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흑초(黑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독준흑초(讀准黑草), 선사(繕寫), 필사(畢寫), 흑초사대(黑草査對)
  • 흑총마(黑驄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검은 바탕의 총이말. 총이말은 옥색이나 회색 털빛의 말을 가리킨다. 몸 전체에 검은 털이 나고 그 위에 옥색이나 회색 털이 난 말이다. 1417년 2월에 경상도감사(慶尙道監司)의 보고에 따라 쓰시마도주 소 사다시게(宗貞茂)에게 커다란 흑총마(黑驄馬)를 보내주었...
    유형분류동식물
  • 흑치문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백제시대의 귀족 관료.
  • 흑치사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백제시대의 귀족 관료.
    이칭별칭흑치사자(黑齒沙子)
  • 흑치상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백제의 장수로, 용맹하나 지략이 부족하다. 적암성에 주둔하다가, 출병한 김유신과 대적한다. 신라군이 싸우다 도망칠 때 매복 작전일 수 있다며말리는 지수신의 말을 듣지 않고 좇다가 성을 빼앗긴다. 의자왕의 명으로 전부가 되어신라 대량성을 공격한다. 도유에게 가짜 이정복...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흑치상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백제 말기의 장군[생몰년 미상].
  • 흑치상지묘지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백제 말기의 장군으로 당에 들어가 활동한 무장(武將) 흑치상지(黑齒常之)의 묘지명.
  • 흑치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76년∼706년. 중국당나라에서 활동한 백제유민 출신의 무장.
  • 흑치준묘지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흑치준(黑齒俊)의 생애와 활동을 기록해 무덤 속에 부장했던 묘지명.
    이칭별칭대당고우금오위수익부중랑장상주국흑치부군묘지명병서(大唐故右金吾衛守翊府中郞將上柱國黑齒府君墓誌銘幷序)
  • 흑치현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백제시대의 귀족 관료.
    이칭별칭흑치가해(黑齒加亥)
  • 흑칠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검은색을 띤 옻칠. 빛깔이 검은 색만으로 도채하여 가칠한 것으로 옻칠을 말한다. 정제된 투명한 칠액(漆液)에 목탄(木炭), 수골(獸骨), 회(灰)를 넣고 유화철(硫化鐵)을 배합하면 흑칠이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흑칠갱완(黑漆羹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나무로 만들고 흑칠을 한 갱완(羹椀). 갱완(羹椀)은 뜨거운 국물요리를 담는 그릇이다. 뚜껑과 한 짝을 이룬다. 나무로 만든 것이면 완(椀)을 쓰고, 도자기 재질이면 완(碗)을, 철제일 때에는 완(鋺)으로 구분하여 쓴다. 목재인 경우에는 대부분 옻칠을 한다. 옻칠의...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대등대(黑漆大燈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옻칠을 한 큰 등대(燈臺). 등대는 탑이나 단처럼 높은 곳에 등불을 밝혀 환하게 비춰주는 물건. 1651년에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가 쇼군이 되었음을 알리는 관백승습고경차왜(關白承襲告慶差倭)를 통해 옻칠한 등대 흑칠등대(黑漆燈臺) 5개를 진헌하였으며, 1789...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대원분(黑漆大圓盆)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옻칠을 한 큰 쟁반. 1711년 정사(正使) 조태억(趙泰億) ‧ 부사(副使)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從事官)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테이안(以酊菴)에서 사예단(私禮單...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문갑(黑漆文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흑칠을 한 문갑(文匣). 문갑은 문서 ‧ 문구(文具) 등을 넣어두거나 일상용품이나 완상품(玩賞品)을 진열하는 한국 전통 목가구의 하나로 사랑방이나 안방에 비치하는 나지막하고 긴 가구이다. 용도에 따라 여성용과 남성용으로 구분된다. 옻칠의 종류는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검은 옻칠을 한 반(盤). 그릇의 부식을 막고 견고하게 하기 위해 그릇 표면에 동식물의 기름이나 옻칠을 해서 사용했는데 옻칠은 검은색의 흑칠과 붉은색의 주칠이 있다. 서민층에서는 옻칠 한 그릇을 사용하지 않았고 주칠은 왕실 전용의 그릇에만 하였다. 흑칠반(黑漆盤)은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흑칠수촉대(黑漆手燭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흑칠을 한 소형 촛대[燭臺]. 촛대는 초를 꽂고 불을 켜서 밝히는 데 쓰는 기구. 수촉(手燭)은 소형으로 만들어 손에 들고 다닐 수 있는 촛대. 초는 고사 ‧ 축원 ‧ 제사 ‧ 불공 등 종교적이고 의례적인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제사상에 올려지는 촛대[燭...