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사건 > 사건 사고와 사회운동 23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사건 > 사건 사고와 사회운동
  • 민립대학설립운동 / 民立大學設立運動 [역사/근대사]

    1920년대 초 우리의 손으로 대학을 설립하고자 일어난 일제하의 문화 운동. 1920년 6월 한규설, 이상재, 윤치소 등 100명이 조선교육회설립발기회를 개최하면서 시작되었다. 모임에 참석한 인사들은 우리나라에 대학이 없음을 개탄하고 조속한 시일 내 민립대학을 설립할

  • 민족유일당운동 / 民族唯一黨運動 [역사/근대사]

    1920년대 후반 만주와 중국 지역에 분립되어 있던 독립운동 단체들이 하나로 통합되기 위해 전개한 운동.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단체들은 일제의 세력이 강한 북간도를 제외한 전체 만주의 교포 사회를 3분하여 통치한 사실상의 정부였다. 이후 3부를 포함, 좌우익의 민족

  • 민주노조운동 / 民主勞組運動 [역사/현대사]

    1970년대 전반기에 발생, 후반기에 크게 성장한 노동조합의 자주성과 민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운동. 이 시기에 활약한 대표적인 민주노조로는 청계피복, 동일방직, 삼원산업, 반도상사, 한국모방, YH무역노조 등을 꼽을 수 있다. 민주노조운동의 특징으로는 종교운동 혹은 지

  • 민청학련사건 / 民靑學聯事件 [역사/현대사]

    정부 당국이 단순한 시위지도기관을 국가변란을 목적으로 폭력혁명을 기도한 반정부조직으로 왜곡, 날조한 사건. 1974년 3월 각 대학에서 유신철폐시위가 빈발, 전국대학의 반독재 연합시위계획에 대한 정부가 입수되는 가운데, 4월 3일 서울대, 연대, 성대, 이대 등 주요대

  • 밀양경찰서폭탄투척의거 / 密陽警察署爆彈投擲義擧 [역사/근대사]

    1920년 12월 27일 최수봉이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경찰서 사무실 안에 폭탄을 던진 의거. 1920년 11월 최수봉은 밀양군 상남면 기산리에 거주하는 김상윤을 만나 독립운동에 투신할 것을 권유받고 응낙하였다. 최수봉은 독립운동의 기세를 올리기 위하여 밀양경찰서를 파괴하

  • 반공포로석방 / 反共捕虜釋放 [역사/현대사]

    1953년 6월 18일 남한 각지에 수용되어 있던 북한출신의 반공포로를 석방한 사건. 1953년 6월 8일 판문점 휴전회담에서 유엔군과 공산군은 포로송환협정을 체결, 귀국을 원하는 포로는 휴전 후 60일 내에 송환하기로 했다. 18일 0시를 기해 영천, 대구, 논산,

  • 방곡령사건 / 防穀令事件 [역사/근대사]

    1884년 이후 곡물반출 금지령으로 말미암아 야기된 조선과 일본 간의 외교적 분쟁사건. 1876년 개항 이후 일본으로의 미곡 수출이 증대되면서 곡물가격이 뛰고 품귀현상 마저 나타났다. 거기에 흉작까지 겹치게 되자, 지방관들은 자기 지방에서 생산된 미곡이 타지방 또는 외

  • 백만명구령운동 / 百萬名救靈運動 [종교·철학/개신교]

    1909년부터 1910년 사이에 한국교회에서 일어났던 전도운동. 한국교회의 조직적인 전도운동 또는 교회부흥운동의 역사는 1907년 대부흥운동에서 비롯되었는데, 백만명구령운동은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운동은 민족의 현실을 개혁하는 문제보다는 내면적인

  • 병인박해 / 丙寅迫害 [종교·철학/천주교]

    1866년부터 1873년 사이 천주교에 대한 대박해. 이 박해는 네 차례에 걸쳐서 행해졌는데, 대원군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대원군은 원래 천주교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었으나, 러시아의 남하정책 때문에 박해하게 되었다. 병인박해 순교자들에 대해 기록한 자료로는 뮈텔(Mu

  • 병인양요 / 丙寅洋擾 [역사/근대사]

    1866년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침입한 사건. 1866년 초에 대원군은 천주교 금압령(禁壓令)을 내려 프랑스신부와 조선인 천주교신자 수 천 명을 학살하였다. 프랑스선교사는 12명 중 9명이 잡혀 처형 3명만이 화를 면했다. 이 중, 리델(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2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