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정사하 / 鄭師夏 [종교·철학/유학]

    1713년(숙종 39)∼1779년(정조 3).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석중, 생부 정만중과 생모 월성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만양과 정규양의 문하에서 수학, 후에 북계정사에서 후학들을 가르쳤다. 문집으로 현손 정두영이 편집간행, 유치명이 서문을 쓴 4권 1책의《

  • 정산 / 定山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사(原詞)는 전하지 않으며, 노래의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악지 속악조(俗樂條)에 전하고,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공주의 속현인 정산의 백성들이 굽은 나무의 얽힌 마디를 비유하여

  • 정산서원 / 鼎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에 있던 서원. 1612년(광해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1615년(광해군 7) 조목(趙穆)을 추가배향하였다. 1677년(숙종 3)에 ‘정산(鼎山)’이라고 사액되었으며, 선현

  • 정산종사법어 / 鼎山宗師法語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 교서의 하나. <원불교교전> 다음으로 중요시되는 교서이다. 원불교의 2대 교주 정산 송규가 친제한 법문과 제자들이 수필한 법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제1부 세전, 제2부 법어로 구성되어 있다. <세전>은 태교부터 출생, 교육, 결혼, 열반 등 도리강령, <법어>는

  • 정산집 / 貞山集 [종교·철학/유학]

    김동진의 문집. 13권 7책. 석인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서 편찬 경위를 확인할 수 없다. 권1에는 시 104편, 권2~5에는 편지글 114·잡저 9편, 권6은 서문 21편·기문 15편, 권7은 발문 14편·명 19편·찬 1편·상량문 10편, 권8은 애사 8편·뇌문

  • 정산향교 / 定山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교천에 있는 향교. 조선중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847년(헌종 13)에 중건하였으며, 1927년에 명륜당 등을 보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

  • 정삼품 / 正三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5등급의 품계. 정3품 상계부터 당상관이라 하였고, 하계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하였다.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3품 상계는 통정대부, 하계는 통훈대부, 무산계 상계는 절충장군, 하계는

  • 정상관 / 鄭象觀 [종교·철학/유학]

    1776년(영조 52)∼1820년(순조 20).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종로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전념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선현들의 글을 읽으며 위기지학을 하였다. 문집은 증손자 정동범이 편집·간행한 10권 5책의《곡구원기》가 전한다. 문집

  • 정상리 / 鄭象履 [종교·철학/유학]

    1774년(영조 50)∼1848년(헌종 14). 조선 후기의 학자 경세의 7세손, 익로의 아들, 어머니는 진주강씨이다. 이황을 사숙하였다. 학문에 열중하여《대학》·《중용》·《심경》 등 성리에 관한 학설을 탐독하였다.《태극도설》과 선기옥형 등 역리에 대해서도 깊이 연구하

  • 정상진 / 鄭象晋 [종교·철학/유학]

    1770년(영조 46)∼1847년(헌종 13). 조선 후기 유학자. 우복 정경세 7세손, 증조는 정주원, 조부는 정인모, 생조부는 정지모이다. 부친은 정종로이다. 외조부는 이민헌이다. 부친의 유고인 《소대명신언행록》과《입재집》을 정리하여 보존토록 하였다. 성리학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