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성당가 / 聖堂歌 [문학/고전시가]

    1898년김기호(金起浩)가 지은 천주가사. 한글필사본. 모두 527구. 음수율은 4·4조이다. 서울 명동 대성당의 낙성식을 보고 그 기쁨을 노래한 가사이다. 이 작품은 필사본인 절두산 순교자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홍방지거가첩』 속에 전한다. 이 가첩에는 「성당가」

  • 성덕가 / 聖德歌 [문학/고전시가]

    1402년(태종 2)하륜(河崙)이 지은 악장(樂章). 총12장. 작품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원래의 명칭은 ‘조선성덕가(朝鮮聖德歌)’이다. 『태종실록』 권4 태종 2년 8월조에 소개되어 있다. 태조를 위하여 지었다 하며, 정도전(鄭道傳)의 「수보록 受寶籙」을 대신하고자

  • 성부산설화 [문학/구비문학]

    경주 남쪽에 있는 성부산과 관련된 지명유래 설화. 별이 떠 있는 것 같은 구체적인 사건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성부산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삼국유사』 권1 태종춘추공조(太宗春秋公條)와 『동국여지승람』 제21권 경주부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이 설화는 지명유래담적인 성

  • 성산별곡 / 星山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총 84절(행) 168구. 3·4조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4·4조, 3·3조, 2·4조 혹은 2·3조, 4·3조 등도 더러 있다. 『송강가사(松江歌辭)』·『송강별집추록유사(松江別集追錄遺詞)』·『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 등에

  • 성주중흥가 / 聖主中興歌 [문학/고전시가]

    1623년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지은이가 61세 때 지은 작품으로 그의 가사 5편 중 유일하게 지은 연대가 분명한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내용은 제1단 서(序) 12구에서는 반정의 감격을, 제2단 8구에서는 인조에 대한 찬사

  • 성주축원 [문학/구비문학]

    가신(家神)인 성주신에게 가정의 재수와 복을 기원하는 무가(巫歌). 「성주축원」은 성주굿이나 안택 등의 무의(巫儀)에서 구연되는데, 성주굿은 가정에서 주관하는 재수굿이나 마을에서 촌민들이 공동으로 행하는 마을굿에서 중요시되는 굿거리이며, 안택은 주로 독경무들이 행하는

  • 성진무 / 性眞舞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경성의 기생이 추었던 춤. 성진무(性眞舞)의 구체적인 내용과 구성에 대한 사료는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다만 1912년 단성사 강선루 공연에서 성진무를 롱선이 혼자 추었고, 1917년 11월 한남권번 연주회의 광고 중에 성진무를 개량하여 구운몽연의(九雲夢演義

  • 성택 / 聖澤 [예술·체육/무용]

    조선 세종 때 당악정재(唐樂呈才)의 양식으로 창작한 정재(呈才) 중의 하나. 주로 중국 사신 위연(慰宴)을 위하여 추던 춤이다. 「성택」 정재의 특징은, 선모(仙母)를 중심으로 8명의 협무(狹舞)가 팔괘(八卦)를 상징하여 사방에 늘어서는 것이다.선모가 감(坎) 방향으로

  • 성풍류 / 醒風流 [문학/고전산문]

    중국 소설의 「성풍류(醒風流)」의 번역소설. 이 소설의 구성은 치밀하지 못한 편이다. 장서각본 「성풍류」는 장회를 나누지 않고 편의상 일곱 권으로 나누었으며, 각 권의 서두와 말미에 있는 시와 삽입시의 대부분을 삭제하였다. 또 본문 가운데 제9회(장서각본 3권내)에서

  • 성현공숙렬기 / 聖賢公淑烈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 이 작품의 속편으로 「임씨삼대록(林氏三代錄)」이 있다. 이 작품은, 유형상으로는 계모형 가정소설이고 주제상으로는 윤리소설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의 계모인 여씨와 그 아들이 희린 형제를 죽이기 위해, 그들을 둘러싼 악의 무리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