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입향조 / 入鄕祖 [사회/촌락]

    어떤 마을에 맨 먼저 정착한 사람이나 조상. 마을은 자연과 인간과 생활이 조화된 전통적 한국 사회의 기반적 단위이다. 여기에서는 비교적 자급자족적인 성격이 강한 농업·임업·어업 등 자연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지며, 생산과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 자녀안 / 恣女案 [사회/사회구조]

    전통시대 품행이 부정하거나 세 번 이상 개가한 양반집 여자의 이름과 소행을 적어 두는 대장. <자녀안> 기록은 그 자손의 관리 임용이 금지, 세 번 이상 개가만은 제도적으로 금지하려는 것이었다. 단종 때에 이르러 비로소 삼가녀가〈자녀안〉에 기록되기 시작하고, 그리고

  • 자동차산업 / 自動車産業 [경제·산업/산업]

    원동기에 의하여 육상에서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된 용구를 생산하는 산업. 자동차산업은 부품 제조와 완성차 조립, 판매, 정비, 할부 금융, 보험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전후방 연관 산업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종합산업이다. 전후방산업에 대한 파급 효과와 규모의 경제 효과가

  • 자방고전 / 字倣古篆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의 글자는 옛 전서체의 한자를 본떠 만들었다.”는 뜻으로서, 『조선왕조실록』 ‘세종 25년 12월조 기사’와 『훈민정음』의 「정인지 서문」 등에서 ‘훈민정음’의 제자 원칙이나 운용 방법을 설명한 말. 『조선왕조실록』 ‘세종 25년 12월조 기사’에 “기자방

  • 자본 / 資本 [경제·산업/경제]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거나 효용을 높이는 데 드는 밑천. 우리나라에서 자본의 축적을 통해 재생산을 하고 산업이 발달하게 된 것은 조선 후기때 비롯되었다. 1883년에 체결된 한영통상조약(韓英通商條約)에 따라 외국상인들의 지방 행상이 허용되어 일상(日商)과 청상(淸商)이

  • 자본가 / 資本家 [사회/사회구조]

    화폐 형태의 부를 소유한 자본주의사회의 지배계급. 한국에서 근대적 의미의 자본가는 1876년 불평등조약의 강요로 비롯된 식민지 초과이윤을 획득한 일본자본가에 의해서 나타났다. 우리나라 독자적 성격의 자본가는 해방 이후 나타났다. 자본가는 산업자본가, 상업자본가, 대부자

  • 자본주의 / 資本主義 [경제·산업/경제]

    생산수단의 사유제 아래에서 상품생산이 행해지는 경제체제. 우리 사회는 18세기 중엽에서 19세기 중엽에 이르는 동안 서구 자본주의의 영향과 관계 없이 자생적인 근대 산업사회로의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근대적 자본주의는 개항 이후 서구 자본주의 문화의 유입과 더불어 이를

  • 자비 / 慈悲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윤리적 덕목 가운데 하나.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을 자라고 하며 중생의 고통을 없애주는 것을 비라 한다. 이러한 자비는 부처가 되기 위해서 실천해야 하는 덕목이면서 또한 성불의 목적이기도 하다. 올바른 대승의 길로 인도하려는 것에 참된 의미가 있다.

  • 자수대학강의 / 自修大學講義 [종교·철학/천도교]

    한국 최초로 실시된 통신대학강좌 또는 그 강의록. 1933년 4월 천도교청년당의 주관으로 시작되었다. 자수대학강의는 종교, 철학, 정치, 경제, 사회, 예술, 체육 등 7개 학과목에 걸쳐 총 533면에 달하는 종합강좌로 3년 동안 이수하는 과정으로 개설되었고, 그 강의

  • 자연주의 / 自然主義 [문학/현대문학]

    세계의 모든 현상과 그 변화의 근본원리가 자연(물질)에 있다고 보는 철학적 체계 또는 문예사조. 우리 사회에서는 1910년대부터 일본을 매개로 자연주의가 도입되었다. 1920년대에 자연주의소설이 발표되지만,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요소를 공유하였다. 한국의 자연주의는 사실

페이지 / 1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