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시회선자(黑漆蒔繪扇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흑칠을 한 위에 금가루를 뿌리고 무늬를 그려 넣어 꾸민 선자(扇子). 선자는 부채이다. 부채는 손으로 바람을 일게 하여 더위를 쫓고 햇빛을 가리는 피서 도구이지만, 나중에는 모양이나 그림, 글씨 등을 그려 넣어 예술적 품위까지 갖추게 되었다. 또 생활에 쓰이는 다양...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연갑(黑漆硯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옻칠을 한 연갑(硯匣). 연갑은 벼룻집. 벼루, 먹, 붓, 연적 따위를 넣어 두는 납작한 모양의 상자. 1624년 3차 통신사행 기록인 강홍중(姜弘重)의 『동사록(東槎錄)』에서는 일본의 벼루와 갑(匣) 체제가 조선에서 만든 것과 비슷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조명채(曺...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초병대도(黑漆鞘柄大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흑칠(黑漆)을 한 칼집과 칼자루가 달린 큰 칼. 생활에 쓰이는 다양한 물품을 만들 때, 목재 등의 원료를 보호하고 광택을 내기 위해 흑칠 등을 하였다. 옻칠의 종류는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칠과 이것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정제생칠(精製生漆)이 있으며, 정제생칠은 도료로서...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촉대(黑漆燭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흑칠을 한 촛대[燭臺]. 촛대는 초를 꽂고 불을 켜서 밝히는 데 쓰는 기구. 가동식(可動式)과 고정식이 있음. 초는 고사 ‧ 축원 ‧ 제사 ‧ 불공 등 종교적이고 의례적인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제사상에 올려지는 촛대[燭臺]는 두 개가 한 조를 이룬다. ...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탁자(黑漆托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흑칠(黑漆)을 한 탁자(托子). 생활에 쓰이는 다양한 물품을 만들 때, 목재 등의 원료를 보호하고 광택을 내기 위해 흑칠 등을 하였다. 옻칠의 종류는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칠과 이것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정제생칠(精製生漆)이 있으며, 정제생칠은 도료로서 활용하기 쉽게 ...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칠화전갑(黑漆華箋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흑칠을 한 전갑(箋匣). 전지(箋紙), 또는 화전(華箋, 편지지)을 보관하는 나무로 만든 상자. 전지는 일반적으로 문서 작성에 사용되는 종이를 가리키는데, 편지지로 사용되는 화전(華箋)과 시를 적을 때 사용되는 시전(詩箋)이 모두 전지에 해당된다. 흑칠화전갑(黑漆...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검은콩.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흑통견(黑通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설피고 얇은 검은색 비단. 통견(通絹)은 거칠고 성기게 짠 얇은 비단이다. 견직물 중 평직물의 하나이며 폭은 보통 47cm이다. 승려가 입는 법의(法衣)처럼 어깨에 걸치는 얇은 옷감으로 사용하였다. 통신사가 행차할 때 호조(戶曹)에서는 의례에 따라 경외노수(京外路...
    유형분류물품도구
  • 흑패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각 지방의 서원에서 발부하던 문서로, 상민들을 호출하거나 잡부금을 모금할 때 발송하던 문서
    정의조선 후기에 각 지방의 서원에서 발부하던 문서로, 상민들을 호출하거나 잡부금을 모금할 때 발송하던 문서 | 문광부표기Heukpae | MR표기Hŭkp’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흑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용운(韓龍雲)이 지은 장편소설.
  • 흑하사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에서 대한독립군단이 레닌의 적군(赤軍)과 교전한 사건.
    이칭별칭자유시사변
  • 흑향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흑색으로 물들인 향사. 향사는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명주실을 가리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흑호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흑색(黑色) 호의(號衣). 호의는 뒤허리 아래쪽으로 길게 트여 있는 조끼형의 상의(上衣)이다. 각 군영의 초관(哨官) 이하 군사들이 많이 착용했으며 소속 부대를 나타내기 위해 5가지 방색(方色)으로 제작되었다. 국상(國喪)행렬 중 영여를 맨 군사[挾靈轝軍]는 발인 때...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흑홍금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편자‧연대 미상인 거문고와 양금의 악보.
