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서왕가 / 西往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기에 지어진 불교가사.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지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나 확실하지는 않다. 이 견해를 인정하면 최초의 가사 작품이 되며, 가사 장르 형성 초기의 양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그 문학사적 가치가 크다. 크게 6문단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요지는

  • 서울쥐 시골쥐 [문학/구비문학]

    두 마리의 쥐를 통해서 물질적인 풍요보다는 초라하지만 정신적인 평화를 누리는 삶이 더 낫다는 것을 보여 주는 설화. 이 설화는 서울쥐와 시골쥐를 통해서 초라하더라도 평화롭게 사는 것이 화려하게 보이지만, 불건강하고 실속 없는 생활보다 더 낫다는 것을 이야기함으로써, 허

  • 서유기 / 西遊記 [문학/고전산문]

    명나라 오승은(吳承恩)이 지은 『서유기(西遊記)』의 번역본. 명나라 소설 『서유기』(100회)를 번역한 책이다. 오승은(1500∼1582)은 당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송의 『대당삼장취경시화(大唐三藏取經詩話)』 등의 고사와 민간에 전해 오던 각종 설화, 전설들을

  • 서재야회록 / 書齋夜會錄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가전체소설. 「서재야회록」은 벼루·먹·종이·붓의 문방사우를 의인화한 작품이다. 신광한의 한문단편소설집 『기재기이(企齋記異)』에 실려 있다. 주인공인 선비가 서당 밖에서 시를 읊다가 방안에 치의현관(䅔衣玄冠)·반의탈모(班衣脫帽)·백의윤

  • 서정기 / 西征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번역 소설. 1권 1책. 국문 활자본. 이 작품은 「설정산정서」의 제1회부터 22회까지를 번역한 작품이다. 번역은 본문 가운데 누락시킨 부분이 많고, 의역이나 축약 번역이 대부분이지만, 전체적 내용은 대체로 일치한다. 이 작품은 우리의 군담 소설에 영

  • 서정별곡 / 西征別曲 [문학/고전시가]

    1694년(숙종 20)박권(朴權)이 지은 기행가사. 1책. 한글필사본.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61구이다. 음수율은 3·4조를 주조로 하여 2·3조, 2·4조, 4·4조, 4·5조 등도 보인다. 작자가 죽은 지 8년째인 1723년(경종 3) 8월 15일에 ‘우연

  • 서주연의 / 西周演義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신마소설(神魔小說)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번역본. 25권 25책. 한글필사본. 『서주연의』는 『서유기(西遊記)』와 함께 대표적인 신마소설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무왕이 주를 벌했다는 역사 사실을 주요 골자로 삼고, 당시 민간의 전설을 널리 채록하여 소설화한

  • 서초패왕기 / 西楚覇王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1848년(헌종 14)에 간행된 목판본 『삼설기(三說記)』에 실린 작품 중의 하나이다. 활자본은 조선서관판 『별삼설기(別三說記)』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서한연의(西漢演義)」에서 연유하며, 초패왕에 관한 설화를

  • 서한연의 / 西漢演義 [문학/고전산문]

    중국 『서한연의』의 번안소설. 1책. 한글필사본. 겉표지에 ‘우미인가 서한연의’라 쓰여 있고 그 우측 상단에 ‘긔미’라는 간기가 있어, 1859년이나 1919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앞부분에는 가사형식인 「우미인가」·「항우가」·「초한가」·「충효가」 4편이 있다.

  • 서해무릉기 / 西海武陵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남자주인공이 왜적에게 빼앗긴 신부를 구해 돌아오는 이야기를 엮은 것으로, 혼사장애담(婚事障碍談)에 속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구성은 ‘지하국대적퇴치담(地下國大賊退治談)’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외지동 팔랑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