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승만경 / 勝鬘經 [종교·철학/불교]

    불교 경전. 승만부인이 석존에게 자신의 사상을 이야기하고 부처가 이를 기쁘게 받아들인 것을 경의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576년 안홍법사가 수나라에서 귀국하면서 가지고 와서 전래되었다. 경의 전체내용은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만경에는 일승사상과 여래장사

  • 승문원문서 / 承文院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사대와 교린의 문서를 관장하던 관청인 승문원에서 작성·검토·보관한 문서. 따라서 사대문서로서의 주본(奏本)·자문(咨文)·표전(表箋)·방물장(方物狀) 등과 교린문서로서의 왜서계(倭書契)·야인서계(野人書契) 등이 주를 이룬다.

  • 승정원일기 / 承政院日記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에 왕명의 출납을 맡아보던 승정원의 내용을 매일 기록한 일기. 주로 승정원의 주서 또는 가주서가 작성하였다. 특히 영조 20년(1744)과 고종 25년(1888)의 화재로 후반부도 영조 23년(1747)과 고종 26년(1889)에 각각 개수되었다 현전하는 승정

  • 시가 / 詩歌 [문학/고전시가]

    원제명 미상의 가곡가집. 김천택이 편찬한 무신본(戊申本) 『청구영언』(1728)을 저본(底本)으로 삼아 증보·개편한 18세기 중반(1746년 추정)의 가곡가집이다. 수록 작품은 악곡별로 가곡(시조) 719수를 수록하고, 가창가사 「어부사」가 수록되어 있으며, 말미에 「

  • 시가요곡 / 詩歌謠曲 [문학/고전시가]

    편자·연대 미상의 시조 가집(歌集). 1책(총 28장). 순국문 필사본. 수록된 시조작품은 146수이며, 곡목별 편차를 지니고 있어 작품간에 분별이 잘 되어 있다. 시조의 곡목은 ‘여창우됴쳐치·듕허리·막ᄂᆡ·○자지난엽·밤얏자지난엽·계면쳣치·듕허리·막ᄂᆡ·죤자지난엽·농

  • 시가점등 / 詩家點燈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규경(李圭景)이 지은 시화집. 11권 1책(속집 1권 포함). 필사본. 간행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권1의 끝에 ‘庚戌南至月(경술남지월)’이라는 기록이 있다. 또한 권2의 끝에 ‘庚戌臘望王後二日(경술납망왕후이일)’, 권3의 끝에는 ‘庚戌臘月念後始辛亥

  • 시경언해 / 詩經諺解 [언론·출판/출판]

    시류(詩類). 선조(宣祖) 명찬, 목판본, 한성(漢城), 규장각 1820년(순조 20), 20권 7책. 표제는 시경해(詩經解), 간기는 경진(庚辰, 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 선조의 명으로《시경(詩經)》의 원문에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을 1820년에 다시

  • 시국제입장제생 / 示菊製入場諸生 [정치·법제]

    1798년(정조 22) 9월 9일. 정조가 반궁에서 국제(菊製)를 시행할 때에 여러 유생에게 유시한 문서.《정조실록》,《홍재전서》에 이 내용이 실려 있어 작성시기와 작성인 내용을 알 수 있다. 제생이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자 특별히 유시한 것이다. 보물 제1632-3호

  • 시문집 / 詩文集 [문학/고전시가]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19.1×16.3cm이다. 시문(詩文)을 모은 책으로, 제목은 가칭이다.

  • 시식권공언해 / 施食勸供諺解 [언어/언어/문자]

    불가에서 늘 행하는 법사(法事)의 절차와 게송(偈頌) 등을 설명한 책인 『진언권공(眞言勸供)』과 『삼단시식문(三壇施食文)』을 번역하여 합본으로 간행한 책. 2권 1책. 홍치(弘治) 9년(1496) 하오월일(夏五月日)의 발문에 의하면 발문을 쓴 승려가 인수대비(仁粹大妃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