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이봉서 / 李鳳瑞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 유생. 이반계의 후손이다. 일찌기 도암 이재에게서 가르침을 받은 학덕을 겸비한 선비였다. 병석에 있던 아버지가 자라가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엄동설한인지라 낚시를 드리울 곳이 없다’하며, 강가에 나와 통곡하였다. 1699년(숙종 25) 호남

  • 이봉징 / 李鳳徵 [종교·철학/유학]

    1640(인조 18)∼1705(숙종 31). 조선 후기의 문신. 주 증손, 할아버지는 창정, 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이원량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생원, 이 해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수찬, 사인·부제학, 개성유수, 전라도관찰사, 대사헌, 형조참판을

  • 이봉환 / 李鳳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0). 영의정 홍봉한의 천거를 받아 관직에 나아가 양지현감에 이르렀다. 문장으로 세상에 드날렸다. 1770년(영조 46) 경인옥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던 중 옥사하였으며, 시문집으로《우념재시고》1책이 있다.

  • 이사명 / 李師命 [종교·철학/유학]

    1647(인조 25)∼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 증손, 할아버지는 구여, 아버지는 민적, 어머니는 황일호의 딸이다. 1680년(숙종 6) 춘당대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 해 정언으로 임용되고 서인에 가담하였다.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병조판

  • 이산두 / 李山斗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0∼1772). 1732년(영조 8)에 유생으로 강경거수가 되어 직부전시의 특혜를 받았다. 기로소에 들어갔을 때 영조는 그를 자주 볼 수 없음을 안타까이 여겨 공인에게 그의 도상을 그려 오라 하고, 원손에게 ‘구십세상’이라는 네 글자를 쓰게

  • 이산해 / 李山海 [종교·철학/유학]

    1539(중종 34)∼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장윤의 증손, 할아버지는 치, 아버지는 지번, 어머니는 남수의 딸이다. 1561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정자, 부수찬, 병조좌랑, 사헌부집의,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아계집≫이 있다

  • 이산해설화 / 李山海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산해에 관한 설화. 이산해탄생담과 동서 분당을 예언한 이야기가 있다. 이산해의 아버지 이지번(李之蕃)이 명나라에 사신이 되어 갈 때 산해관에서 유숙하면서 집에 있는 부인과 동침하는 꿈을 꾸었다. 그런데 이지번의 부인도 같은 날 남편과 동침하는 꿈

  • 이산휘 / 李山輝 [종교·철학/유학]

    1644년(인조 22)∼1698년(숙종 24).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이여 후손, 증조는 이욱, 조부는 이후원이다. 부친 이주와 모친 이시방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홍처후의 딸이다. 돈령부참봉, 예산현감, 장악원주부, 통천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슬하에 4남

  • 이삼 / 李森 [역사/조선시대사]

    1677(숙종 3)∼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사길. 윤증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병조판서 김구의 천거로 1705년(숙종 31)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 1721년(경종

  • 이삼석 / 李三碩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정 증손, 할아버지는 세헌, 아버지는 창, 어머니는 이빈의 딸이다. 1680년(숙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경상좌도 암행어사, 장령, 지평, 승지,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