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언문지 / 諺文志 [언어/언어/문자]

    1824년(순조 24) 유희가 지은 한글 및 한자음 관계 연구서. 유희는 박성원이 『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의 범례와 책 끝에서 언급한 ‘언문초중종삼성변(諺文初中終三聲辨)’ 등을 바탕으로 하여, 『언문지』 전반에 걸쳐 한자음을 제대로 표기할 수 있는 한글이

  • 언사 / 諺詞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이운영과 그의 아들 이희현의 국문가사집. 조선 후기 경종(景宗)~정조조(正祖朝)의 문신 이운영(李運永, 1722~1794)의 「착정가(鑿井歌)」·「순창가(淳昌歌)」·「수로조천행선곡(水路朝天行船曲)」·「초혼사(招魂詞)」·「세장가(說場歌)」·「임천별곡(林

  • 언양 / 彦陽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울주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거지화현(居知火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헌양현(巚陽縣)으로 고치고 양주군(良州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1018년(현종 9) 울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143년(인종 21) 감무를 두었으며, 그 뒤 지금의 이름인

  • 언양자수정 / 彦陽紫水晶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일대에서 생산되는 자수정. 수정류는 자수정·연수정·흑수정·백수정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자수정이 가장 귀중한 것으로 꼽히며, 특히 언양자수정은 세계적으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자수정이 본격적으로 채굴, 가공 및 판매

  • 언양지석묘 / 彦陽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서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2호. 언양에서 밀양방면으로 가는 도로변 아래쪽에 큰 바위처럼 우뚝 서 있는 지석묘로서 그 규모로 보아 경상남도 최대의 기반식지석묘라고 할 수 있다. 도로변에서 5m 정도 떨어진 밭에 있는

  • 언양향교 / 彦陽鄕校 [교육/교육]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처음에는 반월산(半月山) 아래에 세웠다가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고, 그 뒤 화장산 아래로 옮겼다가 또다시 현위

  • 언양현호적대장 / 彦陽縣戶籍臺帳 [사회/촌락]

    조선 후기 호적식년을 당하여 경상도 언양현에서 관내의 호구를 조사하여 작성한 호적책.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울산광역시 울주군청에 있다. 현재 7개 식년의 것 9책이 전하고 있는데, 모두 필사본으로 기재방식은 조선시대의 호적대장 일반의 양식을 보이고 있는데, 1

  • 언어심리학 / 言語心理學 [언어/언어/문자]

    언어를 산출하고 이해하는 심리과정을 탐구하는 인지심리학의 한 분야. 심리학의 창시자인 분트(Wundt, W)가 이미 방대한 언어심리학(Sprachpsychologie)의 체계를 구축하고, 하나의 문장이 하나의 전체표상이라는 근대적인 개념을 정립하였다. 근대 언어심리학은

  • 언어정책 / 言語政策 [언어/언어/문자]

    국가나 민간 기관이 국민이 사용하는 말을 통일·발전시키기 위하여 펼치는 정책. 언어정책이란 국민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국가가 어문 규범을 제정하여 보급하고, 국민이 사용하는 문자를 지정하며, 언어를 순화하고, 국어과 교육과정을 제정하며 국어 교과서를 개발하는 정

  • 언어지리학 / 言語地理學 [언어/언어/문자]

    한 언어 안의 방언적 변이나 친근한 언어들 사이의 변이를 지도 위에 표시함으로써, 각 변이의 동태적 관계를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파악하려는 언어학의 한 분야. 언어지리학은 결국 각 지역 방언에 나타나는 변이형들과 그 분포에 근거하여 각 변이형들로 분화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