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여양 / 驪陽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홍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사시량현(沙尸良縣, 또는 沙羅)이었는데, 신라에 병합된 다음 군사기지인 사라정(沙羅停)을 이곳에 설치하였다. 757년(경덕왕 16) 신량현(新良縣)으로 고쳐 결성군(潔城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여양현(驪

  • 여양서원 / 廬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에 있었던 서원. 1720년(숙종 46)에 이경번(李景藩, 1606∼1673)과 이경무(李景茂, 1609∼1679)를 향사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처음에는 여양사(廬陽祠)라는 사우로 건립되었다가 1789년(정조 13)에 서원으로 승격되면

  • 여연 / 閭延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자성 지역의 옛 지명. 조선 초기 사군육진(四郡六鎭)을 개척할 때 4군 중의 하나로 설치되었던 군이다. 이 지역은 본래 함길도(咸吉道) 갑산군(甲山郡)의 여연촌(閭延村)이었다. 1416년(태종 16) 갑산군의 소훈두(小薰豆) 서쪽을 떼어 여연촌을 중심으로 여연

  • 여와전 / 女媧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 이 소설은 이원론적 세계관을 채택한 작품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전반부는 지상에서의 일을 문제삼고, 후반부는 천상의 일을 문제삼고 있다. 지상에서 현부열녀의 반란이 일자, 천상에서 이를 평정하

  • 여와집 / 餘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목만중의 시문집. 18권 9책. 필사본. 권1∼3에 서 76편, 권4에 기 32편, 권5에 발 7편, 제 12편, 권6에 소 11편, 권7에 서 12편, 권8에 비갈 8편, 권9에 묘갈명 16편, 권10에 가정기실 6편, 권11에 묘지명 16편, 권1

  • 여요전주 / 麗謠箋注 [언어/언어/문자]

    양주동(梁柱東)이 고려시대 가요를 주해한 주석서. 이 책은 저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1942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펴낸 신라향가를 주석한 ≪조선고가연구 朝鮮古歌硏究≫의 속편이며, 주석의 대부분은 8·15광복 이전에 집필하여 발표한 것을 수합하여 증보하고 보완한 것

  • 여용 / 勵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9품 토관직. 1438년(세종 20) 사용이라는 직명으로 처음 설치되었다가 1462년(세조 8)에 여용으로 개칭된 것이다. 정원은 평양부의 진서위에 5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4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4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4인, 회령·경원의

  • 여용국전 / 女容國傳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안정복(安鼎福)이 지은 한문소설. 화장도구를 의인화한 가전(假傳)으로, ‘효장황제장대기공록(孝莊皇帝粧臺紀功錄)’이라고도 한다. 작자의 문집인 『순암집(順菴集)』의 「부부(覆瓿)」에 실려 있다. 원작자는 알 수 없다. 이 원본은 안정복이 지은 것인데, 원본의

  • 여용국평란기 / 女容國平亂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산문. 국문필사본. 필사연대는 본문 끝에 부기한 간지로 보아 1779년(정조 3)의 기해 음 6월 4일로 추정된다. 한문본으로는 안정복(安鼎福)의 「여용국전(女容國傳)」(일명 孝莊皇帝粧臺紀功錄)이 전한다. 이 한문본은 국문본 「여용국평란

  • 여우구슬설화 [문학/구비문학]

    한 학동이 여인으로 변신한 여우와 입을 맞춤으로써 여의주를 빼앗았으나, 하늘을 안 보고 땅을 봄으로써 땅의 이치만을 알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에 속한다. ‘구미호’에 관한 설화는 함경도·평안도·황해도 지역에 특히 많이 전승되는 것으로 보고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