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어사용 [문학/구비문학]

    나무꾼이 산에 나무하러 가서 부르는 민요. 산간지방에서 들을 수 있는데, 특히 경상북도 태백산맥지역인 영양·영덕·청송·영천 등지에서 조사된 자료가 풍부하다. 이 노래는 주로 머슴들이 부르는데, 산에 가서 나무를 하노라면 늦도록 장가를 가지 못하고 고생만 하는 신세가 더

  • 어순 / 語順 [언어/언어/문자]

    단어(혹은 어절)가 문이나 구절 가운데 놓이는 자리의 일정한 순서. 언어는 음성의 계기성(繼起性)으로 말미암은 선조적(線條的) 연쇄물인 까닭으로 여러 단어가 동시에 나타날 수 없으며, 상대적 전후관계는 배열되는 구속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속을 단순한 제약으로서가

  • 어승생오름 / 어승생오름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차지도 제주시 해안동에 소재하는 화구호를 지닌 분석구. 어승생오름은 한라산 북쪽 산록 표고 950m 지점의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등산로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산정 표고 1,169m의 어승생오름은 비고 350m, 둘레 5,842m, 기저직경 1,968m, 면적 2

  • 어은산 / 魚隱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양구군 수입면에 있는 산. 높이 1,277m.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 중의 한 산으로, 북쪽에는 용문산(龍門山, 1,068m), 동쪽에는 문필봉(文筆峯, 1,008m), 남쪽에는 백석산(白石山, 1,142m)이 있다. 용문산과의 사이에는 내금강에서 발원한 금

  • 어의도 / 於義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어의리에 있는 섬. 동경 126°00′, 북위 35°08′에 위치한다. 목포에서 북서쪽으로 40.8㎞, 지도(智島)에서 북쪽으로 2㎞ 지점에 있다. 면적은 1.60㎢이고, 해안선 길이는 7.8㎞이다. 부속도로 대포작도(大包作島)·소포작도(小包作島

  • 어의도 / 於義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어의리에 있는 섬. 동경 128°39′, 북위 34°57′에 위치한다. 고성에서 동쪽으로 6㎞, 거제도 해안에서 북쪽으로 3.7㎞ 지점에 있다. 면적은 0.43㎢이고, 해안선 길이는 5.0㎞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96명(남 47명, 여

  • 어절 / 語節 [언어/언어/문자]

    한 단어 및 그 이상의 이어진 단어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문장 구성의 한 단위. 구(句, phrase)보다는 작고, 단어보다는 큰 문법단위이다. 어절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의가 있다. 먼저, 문장에서 앞뒤로는 휴지를 두어 발음할 수 있으나, 그 중에는 휴지를 둘 수 없는

  • 어죽 / 魚粥 [생활/식생활]

    생선을 푹 고아서 발라낸 살과 체에 밭친 국물에 쌀을 넣어 끓인 죽. 어장이 있는 해안지역에서 갓 잡은 신선한 생선으로 만든 것이 특히 명물로 칭송된다. 별미음식일 뿐만 아니라 영양가 높은 반유동식이어서 노인의 보양음식으로도 많이 쓰인다. 어죽에 쓰이는 생선 중 도미

  • 어청도 / 於靑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17′, 북위 36°02′에 위치하며, 군산에서 북서쪽으로 72㎞ 지점에 있다. 전라북도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하는 섬이다. 면적은 1.80㎢이고, 해안선 길이는 10.8㎞이다. 주변 바닷물이 거울과 같이 맑아 어

  • 어촌 / 漁村 [사회/촌락]

    바다·강·호수에서 어류·패류·조류(藻類) 등 수산 동식물의 채취·포획·양식·가공·제조 행위를 포함하는 수산업에 주로 의존하여 생활하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촌락의 총칭. 우리 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인 데다가 3,305개의 도서를 가지고 있어 해안선의 길이가 2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