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찬기파랑가 / 讚佛謠 [문학/구비문학]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고 기리면서 불교에 귀의하고자 하는 마음과 극락염원을 소망한 노래. 찬불요는 불교의식요의 일종이며, 불교의식요는 또한 신앙의식요의 일종이다. 불교 사찰을 중심으로 한 찬불요로는「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가 있는데, 이것은 고려 때 균여(均如)가

  • 찬신무가 / 讚神巫歌 [문학/구비문학]

    신의 공덕과 외모를 찬양하는 내용의 무가. 신의 공덕을 기리거나, 신의 외모를 묘사하는 내용이 중심이 된다. 고려가요 「처용가」의 “만두삽화(滿頭揷花) 계오샤 기울어신 머리예/아으 수명장원(壽命長遠)하샤 넙거신 니마해/산상(山象)이숫 깅어신 눈섭에/애인샹견(愛人相見)하

  • 참새 기다리는 호랑이 [문학/구비문학]

    참새를 잡게 해준다는 토끼의 꾀에 넘어가 화상을 입은 호랑이에 관한 설화.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꾀쟁이 토끼(혹은 여우)’와 ‘바보 호랑이’의 형식으로 이야기되고 있지만, 외국에서는 ‘꾀쟁이 여우(혹은 이리)’와 ‘바보 곰’의 형식으로 이야기된다. 이야기의 줄거리는 다

  • 참요 / 讖謠 [문학/구비문학]

    음양오행설에 바탕을 두고 앞일에 대한 좋고 궂음을 예언하는 뜻으로 지어 부르는 노래.민요. 참위설(讖緯說)의 영향에서 나온 것으로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의자왕 20년(660)에 귀신이 나타나서 “백제는 망한다. 백제는 망한다.”고 외친 다음 땅속에 들어가므로 임금이

  • 창무회 / 創舞會 [예술·체육/무용]

    한국 전통춤을 토대로 한 오늘의 한국춤을 창작, 모색한다는 취지아래 창단된 무용단. 1976년 12월 발족 당시 예술감독 김매자(金梅子)에 의하여 이화여대 무용과 출신의 제자 5명의 단원으로 출발하였으며, ‘한국성’이라는 민족족 특질과 시대적 인식을 바탕으로 춤 작가의

  • 창세가 / 創世歌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지역에서 전승되던 서사무가. 1923년 당시 함경남도 함흥군 운전면 본궁리에서 여무(女巫) 금쌍돌이가 구연한 것을 손진태(孫晉泰)가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수록한 것이다. 신화소는 소박하고 단순하나, 인간 세상이 태초에 어떻게 형성된 것인가를

  • 창세신화 / 創世神話 [문학/구비문학]

    인간 세계의 창조에 관한 신화.천지개벽신화. 창세신화는 신화로서 신성성을 획득하려면 창세신(創世神)에 대한 제전(祭典)이 확보되어야 한다. 경기도 오산 열두거리굿 중 ‘시루말’거리나 제주도 큰 굿 중 ‘초감제’는 창세신에 대한 제전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채록된 창

  • 창원국가산업단지 / 昌原國家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외동에 있는 국가산업단지. 1976년 9월에 지방공업 장려지구로 지정되면서 창원기계공업공단으로 개칭되었고, 1976년 12월에는 1,416만 평, 1977년 12월에는 1,670만 평으로 확장·조정되어 종합기계공업단지로 조성되어 왔다. 1990년

  • 창원시립무용단 / 昌原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시립 한국무용단. 1984년 경남도립무용단으로 창단하여 경남지역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활동하다가 1987년 3월 창원시의 발전과 더불어 경남 유일의 시립무용단인 창원시립무용단으로 재창단되었다. 초대 상임안무자 김경애 이후, 제2대 이남주, 제3

  • 창주집 / 滄洲集 [종교·철학/유학]

    나학천의 문집. 석인본. 서:송규헌(1926), 후지:나진경(1965), 4권2책. 권1에는 시112제 137수와 사 2편, 유서가 실려 있다. 권2에는 1724~1729년 동안 올린 상소 12편과 장계 6편이 실려 있다. 권3은 서 14편, 연설, 창의록등의 잡저 5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