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희준(犧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준(尊), 준뢰(尊罍) | 관련어대준(大尊), 명수(明水), 범제(泛齊), 사주(事酒), 산뢰(山罍), 산준(山尊), 삼주(三酒), 상준(象尊), 석주(昔酒), 앙제(盎齊), 예제(醴齊), 오제(五齊), 착준(著尊), 청주(淸酒), 체제[緹齊], 침제(沈齊), 현주(玄酒), 호준(壺尊)
  • 희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목공이 원나라를 세우고 제위에 오른 뒤 일관이 되어 양곡후(暘谷侯)로 봉함을 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7∼1979. 선승(禪僧).
    이칭별칭 경산(京山)
  • 희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상제의 명을 받아 황음무도한 주왕을 치고 은나라를 멸망시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부모님을 모심. 초(楚)나라 노래자(老萊子)가 나이가 일흔인데도 채색옷을 입고 재롱을 떨며 그의 부모님을 기쁘게 해 주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임.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희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천-고리끼합영회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89년 10월 북한에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해 자강도 희천시에 설립된 합영회사.
    정의1989년 10월 북한에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해 자강도 희천시에 설립된 합영회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uicheon-Gorikki Habyeong Hoesa | MR표기Hŭich’ŏn-Korikki Habyŏng Hoe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희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안북도 희천군 북면 과 강계군 화경면 사이의 구현령(狗峴嶺)에서 발원하여 희천군 중앙을 남류하여 청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 희천공업대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희천시에 있는 단과대학.
  • 희천공작기계종합공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희천시 전평동에 있는 기계생산공장.
  • 희천공작기계종합공장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희천시 전평동에 있는 기계생산공장.
    정의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희천시 전평동에 있는 기계생산공장.[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Huicheon Gongjak Gigye Jonghap Gongjang | MR표기Hŭich’ŏn Kongjak Kigye Chonghap Kongj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희천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안북도 남동부에 있는 군. 동쪽은 강계군, 서쪽은 운산군‧영변군, 남쪽은 평안남도 덕천군‧영원군, 북쪽은 초산군‧강계군과 접한다.
  • 희천군(熙川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희주(熙州), 위성(威城), 청새(淸塞), 위주(威州)
  • 희천군읍지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년에 편찬된 평안북도 희천군 읍지.
  • 희천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안북도 희천군 의 청천강 상류 유역에 있는 분지.
  • 희천서문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안북도 희천군 서문동(현재 북한의 자강도 희천시 서문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집터 유적.
  • 희천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강도 남서부 청천강 상류 유역에 있는 시.
  • 희천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안북도 희천군(현재의 자강도 회천시) 희천읍 읍하동에 있는 향교.
  • 희첨(稀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약재(藥材)
  • 희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놀며 게으름을 피움.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희평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라왕의 동생으로, 소문과 함께 왜국으로 가 군대 파병을 요청한다. 왜군과 함께 고국으로 돌아가던 중 풍랑을 만나는데, 군관 4, 5명과 함께 왜선에 잠깐 갔다가 다행히 위기를 모면한다. 왜군이 작은 배 하나를 내어 주며 천여 명의 군사를 잃어 싸움을 하러 가지 못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헌만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 이도간(李道衎)의 시문집.
  • 희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원나라 명종청제 때의 재상으로, 임금의 명을 받아 백성들이 농사짓는 일에 힘쓰도록 보살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햇볕’을 의인화한 것이다. 원(元)나라 시황제의 신하로, 임금의명을 받아 백성들이 농사짓는 일에 힘쓰도록 권장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상제의 명을 받아 일거(日車)[해]를 담당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화(羲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산해경(山海經)』, 역상(曆象), 역상신화(曆象神話), 천상열차분야지도
  • 희화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국면의 친한 벗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희환(戱丸)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희환(戱丸)은 농환(弄丸)의 이칭이다. 허균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18 문부(文部) 조관기행(漕官紀行) 조에는 지방 관아 행사에서
    대분류곡예‧묘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흰 눈을 붉게 물들인 나의 피 위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52년 발표된 월북 작가 임화(林和, 1908-1953)의 시.
