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민정당 / 民政黨 [정치·법제/정치]

    1963년 5월 14일 출범한 보수야당. 5.16 이후의 정치규제조치가 풀리면서 1963년 1월 27일 창당발기인대회를 거쳐 출범하게 되었다. 자유민주주의와 평화적 정권교체 실현을 기본노선으로 삼고, 대표최고위원에 김병로, 대통령후보에 윤보선을 선출했다. 1964년 1

  • 민족명 / 民族名 [사회/사회구조]

    재일 한인의 호적에 기재되어 있는 한국풍의 성명. 해마다 재일한인 중에서 일본 국적을 취득하는 사람들이 꾸준하게 늘고 있다. 1980년대 중반 경에 그들 일본국적 취득자 중에서 자신의 뿌리를 당당하게 드러내며 ‘한국계 일본인’으로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그 대

  • 민족춤제전 / 民族춤祭典 [예술·체육/무용]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민족춤위원회가 매해 3월 말부터 6월 사이 서울에서 주최한 ‘열린사회를 위한 춤 운동’ 예술축제.무용제. 1994년 제1회 행사는 ‘진보·개방’이라는 주제 아래 12개 무용단이 문예회관대극장(현 아르코예술극장)과 마로니에 공원 야외무대에서 공연을 펼

  • 민족통일체육연구원 / 民族統一體育硏究院 [예술·체육/체육]

    한민족 통일 기반조성을 위해 남북체육을 연구하는 학술단체. 남북한 체육교류협력과 관련한 비영리 학술단체로서 북한 체육에 관한 연구 및 정책 개발, 국내외 연구기관·단체 등과의 공동연구 및 연구용역 수탁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북한 체육 관련 정보·자료의 종합관리 및

  • 민주개혁 / 民主改革 [정치·법제/정치]

    해방 직후 북조선 임시 인민위원회가 추진한 일련의 개혁조치. 임시인민위원회는 1946년 3월 23일 <20개 정강>을 발표하고 이에 의거, 민주개혁을 실시했다. 토지개혁법령, 노동자 및 사무원에 대한 노동법령, 농업현물세에 관한 결정서, 남녀평등권에 대한 법령, 중요산

  • 민주공화당 / 民主共和黨 [정치·법제/정치]

    1963년 2월 26일 창당. 제3, 4공화국의 집권여당. 5.16 주체세력을 중심으로 <혁명이념의 계승과 민족적 민주주의 구현>을 표방하였다. 8월 31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입당하여 총재직을 맡았으며, 이후 권위주의적 지도체제하에 계파갈등을 억누르고, 조

  • 민주국민당 / 民主國民黨 [정치·법제/정치]

    1949년 2월 10일 창당된 정당. 한국민주당이 친일정당이라는 이미지의 쇄신과 이승만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신익희의 대한국민당과 지청천의 대동청년단을 규합, 새로이 출범한 것이다. 한국민주당의 구성원, 정강, 정책 등을 그대로 계승한 민국당은 해방 이후 최초의 보수야

  • 민주기지노선 / 民主基地路線 [정치·법제/정치]

    해방직후 북한 공산주의자들이 취한 혁명 노선. <한반도를 미소 양군이 분할점령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제국주의 국가인 미국이 점령한 남한에 혁명근거지를 두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북한을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강화시켜 조선혁명의 근거지로 만든다>는 노선으로서 건당, 건국,

  • 민주노조운동 / 民主勞組運動 [역사/현대사]

    1970년대 전반기에 발생, 후반기에 크게 성장한 노동조합의 자주성과 민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운동. 이 시기에 활약한 대표적인 민주노조로는 청계피복, 동일방직, 삼원산업, 반도상사, 한국모방, YH무역노조 등을 꼽을 수 있다. 민주노조운동의 특징으로는 종교운동 혹은 지

  • 민주주의민족전선 / 民主主義民族戰線 [정치·법제/정치]

    1946년 2월 15일 조직된 좌익통일전선.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반도 신탁통치안이 결정되자, 각 정당, 사회단체들은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싸고 찬탁과 반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조선공산당이 이승만과 미군정의 단독정부수립 노선에 대응, <신전술>을 채택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