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벽선생몽회록 [문학/고전산문]

    1777년(정조 1)정약종(丁若鍾)이 지은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표제는 ‘새벽젼’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의 말미에는 “뎡유뎡아오스딩셔우등셔졍이라.”라고 기술되어 있다. ‘뎡아오스딩’은 정약종의 세례명이므로 정약종이 정유년에 기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

  • 이별가 / 離別歌 [문학/구비문학]

    남녀 사이의 이별의 애달픔을 노래한 잡가. 「춘향전」이나 「배비장타령」 등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애창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춘향전」에서는 이도령이 춘향과 연연히 백년가약을 맹세함에 잇따라 남원부사에서 호조판서로 승진한 아버지를 따라서 이도령이

  • 이별육가 / 李鼈六歌 [문학/고전시가]

    15세기 후반에 이별(李鼈)이 지은 연시조. 6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인데 개별 단위의 작품에서는 3행(한역의 5·6구)에 화자의 선언적 태도가 드러나고 있으며, 전체 작품은 개별 작품이 일관된 태도를 표명하면서 단위로서의 서정을 드러내는 연시조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특성

  • 이병 / 李炳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694(숙종 20). 조선 후기의 학자. 식의 현손, 할아버지는 익, 아버지는 인실이다. 저서로는 단천에 유배되었을 때에 지은『부춘당북천록』이 있다.

  • 이병곤 / 李炳坤 [역사/근대사]

    1921년∼1979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일명 뇌명(雷明), 평안북도 용천 출신이다. 1938년 항일투쟁을 벌이던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중국에서 광복군으로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던 중 광복을 맞이하였다. 1977년 건국포장을

  • 이병립 / 李柄立 [역사/근대사]

    1904년(광무 8)∼미상. 1917년부터 1919년 화룡현 공립 제16국민학교, 1924년 중동학교를 졸업, 연희전문학교 진학하여 재학 중 1924년 박일병·김찬 등이 조직한 사회주의운동 단체인 신흥청년동맹 집행위원에 선임, 1925년에는 이선호·정달헌 등과 함께

  • 이병모 / 李秉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2∼1806). 영조·정조·순조 대에 청요직을 역임 후 1799년과 1803년 두 차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동지부사로서, 진하사로서, 책봉주청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를 정조 명으로 편찬하였다.

  • 이병묵 / 李丙默 [역사/근대사]

    1900-1931년. 독립운동가. 본관은 전주(全州). 일명 병묵(炳默)·경도(景璹). 서울 출생. 북로군정서 참모장 윤세용(尹世茸)의 사위이다. 서울 중앙학교(中央學校)에 다닐 때 이미 만주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던 친형 병욱(丙旭)과 연락하며 국내 항일운동상황

  • 이병삼 / 李丙三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구미무도학관 관장 등을 역임한 무용가.교육자. 러시아 해삼위(海參威,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생했다. 이병삼은1920년대에해삼위 학생음악단의 박시몬, 해삼위 동포연예단의 김동한과 더불어 해삼위에서 온 이른바 무도 3인방으로 알려져 있었다. 1923년 5월부터

  • 이병상 / 李秉常 [종교·철학/유학]

    1676(숙종 2)∼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제 증손, 할아버지는 정기, 아버지는 항, 어머니는 최계웅의 딸이다. 1710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 좌상 이관명의 천거로 관계에 진출하였다. 검열을 거쳐, 정언·수찬, 이조좌랑·교리·대사간·대사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