    정의1952년 발표된 월북 작가 임화(林和, 1908-1953)의 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uin nun eul bulge muldeurin na ui pi wi e | MR표기Hŭin nun ŭl pulge muldŭrin na ŭi p’i wi 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흰 바람벽이 있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41년에 발표된 백석(白石, 1912-1996)의 시.
    정의1941년에 발표된 백석(白石, 1912-1996)의 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uin barambyeok i isseo | MR표기Hŭin parambyŏk i is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흰 바위에 앉아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47년에 발표된 북한 작가 조기천(趙基天, 1913-1951)의 시.
    정의1947년에 발표된 북한 작가 조기천(趙基天, 1913-1951)의 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uin bawi e anjaseo | MR표기Hŭin pawi e anja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흰것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자신은 백석같이 흰 몸을 가져 티끌만한 먼지도 더럽힐 수 없이 청렴하고결백한 반면 검은 것은 더럽다고 타매하다가 결국 검은 것의 말을 듣고 어지러운 세상에서는 자기가 힘도 없고 무능한 존재임을 알고 한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흰꼬리수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리과에 속하는 조류.
  • 흰꿩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홍신 일행에게 갈 길을 알려 준 영물이다). 홍신 일행이 오나라에 이르러병졸의 반을 잃고 안개마저 짙어 길을 찾지 못해 방황하자 앞장서서 안전한 길로 안내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흰수마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 흰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흰쌀에 물을 많이 붓고 끓인 죽.
    이칭별칭쌀죽|조반|자릿조반
  • 히가시 호코쿠(東鳳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 동봉국(東鳳國). 오사카의 문인 도리야마 고켄(鳥山香軒)의 문하생이었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유형분류인물
  • 히가시하라 가네노리(東原宜謙)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관리. 동원의겸(東原宜謙). 1880년 6월 29일 제2차 수신사 김홍집(金弘集) 일행이 아카마가세키(赤關)를 출발해 고베항(神戶)에 도착했을 때 오사카의 속관(屬官) 히가시하라 가네노리는 외무성 서기관 야나기모토 신타로(柳本眞太郞), 교토의 속관(屬官...
    유형분류인물
  • 히가시혼간지(東本願寺)[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도쿄도(東京都) 다이토구(臺東區) 니시아사쿠사(西淺草)에 있는 사원. 동본원사(東本願寺). 정토진종 히가시혼간지파(淨土眞宗東本願寺派)의 본산이며, 정식명칭은 조도신슈 히가시혼간지하 혼잔 히가시혼간지(淨土眞宗東本願寺派本山東本願寺)이다. 통신사의 에도에서의...
    유형분류유적
  • 히가시혼간지(東本願寺)[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오사카부(大阪府) 오사카시(大阪市) 주오구(中央區) 규타로마치(久太郞町)에 있는 사원. 동본원사(東本願寺). 정토진종(淨土眞宗) 신슈오타니파(眞宗大谷派)의 본산이다. 난바별원(難波別院)과 이바라키별원(茨木別院, 茨木市)이 있는데, 여기서는 난바별원을 뜻한다...
    유형분류유적
  • 히가키 야사부로(檜垣彌三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우와지마번(宇和島藩) 번사. 회원미삼랑(檜垣弥三郞).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曺命采)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다. 4월 중순, 통...
    유형분류인물
  • 히고(肥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구마모토현(熊本縣) 대부분 지역. 비후(肥後). 히고국(肥後國)이라고도 하며, 히젠국(肥前國)과 합쳐서 히슈(肥州)라고도 하였다. 송희경의 『일본행록』에는 비후주(肥厚州)로 되어 있다. 율령제(律令制) 하에서는 사이카이도(西海道)에 속하였는데, 1871년 ...
