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예문 / 禮文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문류(禮文類) 편자미상, 필사본, 불분권 1책(35장). 표제는 잡시초(雜詩抄)라고 되어 있다. 구성은 혼례초(婚禮抄), 상례초(喪禮抄), 가정류(家庭類), 잡서초(雜書抄)로 이루어진 유서이다.

  • 예문관 / 藝文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임금의 말이나 명령을 대신하여 짓는 것을 담당한 관서. ≪경국대전≫에 규정된 직제에 따르면, 영사(정1품) 1인, 대제학(정2품) 1인, 제학(종2품) 1인, 직제학(정3품) 1인, 응교(정4품) 1인, 봉교(정7품) 2인, 대교(정8품) 2인, 검열(정9

  • 예방 / 禮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 소속의 예전 담당 관서. 주로 의례·외교·학교·과거·문한 관계 사무의 출납을 맡았다. 그 담당승지(色承旨)는 우승지로서 정3품 당상관이었다. 승정원은 6조의 체제에 맞추어 6방으로 편성되었는데, 예방은 예조 및 그 속아문 인 기로소·규장각·경연청·홍문

  • 예방의학 / 豫防醫學 [과학/의약학]

    질병 예방을 위하여 건강증진과 생활환경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의학. 주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질환 및 상해에 관심을 두고 있는 의학을 말한다. 일반의학이 아픈 자와 상해자를 치료하는 데 주목적이 있는 반면에 예방의학은 그 목적이 예방에 있으며, 그것도 개인지향적이라

  • 예배 / 禮拜 [종교·철학/개신교]

    경외(敬畏)의 대상인 인격체 혹은 비인격체에 대하여 취하는 의식. 예배라는 말은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주로 개신교나 천주교의 종교행사를 할 때 쓰이고, 유교의 제사, 불교의 불공이나 선(禪)에 대해서는 넓게 쓰이지 않는다. 예배는 본래 ‘숭배하는 마음에서 우러나온 행위

  • 예빈성 / 禮賓省 [정치·법제/외교]

    고려 전기에 외국의 빈객을 맞이하고 접대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고려사≫ 백관지에 의하면 921년(태조 4)에 예빈성을 설치, 995년(성종 14) 객성으로 변경, 뒤에 예빈성으로 복구하였다. 문종 때의 관제에는 판사(정3품)·경(종3품) 각 1인, 소경(종4품)

  • 예빈시 / 禮賓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빈객의 연향과 종실, 재신들의 음식물 공급 등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 ≪경국대전≫에 정(정3품)·부정(종3품)·첨정(종4품)·판관(종5품)·주부(종6품)·직장(종7품)·봉사(종8품)·참봉(종9품) 각 1인과 제검(4품)·별좌(5품)·별제(6품)를 합해

  • 예산군 / 禮山郡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공주시, 서쪽은 서산시, 남쪽은 홍성군·청양군, 북쪽은 당진시·아산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25′∼ 126°58′, 북위 36°32′∼ 36°48′에 위치한다. 면적은 542.29㎢이고, 인구는 8만 3484명(2015년 현

  • 예산은자전 / 猊山隱者傳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최해(崔瀣)가 지은 탁전(托傳).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여 자신의 일생을 가탁에 의하여 서술한 글이다. 『졸고천백(拙藁千百)』 권2, 『동문선』 권100 등에 수록되어 있다. 은자의 이름은 하계(夏屆)인데 혹 하체(下逮)라고도 한다. 본래 복성이 아니었는데,

  • 예산향교 / 禮山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에 있는 향교. 1413년(태종 1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785년(정조 9)에 대성전을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등이 있으며, 여기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