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양주향교 / 楊州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향교. 1401년(태종 1)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6·25 때 폐허화되었던 것을 1959년에 중건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내삼문(內三門)·

  • 양지 / 陽智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용인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수주(水州)의 양량부곡(陽良部曲)이었는데, 1399년(정종 1) 양지현으로 고쳐 감무를 두었고, 1413년(태종 13) 현감을 두고 치소를 광주의 추계향(秋溪鄕)으로 옮겼다. 이 때 죽주(竹州)의 고안(高安)·대곡(大谷)·목악(木岳)

  • 양지향교 / 陽智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향교. 1523년(중종 1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과 명륜당·내삼문(內三門)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 양처제 / 梁處濟 [종교·철학/유학]

    1643년(인조 21) 5월 14일∼1716년(숙종 42) 12월 5일.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부는 양희, 조부는 양홍주, 아버지는 양원이다. 처부는 장선연이다. 박세채와 윤증을 사사하여 학문의 요지와 비결을 얻었다. 동몽교관으로 있으면서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

  • 양천서원 / 良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내량리에 있는 서원. 1786년(정조 10)에 홍언박(洪彦博, 1309∼1363)과 홍위(洪瑋, 1559∼1624)를 제향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798년(정조 22)에 홍관(洪灌, ?∼1126)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에

  • 양촌응제시 / 陽村應制詩 [문학/한문학]

    명나라 태조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권근(權近)에게 친제하여 하사한 ‘태조고황제어제시(太祖高皇帝御製詩)’ 3수와 권근이 명 태조의 명에 의하여 지은 응제시(應製詩) 24수를 모아 간행한 책. 1책. 목판본. 보물 제1090호. 1462년(세조 8)에 간행되었다. 13

  • 양파담원 / 暘葩談苑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임렴(任廉)이 편찬한 시화총집(詩話叢集). 8권 8책. 필사본. 1824년(순조 24)에 편집되었다. 권두에 자서(自序)가 있다. 편자는 자서에서 자신의 고조부 방(埅)이 찬(撰)한 『수촌만록(水村漫錄)』이 너무 소략하여 제가(諸家)의 것을 보태어 만들었다

  • 양팽손 / 梁彭孫 [종교·철학/유학]

    1488(성종 19)∼1545(인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사위 증손, 할아버지는 담, 아버지는 이하, 어머니는 최혼의 딸이다. , 1516년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했으며, 또 현량과에 발탁되었다. 교리, 정언, 용담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학포유집≫ 2

  • 양풍운전 / 楊豊雲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목판본·필사본·활자본. 「양풍운전」은 전반부에서는 가정소설적 성격을, 후반부에서는 영웅소설적 성격을 지닌 작품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이 작품은 교첩의 간교한 마음이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정문제의 여러 변수를 제시하고 있다는

  • 양향청 / 糧餉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훈련도감 소속의 재정 관서. 1593년(선조 26) 훈련도감의 발족과 함께 설치되었다. 훈련도감에서 소용되는 의복·무기·비품 등의 물품을 조달하고, 급료 등의 재정을 관리, 운영하였다. 관제로는 도제조 1원, 제조 3인, 낭청(종사관) 1인의 관원을 두었다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