  • 흑화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나이가 들어 눈이 침침해짐을 뜻하는 말로 늙고 노쇠했다는 뜻. 소식(蘇軾)의 시 [장묵에게 주다(贈章.)]의 “지난해에는 흑화가 나더니 올해는 백발이 나는구나(前年黑花生 今歲白髮出)”라는 구절에서 나온 말임.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흑화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혼례(婚禮) 때 신는 가죽 신발.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흑화(黑靴)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목화(木靴), 혁피화(赤皮靴), 흑피화(黑皮靴), 흑화(黑鞾), 흑화자(黑靴子) | 관련어협금화(挾金靴)
  • 흑화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검은 가죽으로 만든 목이 긴 신. 목화(木靴) 또는 화자라고도 하며 왕 이하 문무백관들이 관복을 입을 때 신는 목이 긴 마른신으로 겉은 검은 녹피(鹿皮)나 아청공단, 융으로 만들고 안은 백공단으로 만든다. 가장자리에 붉은색 선을 두른다. 조선 시대에는 왕세손의 관례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흑흑백백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56년 8월 《현대문학》에 발표된 박경리(朴景利, 1926-2008)의 단편소설.
    정의1956년 8월 《현대문학》에 발표된 박경리(朴景利, 1926-2008)의 단편소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kheuk baekbaek | MR표기Hŭkhŭk paekpae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흔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달성령 이제의 집 종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흔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쁜 마음으로 기대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흔당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궁녀이다. 연화가 최흥을 죽이기 위해, 은자 30냥을 주면서 칼을 구해 오라고 하자 아버지에게 부탁하여 구해 준다. 연화가 흥을 죽이려고 하였다가 실패하자, 일족이 죽임을 당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흔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뒤로 넘어질 정도의 큰 기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흔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귀족.
  • 흔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쁨과 시원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흔암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쁘게 앎. 알아서 기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흔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쁨과 위로.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흔종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새로 종을 만들 때 희생(犧牲)을 잡아 그 피로 종에 바르고 제사 지냄.
    정의새로 종을 만들 때 희생(犧牲)을 잡아 그 피로 종에 바르고 제사 지냄.[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 문광부표기heunjong | MR표기hŭnjo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흔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쁨. 편지를 받고 궁금함과 답답함이 씻은 듯이 사라져 후련하고 기쁘다는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흘러간마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엄흥섭(嚴興燮)이 지은 단편소설.
  • 흘봉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인 이빈망(李贇望)의 문집.
  • 흘승골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구려 초기의 도성(都城).
  • 흘옹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흘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이근옥(李根玉)의 시문집.
  • 흘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48(다루왕 21). 백제시대의 대신.
  • 흘창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환술
    대분류환술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흘침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환술
    대분류환술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흘해이사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56(흘해이사금 47). 신라 제16대 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땅거죽의 바위가 분해되어 이루어진 무기물과 동식물의 썩은 물질이 섞여서 된 물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광수(李光洙)가 지은 장편소설. 1932년 4월 12일부터 1933년 7월 10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고, 그 뒤 1953년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작자가 동아일보 편집국장 시절에 귀농(歸農)운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연재한 작품이다. 허숭이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2년 4월부터 1933년 9월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된 이광수(李光洙, 1892-1950)의 장편소설.
    정의1932년 4월부터 1933년 9월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된 이광수(李光洙, 1892-1950)의 장편소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k | MR표기Hŭ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어령(李御寧, 1934- )이 1963년 8월 12일부터 10월 24일까지 《경향신문》에 게재한 글들을 모아엮은 책.
    정의이어령(李御寧, 1934- )이 1963년 8월 12일부터 10월 24일까지 《경향신문》에 게재한 글들을 모아엮은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k sok e jeo baram sok e | MR표기Hŭk sok e chŏ param sok 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흙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집이나 담의 벽에 흙이나 회(灰)를 바르는 데 쓰이는 연장.
  • 흙의 세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5년 5월 《개벽》에 발표된 이익상(李益相, 1895-1935)의 농민소설.
    정의1925년 5월 《개벽》에 발표된 이익상(李益相, 1895-1935)의 농민소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k ui serye | MR표기Hŭk ŭi se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흙의노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무영(李無影)이 지은 단편소설.
  • 흙일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흙을 묽게 이기거나 물에 풀어 바르는 일을 하는 사람.
  • 흠1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섭섭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2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편지 끝에 이름을 생략하고 쓰는 말. 흠명(欠名)이라고도 씀.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부족함. 만족스럽지 않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경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에 자동으로 작동하는 천문시계인 옥루(玉漏)를 설치했던 건물.
  • 흠경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7년에 경복궁의 경회루(慶會樓) 동남쪽에 물시계인 옥루를 설치하기 위하여 세운 전각.
    정의1437년에 경복궁의 경회루(慶會樓) 동남쪽에 물시계인 옥루를 설치하기 위하여 세운 전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eumgyeonggak | MR표기Hŭmgyŏngg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흠경각(欽敬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관상(觀象), 누각(漏閣), 빈풍도(瀚風圖), 수시(授時), 옥루(玉漏), 흠경각(欽敬閣漏)
  • 흠경각(欽敬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경복궁(景福宮) | 관련어교태전(交泰殿), 옥루기륜(玉漏機輪), 함원전(含元殿)
  • 흠경각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에 김돈(金墩, 1385-1440)이 지은 글.
