娵訾, 虹, 彴約, 烈缺, 木介, 胐, 昒爽, 日昳, 炎歊, 孟陬, 欃槍, 顥氣, 雩宗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2권 14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己卯之禍, 遺疏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5권 1장 8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廢母之議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7권 1장 5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金桐木, 樗皮, 琴, 海桐皮, 奄木, 儼木, 鵲不踏木, 鵲不停木, 藥材, 木疣, 棘, 金桐木皮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8권 4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封禪, 玉牒書, 受命, 受命之璽, 璽, 石檢, 金繩纏, 水銀, 金, 玉匱, 上帝之冊, 檢首, 書函, 檢冊, 帙簽, 檢, 撿, 燕尾, 書帖簽, 排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7권 8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抗禮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6권 1장 4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能書, 好佛, 隱居, 隸、行、草, 頭陀行, 金生寺, 昌林寺碑, 帝釋, 安養寺額, 靑龍寺額, 昌林寺碑, 蓮臺寺, 龍, 金生面, 金生灘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7권 3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騷雅淹博之士, 嗜古之士, 古鍾鼎款識, 梨棗, 宋槧, 攸好之性, 汲古之志, 金石款識, 字書, 篆籒, 商畫, 蠆鼎, 祖庚爵, 庚爵, 宗廟之器, 金石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1권 3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銀精石, 金星, 膠東, 雁門, 礞石, 金星礜石, 銀星礜石, 礐石, 翡翠石, 金星石, 藥方, 太陰玄精石, 唐材, 藥局, 信香方, 養精神, 通神明,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1권 2장 3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民間, 官府, 鹽鐵, 祕藏, 寶貨, 黃金, 百金, 漢之金, 秦金, 浮圖祠, 金字, 佛事, 佛法, 銅鐵, 通行之貨, 珠玉, 龜貝, 銀錫, 器飾,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권 1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金砂, 黃金, 金脈, 金粒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권 1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文士, 擢第, 六卿, 吊義帝文, 寓意, 史草, 廢王, 遷葬, 史家, 常規, 腹中劒, 毛底疵, 太煞, 不諱, 罪網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9권 1장 9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花魚, 丹魚, 變色, 鯉, 鯽, 鰍, 鱉, 鰍, 鱉, 春秋之別, 隨人所尙, 與時變遷, 癩, 變幻, 水面, 琉璃, 避暑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0권 2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軍中, 號筒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1장 2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幺䯢, 聲急, 那, 六朝, 奈, 唐人, 書牘, 么麽, 骰子, 幺, 幺豚, 小錢, 幺錢, 幼錢, 中錢, 壯錢, 大錢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2권 14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指南車, 羅針, 支那人, 十字軍, 亞剌人, 義大利人, 歐人, 磁石, 天文家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2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19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鹿角鐵, 蒺藜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11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神學者, 聾啞, 華族, 言語, 互交, 敎授, 宗敎家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6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聲色, 飮食, 宮室, 輿馬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4권 1장 4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公法, 私義, 直刺, 戲殺, 誤殺, 過失殺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7권 1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異端, 禽獸, 蟲介, 聽經, 舍利, 佛號, 佛性, 參悟, 機緣, 鵝, 僧, 雞, 佛前, 王子, 佛, 因緣, 蜘蛛, 如來像, 菩薩, 慈悲化身, 蛤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1권 1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柴, 米, 菟裘, 樵汲, 都下, 柴炭, 草芥木梯, 蘇桂, 新蘭, 輿薪, 萬錢, 炕堗, 寒計, 騏驎院, 馬通, 寶香, 馬屎, 通, 牛屎, 洞, 猪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0권 14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井牧, 什一, 均量, 井田, 兼竝, 改量, 釐正, 計畝出粟, 數卜定稅, 田制, 九等, 六等, 續田, 五形, 民情, 利病, 公平, 量政, 槱蘇,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7권 14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客棧, 國野, 廬, 飮食, 料理店, 宿, 路室, 候館, 驛館, 料理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0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作曆, 農功, 節氣, 寒溫, 曆日, 太初曆, 元嘉曆, 大衍曆, 授時曆, 大統曆法, 時憲曆法, 太陰曆, 麟德曆法, 宣明曆, 太史, 七政筭法, 回回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1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朞, 周天, 日行之數, 月行, 一日, 日法, 月行之數, 太陰曆法, 月之盈虛, 一月, 一年, 天文家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1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連珠, 騈儷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4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禮成, 樂府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10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六月 十五日, 流頭節, 粉團, 蜜水, 水團, 國俗, 浴髮, 東流水, 會飮, 流頭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8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八卦, 六十四卦, 二易, 辭, 彖, 象, 繫, 刪定, 焚, 誦傳, 今文, 孔子廟壁, 古文, 風, 雅, 頌, 三體, 六官, 孔子 門徒, 魯史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4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三等, 六等, 水田, 膏沃, 薄土, 沃土, 移秧, 播種, 旱田, 賦稅, 貢米, 朝廷, 經費, 郡邑, 雜賦, 運輸, 納官, 輕賦, 天下, 中正,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1권 1장 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俗傳, 開路, 棧道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6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蛛網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6장 5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1장 9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全形, 半字, 形音, 六書象形, 奇古, 聱牙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2권 14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