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광문자전 / 廣文者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속편이라 할 수 있는 <서광문전후 書廣文傳後>와 함께 박지원의 ≪연암집 燕巖集≫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저작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러나 1754

  • 광수무 / 廣袖舞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숙종 때부터 전하는 정재(呈才) 중 하나. 1719년(숙종 45) 경현당(景賢堂)에서 연행된 『진연의궤(進宴儀軌)』의 기록에 의하면 9작(九爵) 중 제3작에는 「초무(初舞)」, 제4작에는 「아박(牙拍)」, 제5작에는 「향발(響鈸)」, 제6작에는 「무고(舞鼓)」

  • 광야 / 曠野 [문학/현대문학]

    현상윤(玄相允)이 지은 단편소설. 1917년에 『청춘(靑春)』 제7호에 발표되었다. 일가 여인과 부정한 관계를 맺고 문중으로부터 추방된 아버지를 찾아나선 어린 아들이 천신만고 끝에 부자상봉하게 된다는 인정가화적(人情佳話的)인 이야기이다. 이 작품은 일선(一善)·일봉(一

  • 광야 / 曠野 [문학/현대문학]

    이육사(李陸史)가 지은 시. 5연 15행의 자유시이다. 작자의 말년 작품으로 유고로 전하여지다가, 1945년 12월 17일『자유신문』에 동생 이원조(李源朝)에 의하여 「꽃」과 함께 발표되었다. 그 뒤 시집에 계속 실려 이육사의 후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육사시비(陸史詩碑

  • 광염소나타 / 狂炎─ [문학/현대문학]

    김동인(金東仁)이 지은 단편소설. 1930년 1월 1일부터 1월 10일까지 『중외일보(中外日報)』에 발표되었다. 「광화사(狂畵師)」와 더불어 김동인의 미의식 및 예술관을 잘 드러낸 작품이다. 이 소설은 사회에서 거의 용납되기 힘든 극단적인 미의식을 주장한 작품으로, 인

  • 광장 / 廣場 [문학/현대문학]

    최인훈(崔仁勳)이 지은 장편소설. 1960년 『새벽』지 10월호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광복과 동시에 남북이 분단됨으로써 야기되는 이념의 분열을 주제로 하였다. 주인공 이명준은 젊은 철학도로서 가치 선택을 위한 지적 모험을 감행하게 된다. 그는 친지인 한 은행가의 집

  • 광제가 / 廣濟歌 [문학/고전시가]

    19세기 말에 창작된 작자 미상의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304구. 내용상 서사와 본사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1∼24구)는 ‘사바세계 중생들’이라는 청자를 설정하여 전체적인 요지를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본사의 전반부(25∼198구)는 인간사

  • 광주항쟁삼부작 / 光州抗爭三部作 [예술·체육/무용]

    1995~1998년에 걸쳐 공연된 5·18광주민주화운동에 관한 현대무용. ‘광주항쟁 3부작’은 「그 해 오월」(1995), 「편애의 땅」(1997), 「그들의 결혼」(1998)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주항쟁 3부작’은 5·18광주민주화운동의 현장을 재현하며 대한민국의

  • 광청아기본풀이 / ─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동김녕리 송씨(宋氏) 집안 수호신의 내력담으로서, 이 집안에서 굿을 할 때 집안의 수호를 빌기 위해 심방에 의하여 불린다. 현재 두 편이 채록되어 있다. 이 본풀이는 원혼을 위하면 도리어 수호신이 되어 준다

  • 광포설화 / 廣浦說話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면 광포의 지명 유래에 관한 설화. 이 전설의 분포 지역은 함경북도 경성군 어랑면 장연호(長淵湖),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대곡동의 영감바위, 전라북도 군산 앞바다인 고군산 열도(古群山列島), 전라북도 부안군의 계화도(界火島) 등 주로 서해안 일대에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