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송사집 / 松史集 [종교·철학/유학]

    송해익의 시문집. 4권2책, 석인본. 1976년에 간행하였다. 권일과 권이에는 167제 222수의 시가 실려 있는데, 형식별로는 칠언율시가 176수로 압도적으로 많다. 권삼에는 서 34, 논 1, 서 3, 기 4, 설 2, 송 1편이 실려 있다. 권사에는 제문 27,

  • 송설당집 / 松雪堂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교육자·시인 최송설당(崔松雪堂)의 시문집. 3권 3책. 석인본. 1922년 최홍렬(崔鴻烈)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윤식(金允植)의 서문과 저자의 자서가 있으며, 권말에 곽윤(郭奫)·최홍렬의 발문이 있다. 권1에 한시 200여수, 권2에 국문시가 60

  • 송암세보사성강목 / 松巖世譜四姓綱目 [사회/가족]

    조선시대 문신 이노가 부모의 내외양계 4성의 직계와 방계를 강·목으로 설정하여 편찬한 족보. 불분권 1책(71장 142쪽). 필사원본이며, 크기는 가로 25㎝×세로 24㎝이다. 무계(無界), 항자수는 일정하지 않으나 1쪽 15행(行) 일행 25자가 가장 많으며, 행서체

  • 송와유고 / 松窩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최찬(崔纘)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이 책은 1919년 4대손 정섭(鼎燮)·용섭(鏞燮)과 5대손 평(坪)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평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272수, 권2에 잡저 2편, 가장 1편, 행적 1편,

  • 송와잡설 / 松窩雜說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에 이희(李墍)가 지은 시화잡록집(詩話雜錄集). 이 책에는 기자조선 때로부터 선조 때까지의 기록이 130여 장 포함되어 있다. 그중에는 수령들의 탐오(貪汚)함을 비판하거나 개가 금지법의 부당함을 지적한 것도 있고, 신식 병기의 편리함을 인정하고, 중국과 우리나

  • 송요화 진산군수 해유문서 / 宋堯和 珍山郡守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745년(영조 21) 12월 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 동년 12월 27일 수전라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1746년(영조 22) 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6월 21일에 송요화(宋堯和)에게 조흘(照訖)하였다. 1741년

  • 송월만록 / 松月漫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위항시인(委巷詩人)인 송월헌(松月軒)임득명(林得明)의 시집. 6권 5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기 때문에 편집·간행내력은 자세히 알 수 없다. 이 책의 체재는 원(元)·형(亨)·이(利)·정(貞)의 4책과 윤집(閏集) 건곤(乾坤)의 1책으로 구성되어 있

  • 송월재집 / 松月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시선의 시문집. 7권 3책. 목판본. 1763년(영조 39) 이시선의 손자 이인산·이인실·이인구 등의 주선으로 이광정의 편집을 거쳐 간행되었다. 1748년에 쓴 이광정과 정범조의 서문, 간행 당시에 쓴 이익의 발문이 있다. 권1∼5는 하화편이라는 제

  • 송자대전 / 宋子大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송시열의 시문집. 215권 102책. 목판본. 1787년(정조 11)에 간행되었다. 송시열의 문집은 ≪송자대전≫의 간행에 앞서 두 종류가 더 있다. 즉, 1717년(숙종 43)에 민진후의 건의에 따라 왕명에 의하여 교서관에서 철활자로 간행한 ≪

  • 송자대전 / 宋子大全 [종교·철학/유학]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5책이며,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2.1×21.8cm이고, 반곽은 21.3×16.4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송자대전(宋子大全)이다.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것으로, 권수는 27권 15책이다.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