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예암서원 / 禮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김해시 삼방동에 있는 서원. 1709년(숙종 35)에 향중 사림들이 사우당(四友堂) 조이추(曺爾樞, 1661∼1707)의 행적을 기려 예암사(禮巖祠)를 창건하였다. 1822년(순조 22)에 예암서원으로 이름하였다. 1869년(고종 6)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 예양서원 / 汭陽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예양리에 있는 서원. 1620년(광해군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색(李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8년에 신잠(申潛)과 김광원(金光遠)을 추가 배향하고 1681년에 남효온(南孝溫), 1683년에 유호인(劉

  • 예언설화 / 豫言說話 [문학/구비문학]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서 국가의 흥망이나 개인의 운명을 예언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설화. 예언의 대상에 따라서 국가문제 예언설화와 개인 문제 예언설화로 나눌 수 있고, 예언의 근거에 따라 풍수 예언·관상 예언·점복 예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국가 문제 예언설화는

  • 예연서원 / 禮淵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가태리 구례(求禮)에 있는 서원.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1호. 1674년(현종 1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곽재우(郭再祐)와 곽준(郭䞭)의 덕행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77년(숙종 3)에 ‘예연(禮淵)’이라고 사액되어

  • 예원 / 豫原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정평 지역의 옛 지명. 정주도호부(定州都護府) 남쪽 약 45리 지점에 위치하였다. 1044년(정종 10) 생천(栍川)에 성을 쌓고 원흥진(元興鎭)을 설치하여 진사(鎭使)를 두었다. 1116년(예종 11) 예주(豫州)에 성을 쌓은 다음 방어사(防禦使)를 두었으며

  • 예원좌 / 藝苑座 [예술·체육/연극]

    1935년 2월 창단된 극단. 이 극단의 특색은 막간에 여흥을 넣는 것이었는데, 공연은 부민관과 우미관을 주로 이용했으며 각 지방 순회공연도 가졌다. 이들은 촌극, 넌센스, 노래, 만담, 조선영화, 해설극 등을 전문으로 공연했으며, 194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다.

  • 예의문답 / 禮疑問答 [종교·철학/유학]

    예류(禮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3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30.0×20.2cm, 반곽은 21.0×15.2cm이다. 표제는 예의문답류편(禮疑問答類編), 판심제는 예의문답(禮疑問答)이다. 곽종석(郭鍾錫)이 저술하였고, 서문(序文)은

  • 예장도감 / 禮葬都監 [정치·법제]

    국장 다음 가는 국가장으로, 훈친이나 공적이 뛰어난 종1품 이상 문무관 및 공신에게 베풀어 주는 장례를 위해 임시로 마련한 관서. 처음에는 조묘와 예장이라는 2개의 도감을 설치해 임시로 업무를 맡겼는데, 세종 6년(1424) 이후 두 기관을 합쳐 상설 기관으로 예장도

  • 예전 / 禮典 [정치·법제/법제·행정]

    육전 중의 하나. 예전에는 예조가 관장하는 사무에 관한 법제 수록. 예조는 예악·사제·연향·과거·학교·경연·조회·석도·진헌·복축 등의 일을 맡았는데 이를 다시 세분하여 계제사는 의식·제도·조회·경연·사관·학교·공거·도서·상서·패인·표소·책명·천문·누각·국기·묘휘·상장

  • 예조 / 禮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예악·제사·연향·조빙·학교·과거 등을 관장하던 관서. 고려 문종 이래로 예의·제향·조회·교빙·학교·과거 등에 관한 정사를 맡도록 규정. 조선시대는 1392년(태조 1)에 재향·빈객·조회·과거·진헌 등의 일을 보도록 규정. 1405년(태종 5)에는 예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