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의장기 / 儀仗旗 [사회/사회구조]

    각종 의전행사에서 위의(威儀)를 갖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 기에는 국가나 단체 기타의 상징을 위하여 사용하는 상징기, 위험을 경고하거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기, 단순히 장식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식기, 기타 축의기·의장기 등이 있다. 의장기는 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 의존명사 / 依存名詞 [언어/언어/문자]

    문장 안에서 홀로 쓰이지 못하는 비자립적 명사. 불완전명사(不完全名詞) 또는 형식명사(形式名詞)라 한다. 의존명사는 문장 안에서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반드시 관형사나 그 밖의 수식어가 선행되어야만 쓰일 수 있다. 이를테면, ㉠ “그분은 언제나 물건은 새것을 산다.”

  • 의태법 / 擬態法 [언어/언어/문자]

    사물이나 인간의 모양이나 태도·행동 등의 양태를 묘사하여 표현하는 비유법의 하나. 의태법은 사물이나 인간의 양태에 대한 묘사력이 뛰어나면 뛰어날수록 현실감을 자아낸다. 특히, 문학작품에서는 지은이의 정밀한 묘사력과 주의깊은 관찰력에 따른 훌륭한 의태법의 구사가 요구된다

  • 의태어 / 擬態語 [언어/언어/문자]

    사물이나 인간의 모양이나 태도·행동 등의 양태를 묘사한 낱말. ‘덥석, 끄떡, 갸우뚱, 후닥닥, 촐랑촐랑, 기웃기웃, 방긋방긋, 울긋불긋, 들썩들썩, 반짝반짝, 사부랑삽작, 엎치락뒤치락, 붉으락푸르락, 헐레벌떡헐레벌떡’ 등이 그 예이다. 사물에서 나는 소리나 인간이 내

  • 의학 / 醫學 [과학/의약학]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조사하여 인체의 보건, 질병이나 상해의 치료·예방 등에 관한 방법과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조선 의학은 초기에는 고려 의학의 전통을 주로 이었으나, 새 나라의 행정이 차차로 정돈되어 감에 따라 의료제도들의 개혁, 의육 및 의과취재(醫科取才)의 혁신

  • 이농 / 離農 [사회/사회구조]

    농가인구가 농촌으로부터 유출되는 현상. 좁은 의미에서 ‘농가인구로부터의 이탈’로 정의되기도 하고, 넓은 의미에서 ‘농가, 농촌, 농업으로부터의 이탈’로 파악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이농이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였고, 농민들은 국경을 넘어 만주나

  • 이두 / 吏讀 [언어/언어/문자]

    한자의 음과 훈(訓: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던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의 하나. 『제왕운기(帝王韻記)』에서는 ‘이서(吏書)’라 하였고,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에서는 ‘이도(吏道)’, 『훈민정음』의 정인지(鄭麟趾) 서문과 『세종실록』에서는 ‘이두’라 불렀으며, 그

  • 이문 / 吏文 [언어/언어/문자]

    중국과 주고받는 외교문서 및 우리 나라의 관청 공문서 등에 사용되던 독특한 한문(漢文)의 문체(文體). 우리 나라에서 이문이 문제된 것은 중국과의 외교문서에 이것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외교문서는 원래 순수한 한문으로 썼으나 이러한 이문으로도 썼는데, 한문만 통달하여서

  • 이문 / 里門 [사회/촌락]

    조선시대 도둑을 단속할 목적으로 전국의 마을 입구에 세운 문. 1464년(세조 10) 한성의 각 마을에 설치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주로 야간 통행자를 검문하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222번지, 중구 남대문로 2가에서 조선호텔로 들어가는 입구, 중구 태평로 2

  • 이물교구설화 / 異物交媾說話 [문학/구비문학]

    사람이 사람 아닌 동물이나 식물과 교구한다는 내용의 설화. 이 술어는 최상수(崔常壽)가 한국 전설을 분류하면서 전설분류항으로 설정한 것인데, 이물의 성격에 따라 동물교구설화와 식물교구설화로 나눌 수 있고, 이물이 남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와 여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로도

페이지 / 1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