    유형분류제도
  • 히구치 간고(樋口勘吾)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감오(樋口勘吾). 평치신(平治信)라고도 한다. 1750년 9월부터 1752년 12월까지 57대 관수(館守)였다. 조재민(趙載敏)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종왜(從倭) 8명, 서기왜(書記倭) 1명 등과 함께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고에이(樋口公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의(儒醫). 통구공영(樋口公瑛). 자는 고케이(後卿), 호는 도리(東里) ‧ 산이이와(三畏岩). 스오(周防) 거주. 1764년 정사(正使) 조엄(趙曮) ‧ 부사(副使)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從事官) 김상익(金相翊) ‧ 제술관(製述官) 남옥...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고자에몬(樋口五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오좌위문(樋口五左衛門)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등충승(藤忠勝)으로 되어 있다. 1678년 7월에 봉진압물(封進押物) 1인, 반종(伴從) 5명, 격왜(格倭) 40명 등과 함께 서계를 지참하고 도항하였다. 향접위관(鄕接慰官)이 접대를 ...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구미에몬(樋口久未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구미우위문(樋口久未右衛門). 또는 히구치 구메에몬(樋口久米右衛門). 조선 측 자료에는 평방리(平方利)라고도 기록되어 있다. 1707년 8월부터 1711년 모월까지 제33대 관수(館守)를 역임하였다. 1711년 7월 30일 전 재판(裁...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기치에몬(樋口吉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길우위문(樋口吉右衛門). 1708년에 팔송사(八送使) 만송원송사(萬松院送使)의 정사(正使)로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나이키(樋口內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내기(樋口內記). 평진치(平眞致)라고도 한다. 1711년 3월부터 1712년 11월까지 35대 관수(館守)였다. 이정신(李正臣)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종왜(從倭) 8명과 함께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노부마사(樋口信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쓰시마도주가 파견한 표인영래차왜(漂人領來差倭)로서 1707년 4월에 영해(寧海)의 표류민을 인솔하여 도래하였다. 봉진압물(封進押物) 1인과 반종(伴從) 3인을 거느리고 서계(書契)를 지참하였다. 향접위관의 접대를 받았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누이도노(樋口縫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봉전(樋口縫殿).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여련(平如連)으로 되어 있다. 1753년 3월에 쓰시마의 신도주 소 요시시게(宗義蕃)의 도서(圖書)를 요청하는 차왜로서 도선주(都船主) 우치노 곤베에(內野權兵衛, 平政久), 봉진압물(奉進押...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다로베에(樋口太郞兵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태랑병위(樋口太郞兵衛). 1821년 10월에 정조(正祖)의 왕비 효의왕후(孝懿王后) 김씨의 죽음을 조위하기 위해 조위차왜(弔慰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봉진압물(封進押物) 나가세 리헤이(永瀨理兵衛), 시봉(侍奉) 1인, 반종(伴從) 10명,...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단조(樋口彈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탄정(樋口彈正). 1846년 9월부터 1849년 12월까지 98대 관수(館守)였다. 강로(姜㳣)가 동래부사로 있을 때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도미에몬(樋口富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부우위문(樋口富右衛門). 1709년에 팔송사(八送使) 1특송사의 정사(正使)로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마고자에몬(樋口孫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손좌위문(樋口孫左衛門). 쓰시마번의 가로(家老). 스기무라 우네메(杉村采女) ‧ 오우라 주자에몬(大浦忠左衛門) ‧ 스기무라 사부로자에몬(杉村三郞左衛門) 등과 같이 쓰시마번 도시요리슈(年寄衆)의 한 사람이다. 1721년 최상집(崔尙㠎...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미노(樋口美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미농(樋口美濃).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창조(平暢朝)로 되어 있다. 1795년 6월에 관백입저고경대차왜(關白立儲告慶大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도선주(都船主) 히라타 슈덴(平田主田), 봉진압물(封進押物) 나카가와 요스케(中川要助)...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사콘(樋口左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좌근(樋口左近). 평치효(平致孝)라고도 한다. 1795년 10월부터 1796년 1월까지 78대 관수(館守)였다. 윤장렬(尹長烈)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등과 함께 조선에 왔다가 1796년 1월에 사망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소자에몬(樋口惣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총좌위문(樋口惣左衛門). 평치원(平致遠). 1746년 3월에 관백퇴휴고지차왜(關白退休告知差倭) 정관(正官) 히라타 쇼겐(平田將監, 平誠泰)이 왔는데, 이때 봉진압물(封進押物) 오우라 구로자에몬(大浦九郞左衛門), 그리고 시봉(侍奉) 2인, ...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야고자에몬(樋口弥五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미오좌위문(樋口弥五左衛門). 평순정(平順正)라고도 한다. 1721년 5월부터 1723년 6월까지 40대 관수(館守)였다. 윤석래(尹錫來)가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종왜(從倭) 8명과 함께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에이세이(樋口榮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한시인(漢詩人). 통구영청(樋口榮淸). 호는 셋코(雪江), 통칭은 야몬(彌門). 하야시 가호(林鵞峰, 林春齋)의 고제자.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와타리(樋口亘理)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긍리(樋口亘理). 평질련(平質連)이라고도 한다. 1834년 7월부터 1836년 10월까지 95대 관수(館守)였다. 이탁원(李鐸遠)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준소(桶口淳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의원(醫員). 통구순수(樋口淳叟). 자는 도요(道與), 호는 세이네이(生寧). 쓰가루(津輕) 출신.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曺命采)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의 습직(襲職)...