    정의조선 전기에 김돈(金墩, 1385-1440)이 지은 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mgyeonggak gi | MR표기Hŭmgyŏnggak 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흠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흠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자신의 이름을 생략함. 수신자가 친한 사이이거나 아랫사람일 경우에 편지 끝에 씀.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문각(欽文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경운궁(慶運宮) | 관련어대한제국(大韓帝國), 덕수궁(德壽宮), 어진(御眞), 진전(眞殿)
  • 흠문기거사(欽問起居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기거문안(起居問安), 문안사(問安使)
  • 흠문지보(欽文之寶)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내사본(內賜本), 반사본(頒賜本), 어보(御寶) | 관련어규장지보(奎章之寶), 내사기(內賜記), 내사인(內賜印), 동문지보(同文之寶), 선사지기(宣賜之記), 선황단보(宣貺端輔), 흠문지새(欽文之璽)
  • 흠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예를 갖추지 못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봉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예를 갖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편지 끝에 상투적으로 쓰는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봉각(欽奉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창덕궁(昌德宮) | 관련어경봉각(敬奉閣), 괴원(槐院), 대보단(大報壇), 사대(事大), 승문원(承文院), 황단(皇壇)
  • 흠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유감스러운 일.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건강이 좋지 않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건강이 좋지 않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흠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어른이) 편찮으시다는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안지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의 궁중제례악곡.
  • 흠염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부러워하고 사모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유만주(兪晩柱)가 지은 일기.
    이칭별칭흠영원본|흠영계징|흠영계징원본|흠영집기|흠영기일
  • 흠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여유를 갖고 만나지 못하다. 만났다 바삐 헤어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임금의 장례 행렬에 쓰던 갖가지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왕의 빈소를 뜻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흠재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근대의 문인‧학자 조덕승(曺悳承)의 시문집.
  • 흠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채문기(蔡文基)의 시문집.
  • 흠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근세의 학자 임공렬(任公烈)의 시문집.
  • 『欽定蒙古源流』는 淸 康熙 연간에 작성된 몽골 연대기이다. 저자는 사강 세첸(薩岡徹辰)으로서 그가 59세 때 쓴 작품이다. 몽골 역사의 시작
    서명흠정몽고원류(欽定蒙古源流) | 간행薩岡徹辰, 淸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흠정몽문휘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청(淸)나라 1892년에 간행된 몽골어 사전.
    정의중국 청(淸)나라 1892년에 간행된 몽골어 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mjeong Mong mun hwiseo | MR표기Hŭmjŏng Mong mun hwi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흠정사고전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청(淸)나라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6) 흠정(欽定)의 일대총서(一大叢書).
    정의중국 청(淸)나라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6) 흠정(欽定)의 일대총서(一大叢書).[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eumjeong sago jeonseo | MR표기Hŭmjŏng sago chŏn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흠정사고전서총목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청(淸)나라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5)의 명에 따라 기윤(紀昀, 1724-1805) 등이 편찬한, 사고전서에 실린 서적의 총 목록.
    정의중국 청(淸)나라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5)의 명에 따라 기윤(紀昀, 1724-1805) 등이 편찬한, 사고전서에 실린 서적의 총 목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mjeong sago jeonseo chongmok | MR표기Hŭmjŏng sago chŏnsŏ ch’ongm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흠정사고전서총목제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청(淸)나라 건륭제 47년(1782)에 기윤(紀昀, 1724-1805)이 황제의 명에 따라 엮은 책.
    정의중국 청(淸)나라 건륭제 47년(1782)에 기윤(紀昀, 1724-1805)이 황제의 명에 따라 엮은 책.[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Heumjeong sago jeonseo chongmok jeyo | MR표기Hŭmjŏng sago chŏnsŏ ch’ongmok che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흠정사서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청(淸)나라 방포(方苞, 1668-1749)가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5)의 명에 따라 팔고문(八股文)을 선별해 편찬한 책.
    정의중국 청(淸)나라 방포(方苞, 1668-1749)가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5)의 명에 따라 팔고문(八股文)을 선별해 편찬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mjeong Saseo mun | MR표기Hŭmjŏng Sasŏ m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흠정청한대음자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청(淸)나라 때 간행된 만주어 사전.
    정의중국 청(淸)나라 때 간행된 만주어 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mjeong Cheong-Han daeeum jasik | MR표기Hŭmjŏng Ch’ŏng-Han taeŭm chas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흠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금나라 군사의 침입으로 휘종에게 선위를 받아 황제가 된다. 충신을 기용하고, 만행을 저지른 최경을 절도로 정배 보내 죽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