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이민영 / 李敏英 [종교·철학/유학]

    1653년(효종 4)∼1722년(경종 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택민, 조부는 이기선이다. 부친 이몽석과 모친 안응창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684년(숙종 10)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정언·문학·필선·헌납·장령 등을 지냈다. 1698년(숙종 24)

  • 이민적 / 李敏迪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극강 증손, 할아버지는 유록, 아버지는 경여, 어머니는 임경신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정여에게 입양, 양모는 윤황의 딸이다. 윤문거의 문인이다. 1646년(인조 24) 진사, 1656년(효종 7) 별시문과에

  • 이박 / 李璞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진문이다. 1636년(인조 14) 무과급제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임천군수 이각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웠다. 1637년 소현세자가 볼모로 적도 심양에 갈 때 시위하였고, 돌아와서 선전관이

  • 이방소관승후관진부진단자 / 吏房所管承候官進不進單子 [정치·법제]

    고종 때 이방 소관의 승후관의 근무 여부를 기록한 단자. 승후관은 임금의 환후나 출산을 앞둔 왕후 등의 기거 및 안부를 여쭙는 관원으로 대개 임금의 종친이나 외척 중에서 임명되었다. 이 단자에는 이헌직, 민응식, 민영환, 민경호, 이범진, 민치헌, 이경직, 민병승 등

  • 이방익 / 李邦翼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충장장, 오위장, 전주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아버지는 탐라도에서 여러 대를 살아오며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장을 지낸 이광빈(李光彬)이다. 1784년(정조 8)에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선전관·충장장(忠壯將)·오위장·전주중군(全州中軍)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

  • 이벽 / 李檗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학자(1754∼1786). 초기 천주교인. 1779년(정조 3) 기호 지방의 남인 학자들이 광주의 천진암과 주어사에서 강학회를 열었을 때, 천주교에 대한 지식을 동료 학자들에게 전하여 신앙운동이 일어나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말년에 효 사상과 천주교 사상

  • 이벽선생몽회록 [문학/고전산문]

    1777년(정조 1)정약종(丁若鍾)이 지은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표제는 ‘새벽젼’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의 말미에는 “뎡유뎡아오스딩셔우등셔졍이라.”라고 기술되어 있다. ‘뎡아오스딩’은 정약종의 세례명이므로 정약종이 정유년에 기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

  • 이병 / 李炳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694(숙종 20). 조선 후기의 학자. 식의 현손, 할아버지는 익, 아버지는 인실이다. 저서로는 단천에 유배되었을 때에 지은『부춘당북천록』이 있다.

  • 이병립 / 李柄立 [역사/근대사]

    1904년(광무 8)∼미상. 1917년부터 1919년 화룡현 공립 제16국민학교, 1924년 중동학교를 졸업, 연희전문학교 진학하여 재학 중 1924년 박일병·김찬 등이 조직한 사회주의운동 단체인 신흥청년동맹 집행위원에 선임, 1925년에는 이선호·정달헌 등과 함께

  • 이병모 / 李秉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2∼1806). 영조·정조·순조 대에 청요직을 역임 후 1799년과 1803년 두 차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동지부사로서, 진하사로서, 책봉주청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를 정조 명으로 편찬하였다.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