    유형분류인물
  • 히노 쇼자에몬(日野小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다이칸(代官). 일야소좌위문(日野小左衛門). 이름은 마사하루(正晴). 에치젠국(越前國)에 있었던 막부령(幕府領)에서 후나세(舟寄)의 다이칸이었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
    유형분류인물
  • 히라가 구니야스(平賀國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관리. 평하국강(平賀國康). 해군성(海軍省)은 1872년에 병부성(兵部省)이 폐지되면서 육군성(陸軍省) 설치와 더불어 독립기관으로 설치되었고, 해군에 관한 군정(軍政) ‧ 군령(軍令)을 통할하였다. 히라가 구니야스는 1876년 당시 해군성의 해군 대...
    유형분류인물
  • 히라노 나가마사(平野長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관리. 평야장정(平野長政). 1669년 다와라모토번(田原本藩) 히라노가(平野家) 제3대가 되었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통신사가 도쿠가와 쓰나요시(德川綱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
    유형분류인물
  • 히라노 호소(平野包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평야포상(平野包桑). 이름은 나오미치(直道), 자는 시교(士行).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曺命采)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
    유형분류인물
  • 히라도(平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나가사키현(長崎縣) 북서부의 히라도시마(平戶島)와 그 주변 섬들. 이키쓰키시마(生月島) ∙ 다쿠시마(度島) ∙ 아즈치오시마(的山大島) 등을 행정구역으로 하는 히라도시에 속하며, 나가사키현과 규슈(九州) 본토의 시로서는 최서단에 위치한다. 옛 히라도번(平戶藩)...
    유형분류지명
  • 히라마쓰 로쿠로에몬(平松六郞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에 참전한 무장. 평송륙랑우위문(平松六郞右衛門).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 군의 일원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였다. 귀국할 때 7명의 조선인 피로인을 연행했으며, 그들을 가신으로 삼아 신전(新田) 개발에 힘을 썼다. 이후 히라마쓰가(平松家)는 1700년대 ...
    유형분류인물
  • 히라마쓰 시게쓰나(平松重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오사카히가시마치부교(大阪東町奉行). 평송중강(平松重綱). 히라마쓰 마고타로 시게쓰나(平松孫太郞重綱)라고도 하였다. 1655년 통신사 일행이 오사카에 머물렀을 때 오사카니시마치부교(大阪西町奉行) 소가 지카스케(曾我近祐)와 함께 접대를 담당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고에몬(平山五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 때의 종군통사(從軍通詞). 평산오우위문(平山五右衛門). 쓰시마번 출신이며 1592년 개전 때 제 7군(軍) 모리 데루모토(毛利輝元)에 배속되어 통사로 일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구자에몬(平山九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쓰시마인. 평산구좌위문(平山九左衛門). 1711년 사행시 지대차왜(支待差倭)로 1711년 7월 6일 통신사가 쓰시마의 사스우라(佐須浦)에서 머물 때, 동료들과 숙소로 사신을 찾아와 접견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규베에(平山久兵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산구병위(平山久兵衛). 소송사(小送使)를 통한 조선과의 무역에서의 이권자 중 한 사람이다. 이권자들의 수는 17세기에 약 100명 정도였고, 그 계층은 쓰시마도주의 가신, 특권상인 60인, 특권상인의 자격에 준하는 사람, 오메미에쇼닌(御目見...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규안(平山休庵)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 때의 종군통사(從軍通詞). 평산휴암(平山休庵). 쓰시마번 출신으로 1592년 개전 때 제 1군(軍) 쓰시마도주 소 요시토모(平義智)에 배속된 10명의 통사 중 한명으로 종군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기사부로(平山喜三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산희삼랑(平山喜三郞). 1776년 11월에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죽음을 조위하기 위해 조위차왜(弔慰差倭) 정관(正官) 쓰에 구라노스케(津江庫之助, 平太年)가 왔는데, 이때 시봉(侍奉) 1인, 반종(伴從) 10명, 격왜(格倭) 40...