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정색 / 政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무관과 군사의 임면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병조 소속의 관서 . 조선 초기 이래 무선사라 하던 것이 정조연간에 정색으로 개칭되었다. 기능은 무관과 군사의 임면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그에 따른 부수업무로 임명사령장인 고신의 발급과, 매년 정

  • 정생전 / 丁生傳 [문학/고전산문]

    조선시대 김기(金琦)가 지은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 필사본. 남녀 주인공의 연애담과 아들의 효행을 그린 작품이다. 이 작품은 유교·불교·도교가 융합되어 배경 사상으로 자리잡고 있는 매우 독창적인 구성과 주제를 지닌 소설이다. 사회적 신분이 다른 양반의 아들과 서

  • 정서 / 鄭敍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 『과정잡서』, 「정과정곡」 등을 저술한 문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항(鄭沆)의 아들이다. 인종비 공예태후(恭睿太后) 동생의 남편으로서 왕의 총애를 받았다. 음보로 내시낭중(內侍郎中)에 이르렀으며, 1151년(의종 5)에 폐신 정함(鄭諴)·김존중(金存中)의

  • 정석가 / 鄭石歌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요(俗謠). 『악장가사』와 『시용향악보』에 전한다. 『고려사』 악지(樂志)에는 그 배경설화나 명칭이 전혀 보이지 않고 있어 고려 속요라 단정할 수 없다. 그러나, 형식적 장치와 주제 및 정조(情調)로 보아 속요와 동질적이므로 일반적으로

  • 정석구 / 鄭錫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6∼1755). 1723년(경종 3) 생원이 되었으며, 1727년(영조 3) 어머니의 상을 당한 뒤 실의에 빠져 있다가 음보로 의금부도사가 되고 그뒤 동몽교관·호조정랑을 역임하였다. 말년에 금천군수로 있으면서 선정을 베풀었다.

  • 정석년 / 鄭錫年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1730년(영조 6). 조선 후기 사인·효자. 정광필 후손, 증조는 정만화, 조부는 정재해이다. 부친 정시선과 모친 김자남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세태의 딸이다. 병든 몸으로 모친을 정성껏 모시다가 병이 더 심해져 54세의 나이로 생을

  • 정석달 / 鄭碩達 [종교·철학/유학]

    1660년(현종 1)∼1720년(숙종 46).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정의번, 부친 정시심과 모친 송시철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권숙의 딸이다. 정시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유장·이형상·정시한·이현일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며, 학문적 성장을 이루었다. 슬

  • 정석림 / 鄭碩臨 [종교·철학/유학]

    1669년(현종 10)∼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유학자. . 부친 정시우의 5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정석현·정석함·정석겸·정석승이 있고, 서제 정석철이 있다. 권해를 찾아가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정만양·조선장·정규양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문집은 3

  • 정석복 / 鄭碩馥 [종교·철학/유학]

    1631-1685. 조선후기 유학자. 부친은 운길, 모친은 김발의 딸이다. 정시걸, 김주에게 수학하였다. 1667년 구언에 응해 상소하여 윤선도의 석방을 청하였다. 1685년 8월 6일 상주에서 졸하였다. 정석량의 여와 혼인하여 1남 3녀를 두었다. 정석복의 아들 세인

  • 정석오 / 鄭錫五 [종교·철학/유학]

    1691(숙종 17)∼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 증손, 할아버지는 정재대, 아버지는 정혁선, 어머니는 이영의 딸이다. 정효선에게 입양되었다. 1715년(숙종 4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 검열, 수찬, 교리, 지평, 좌의정, 영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