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개항기 1,76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개항기
  • 정순검증시문서 / 鄭純儉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궁내부대신 정순검(鄭純儉)에게 '충헌(忠憲)'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려국망가왈충 행선가기왈헌'이라 적어 충헌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 정여창 / 丁汝昌 [정치·법제/외교]

    1836-1894. 중국 청말 회군 장령. 1853년 태평천국군이 여강 현성을 공격하자 18세의 정여창은 태평천국군 정학계 부하로 참여하여 안경에 주둔하였다. 증국전은 투항한 정학계를 상군에 편입, 게자영을 이끌게 하였는데, 정여창은 초관으로 천총을 제수, 1888년에

  • 정역 / 正易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종교사상가 김항이 주창한 역학사상 스승은 이운규이다. 후일 동학과 ≪정역≫의 공통사상인 선후천개벽사상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 김항은 54세 되던 1879년에 ‘영동천심월’의 오묘한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입도시에 표현해 놓고 있다. 1884년에 ≪정역≫의

  • 정용기 / 鄭鏞基 [정치·법제/국방]

    1862년(철종 13)∼1907년. 한말의 의병장. 의병장 환직의 아들이다. 1905년(광무 9) 을사조약 강제체결되자 통문을 보내 일제의 침략상을 규탄하였다. 1907년 의병장으로 4백명을 거느리고 청하, 청송 등지에서 일본군 4명을 격살, 영천에서 일본 헌병 3명

  • 정음종훈 / 正音宗訓 [언어/언어/문자]

    권정선(權靖善)이 지은 음운학분야의 저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등을 원방상형설에 바탕을 두고 설명한 책이다. 대한제국 학부 국문연구소의 기록에 나타난 사본이며, 1906년의 저술로 명시되어 있다. 또한, 같은 연대로 기록되고 내용도 비슷한 『음경(音經)』 초고가 있는데

  • 정재무도홀기 / 呈才舞圖忽記 [예술·체육/무용]

    조선후기 고종 연간에 궁중 정재의 절차를 기록한 예술서.무보. 조선시대 궁중 연향 때 공연할 정재를 위해 만든 무보로서, 정재별로 배열도와 춤 진행 절차, 반주음악과 창사(唱詞)가 수록되었다. 공간적으로 무원의 배치를 알려주는 배열도와, 시간적으로 춤의 진행을 알려주는

  • 정조법 / 定租法 [경제·산업/경제]

    소작 계약 때 미리 일정한 수량을 정하고 추수 후 분배하는 소작관행의 한 형태. ‘도조(賭租)’, ‘도지(賭只)’, ‘지정(支定)’이라고도 한다.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조선 후기부터 나타났으며, 특히 궁장토(宮庄土), 역둔토(驛屯土), 묘위전(墓位田), 사전(寺

  • 정진헌 / 鄭鎭憲 [종교·철학/유학]

    1834년(순조 34)∼1911년. 조선 말기 유학자. 조부는 정유곤, 부친은 정관왕, 생부는 정연광이다. 문장이 훌륭하여『훈지양선생어록』의 서문과『만회문집』의 발문을 쓰기도 하였다. 문집으로 8권 4책의『하산문집』이 전하는데 시는「고암잡영」‧「팔경」등의 자연시들과 헌

  • 정한론 / 征韓論 [정치·법제/외교]

    조선을 무력으로 정벌하자는 일본의 침략주의적 팽창론. 정한론은 1868년 메이지유신을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1873년에 이와쿠라 일행의 구미 시찰로 정권을 장악한 사이고 다카모리, 이타가키 다이스케 등은 정환론을 실행에 옮기기로 결정하였다.

  • 정해택증시문서 / 鄭海澤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병조판서 정해택(鄭海澤)에게 '무장(武莊)'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절충어모왈모 무능지중왈장'이라 적어 무장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융희 4) 8월 20일 순종은 26명에게 시호를 주었다.

페이지 / 17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