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마타로쿠(平山又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산우육(平山又六). 소송사(小送使)를 통한 조선과의 무역에서의 이권자 중 한 사람이다. 이권자들의 수는 17세기에 약 100명 정도였고, 그 계층은 쓰시마도주의 가신, 특권상인 60인, 특권상인의 자격에 준하는 사람, 오메미에쇼닌(御目見商...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마타에몬(平山又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산우우위문(平山又右衛門). 1724년 2월에 쓰시마도주가 에도로부터 환도(還島)하였음을 알리는 도주환도고지차왜(島主還島告知差倭) 정관(正官) 야마카와 지고에몬(山川治五右衛門, 橘全久) 등과 함께 봉진압물(封進押物)로서 도항(渡航)하였다. 향...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소에몬(平山相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 때의 종군통사(從軍通詞). 평산상우위문(平山相右衛門). 쓰시마번 출신으로 1592년 개전 때 제 1군(軍) 주장(主將)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가신 고니시 유키시게(小西行重)에 배속되어 통사로 일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소자에몬(平山惣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 때의 종군통사(從軍通詞). 평산총좌위문(平山惣左衛門). 쓰시마번 출신이며 1592년 개전 때 수군(水軍) 핫토리 가즈타다(服部一忠)에 배속되어 통사로 일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시로에몬(平山四郞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 때의 종군통사(從軍通詞). 평산사랑우위문(平山四郞右衛門). 쓰시마번 출신이며 1592년 개전 때 제 6군(軍) 모리 히데카네(毛利秀包)에 배속되어 통사로 일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신조(平山新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산신장(平山新藏). 1815년 6월에 관백의 손자가 죽었음을 알리는 관백손신사고부차왜(關白孫身死告訃差倭) 정관(正官) 아오야기 지자에몬(靑柳治左衛門, 藤直明) 등과 함께 히라야마 신조가 봉진압물(封進押物)로서 도항(渡航)하였다. 처음에는 전...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지헤에(平山治兵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산치병위(平山治兵衛). 소송사(小送使)를 통한 조선과의 무역에서의 이권자 중 한 사람이다. 이권자들의 수는 17세기에 약 100명 정도였고, 그 계층은 쓰시마도주의 가신, 특권상인 60인, 특권상인의 자격에 준하는 사람, 오메미에쇼닌(御目見...
    유형분류인물
  • 히라야마 후미테쓰(平山文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의사. 평산문철(平山文徹). 1764년 통신사행 당시 삼방수역(三房首譯) 통인으로 수행한 김한중(金漢重)이 병에 걸려 오사카에 체류하였을 때, 지쿠린지(竹林寺)에서 치료하였다. 이때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등을 처방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오카 도조(平岡藤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관리. 평강등장(平岡藤藏).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부사 임수간(任守幹)・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을 때, 가나야(金谷)의 니시초구치(西町口)의 번소...
    유형분류인물
  • 히라오카 마고이치로(平岡孫一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관리. 평강손일랑(平岡孫一郞).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야마시로(山城)에서 아라이(新居)...
    유형분류인물
  • 히라오카 사부로자에몬(平岡三郞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관리. 평강삼랑좌위문(平岡三郞左衛門).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10월 16일 바뉴가와(馬...
    유형분류인물
  • 히라오카 시로자에몬(平岡四郞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관리. 평강사랑좌위문(平岡四郞左衛門).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9월 27일 요도우라(淀浦)...
