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서대관전보좌후장무일도상 / 書大觀殿黼座後障無逸圖上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김인경(金仁鏡)이 지은 한시. 오언절구로 대관전 보좌 뒤 가리개에 그려진 무일도 위에 씌어졌던 작품이다. 약칭 ‘서보좌후장상(書黼座後障上)’으로도 알려져 있다.‘무일(無逸)’이란 안일에 흐르지 않아야 함을 뜻하며, 이는 임금을 경계한 말이다. 최자(崔滋)가

  • 서대주전 / 鼠大州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 필사본. 이 작품으로는 문선규본(文璇奎本)과 『문장(文章)』(제2권 제4호)에 수록된 것이 있으며, 이 두 작품은 동일계 이본이다. 쥐들의 소송사건을 소재로 한 의인소설은 이 작품 외에도 국문본인 「서동지전(鼠同知傳)」

  • 서동요 / 薯童謠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평왕 때 백제 무왕이 지었다는 향가. 4구체. 이 노래는 『삼국유사』 기이(紀異) 제2 무왕(武王)조에 수록되어 있는 서동설화(薯童說話)에 끼어 전한다. 이 설화에 의하면, 이 노래는 백제 무왕이 소년시절에 서동으로서 신라 서울에 들어가 선화공주를 얻으려고 지

  • 서동지전 / 鼠同知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활자본. 쥐들의 소송사건을 소재로 한 의인소설로, 풍자소설의 유형을 띤 작품이다. 소재가 유사한 「서옥기(鼠獄記)」·「서대주전(鼠大州傳)」 등의 한문본과는 전혀 별개의 작품이다.「서동지전」은 다람쥐가 서대주에게 은혜를 입

  • 서방가 / 西方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세종 때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전체 10장. 『염불작법(念佛作法)』에 전한다. 『염불작법』에는 작자가 의상(義湘)으로 되어 있으나, 후대인이 의상의 위명(威名)을 빌려 쓴 것으로 생각된다. 이 작품의 형식이나 『염불작법』이 1572년(선조

  • 서산대사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승군장(僧軍將)이었던 서산대사 휴정(休靜)에 관한 설화. 휴정만이 등장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흔히 사명당(泗溟堂)유정(惟政)과 함께 지혜 또는 도술을 겨루는 이야기로 전승된다. 이 밖에도 서산대사에 얽힌 민간설화들이 상당히 많은데, 이들 자료에

  • 서산대사전 / 西山大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서산대사 휴정(休靜)의 설화를 소설화한 작품이다. 이 작품의 주인공 휴정은 조선 선조시의 승군장(僧軍將)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격문(檄文)주 01)을 돌려 승병 1,500명을 규합하여 이들의 총수(總帥)가 되었

  • 서산일락가 / 西山日落歌 [문학/고전시가]

    1567년(명종 22)김응정(金應鼎)이 지은 시조. 1773년(영조 49)에 간행된 『해암문집(懈菴文集)』에 실려 전한다. 이 시조가 조식의 작품으로 기록되어 전승된 경우도 위의 두 가지 사례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만약, 『해암문집』과 「김해암가곡집서」가 발굴되지

  • 서양화 / 西洋畵 [예술·체육/회화]

    서양에서 발생하여 발달한 그림이나 서양에서 보급된 자료와 기술에 의해서 그린 그림. 우리 나라에서는 고희동(高羲東)이 처음으로 일본 동경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돌아와, 유화 활동을 시작한 것이 서양 화법 정착의 시초였다

  • 서옥기 / 鼠獄記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한문필사본. 서류(鼠類)의 소송사건을 의인화하여 소설로 쓴 작품이다. 한글본 「서동지전(鼠同知傳)」이나 한문본 「서대주전(鼠大州傳)」과는 별개의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의인화된 쥐들의 소송사건을 통하여 인간사회의 소송사건과, 자기의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