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정유각삼집 / 貞㽔閣三集 [언론·출판]

    저자 박제가(1750-1805). 필사본. 1책. 책의 구성은 1책 61장이다. 표제는 <정유시고>로 되어 있다. <정유각삼집>은 박제가의 시집 제3권이다. 전체 5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책은 세 번째 책으로 낙질 결본이다.

  • 정유각시집 / 貞㽔閣詩集 [언론·출판]

    저자 박제가(1750-1805). 필사본. 5책. <정유각시집>은 박제가가 지은 각종 시를 모아 편집한 책으로 5권 5책이다. 이 필사본은 전체가 완비된 완본으로서 선본이다. 이 책의 판심에 '옥로산방'이란 서재명이 새겨져 있다. 이 서재명은 구한말의 저명한 장서가인

  • 정유귀 / 鄭游龜 [종교·철학/유학]

    1695(숙종 21) - 1877(고종 33). 아버지는 석후, 어머니는 남양홍씨이다. 고려 때 대장군을 지낸 의립의 후손이고, 5대조는 좌의정 정간공 탁으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인물이다. 부친은 석후이며 모친은 남양 홍씨로 처겸의 딸이다. 향시에는 합격하였으나 이

  • 정유기 / 丁酉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장용으로 사용되던 육정기 중의 하나. 백색 바탕의 사각기로, 깃발의 위쪽에는 신형의 머리를, 중앙에는 적색의 부적 문양을, 아래에는 닭의 머리를 그렸으며, 노란색의 화염각과 기각이 있다. 대가의 노부와 어장에 사용되었다. 기 바탕은 백주, 화염각과 영자는

  • 정유악 / 鄭維岳 [종교·철학/유학]

    1632(인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지겸 증손, 할아버지는 환, 아버지는 뇌경, 어머니는 윤상형의 딸이다. 1666년(현종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75년(숙종 1) 승지로 있을 때, 환관이 인사와 상벌 등에 간여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왕에게 간언

  • 정유지 / 鄭維地 [종교·철학/유학]

    1601(선조 34) - 1682(숙종 8) 조부는 정윤소, 아버지는 서, 어머니는 영해박씨이다. 방담 권강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이 터지자 종제 정헌과 함께 화왕산으로 가서 곽재우의 의병활동을 도왔다. 1642년에 식년문과를 거쳐 승문정자가 되었다. 1646년 성균

  • 정육품 / 正六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1등급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6품 문산계 상계는 승의랑, 하계는 승훈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돈용교위·진용교위로 정하였다. 1443년(세종 25)에는 종친계의 상계와 하계를 집순랑·종순랑으로 신설하

  • 정윤목 / 鄭允穆 [종교·철학/유학]

    1571(선조 4)∼1629(인조 7).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탁, 어머니는 반충의 딸이다. 정구·유성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세 전에 경사자집의 많은 서책을 읽었고, 시문에 뛰어나 일가의 체격을 이루었다.1616년(광해군 8) 소촌도찰방에 취임하였으며,

  • 정윤영 / 鄭胤永 [종교·철학/유학]

    1833년(순조 33)∼1898년. 조선 말기의 유학자. 아버지는 현풍, 어머니는 강시면의 딸이다. 큰아버지 현택에게 입양되었다. 임헌회의 문인이다. 전우·신두선·심의윤·윤치중·서정순 등과 교유, 이항로학파의 김평묵·유중교·유시수·홍대심과도 교유하였다. 저서로는《후

  • 정윤용 / 鄭允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학자(1792∼1865). 경사에 밝아 많은 저술이 있는데 《자류주석》 4권은 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그 외에 《북로기략》 4권,《가학편》 6권,《동래가록고》 20권,《수암만록》 28권,《사문편》 46권,《종선록》 44권,《심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