    유형분류인물
  • 히라오카 이치에몬(平岡市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관리. 평강시우위문(平岡市右衛門).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부사 임수간(任守幹)・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을 때, 하타모토(旗本)・고케닌(御家人) 등...
    유형분류인물
  • 히라오카 히코베에(平岡彦兵衛)[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 중기의 관리. 평강언병위(平岡彦兵衛).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曹命采)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고치소닌(御馳走人)인 도토미(遠江) ...
    유형분류인물
  • 히라오카 히코베에(平岡彦兵衛)[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관리. 평강언병위(平岡彦兵衛).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가와치(河內) 히라카타(枚方)에서 고...
    유형분류인물
  • 히라오카텐(平岡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오다와라(小田原)의 위치한 여관. 평강점(平岡店). 1882년 10월 30일 일본정부와 임오군란의 사후 수습을 협의하기 위한 특명 전권대신 겸 수신사로 파견된 박영효(朴泳孝) 일행이 아타미(熱海)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가 오다와라정벌(小田原征伐)의 과정에서...
    유형분류기관단체
  • 히라이 센나미(平井傳阿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후기의 관리. 평정전아미(平井傳阿彌). 와카도시요리(若年寄) 소속 관리이며, 평소에는 쇼군 및 신분이 높은 무사를 보좌하여, 공문서를 각지의 관리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맡은 도보슈(同朋衆)의 우두머리 도보가시라(同朋頭)를 지냈다. 1811년 정사 ...
    유형분류인물
  • 히라이 요시쓰나(平井義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평정의강(平井義綱). 자는 기소(紀宗), 호는 소치(蒼池).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
    유형분류인물
  • 히라카와 고에몬(平川幸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천행우위문(平川幸右衛門). 쓰시마의 화가(畵家). 1721년에 약재의 그림을 그리는 화가로 선정되어 약재질정관(藥材質正官) 고시 쓰네에몬(越常右衛門)과 함께 왜관에 들어와 조선의 약재를 조사하였다. 1722년 12월 19일 고시 쓰네...
    유형분류인물
  • 히라카타(枚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오사카부(大阪府) 기타카와치(北河內) 지역. 매방(枚方). 사행록에는 모두 평방(平方)으로 기록되어 있다. 에도시대 가와치국(河內國)에 속하고, 교토부(京都府) ∙ 나라현(奈良縣)과의 경계인 요도우라(淀浦) 부근에 있다. 도카이도(東海道)의 56번째 슈쿠...
    유형분류지명
  • 히라타 가쓰에몬(平田勝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승우위문(平田勝右衛門). 1695년 6월에 쓰시마에서 소 요시자네(宗義眞)의 섭정 사실을 알리기 위한 도주섭정대차왜(島主攝政大差倭) 후루카와 구로도(古川藏人)를 파견하였는데, 이때 도선주(都船主)로서 시봉(侍奉) 1인, 반종(伴從) 17명...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가즈에(平田主計)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주계(平田主計). 히라타 하야토(平田隼人)라고도 하며, 『변례집요(邊例集要)』와 『동사일기(東槎日記)』,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 등에는 평방직(平方直)으로 되어 있다. 1702년 10월에 신도서개청차왜(新圖書改請差倭) 정관(正...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겐고시로(平田源五四郞)[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원오사랑(平田源五四郞). 평원춘(平元春). 1733년 1월에, 쓰시마의 구도주 소 미치히로(宗方熙)가 물러났음을 알리는 퇴휴고지차왜(退休告知差倭) 정관(正官) 오우라 주자에몬(大浦忠左衛門, 平倫之)이 왔는데, 이때 봉진압물(奉進押物) 시다...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겐고시로(平田源五四郞)[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원오사랑(平田源五四郞).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상창(平尙昌)으로 되어 있다. 1739년 6월에 도주환도고지차왜(島主還島告知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봉진압물(封進押物) 나카하라 고스케(中原五助), 반종(伴從) 5명과 함께 예조참...
    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겐시치(平田源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원칠(平田源七).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등신구(藤信久)로 되어 있다. 1741년 6월에 쓰시마도주 소 요시유키(宗義如)가 에도로부터 돌아왔음을 알리는 도주환도고지차왜(島主還島告知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봉진압물(封進押物) 가니사...
    유형분류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