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구자무불성화간병론 / 拘子無佛性話看病論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승려 혜심이 간화선법(看話禪法)의 지침서로 찬술한 의례서.불교수행서. ‘개에게 불성이 없다.’고 하는 화두(話頭)를 들 때 생기기 쉬운 여러 가지 마음의 병을 열거하여, 수행자들이 이것을 극복하고 올바른 깨달음을 얻게 하기 위하여 지은 것이다. 그는 먼저 이

  • 구장기별기 / 九張機別伎 [예술·체육/무용]

    고려시대 송나라에서 전래된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1073년(문종 27) 11월 신해(辛亥)에 임금이 팔관회를 베풀고, 신봉루(神鳳樓)에 나아가 감상할 때에 교방여제자(敎坊女弟子) 초영(楚英)이 새로 전한 「포구락(抛毬樂)」과 「구장기별기」를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 구재 / 九齋 [역사/고려시대사]

    고려 때 최충이 설립한 사학. 국자감과 같은 정도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최충은 문종 때에 관직을 떠난 후 후진양성을 위해 사숙을 개설하였는데, 생도들이 많이 몰리게 되자 학반을 악성·대중·성명·경업·조도·솔성·진덕·대화·대빙의 9재로 나누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 구전정사 / 口傳政事 [정치·법제/정치]

    고려 후기 왕의 구두명령을 받아 정치하는 것을 뜻하는 말. ≪고려사≫에 의하면 1319년(충숙왕 6)에 왕이 이창에게 구전수직하여 당후관에 임명한 것이 그 시초라고 보고 있다. 구전정사는 본래 정상적인 절차는 아니며, 전정이 문란해지면서 왕이 구전으로 관리를 임명하는

  • 구정유고 / 龜亭遺槁 [종교·철학/유학]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생존한 문신 남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9년에 간행한 시문집. 상·하 2권 1책. 활자본. 1675년(숙종 1)과 1689년에 저자의 11대손 학명(鶴鳴)·용익(龍翼) 등에 의하여 편집되었으나 간인(刊印)하지 못하고 산일(散佚)되었던 것을

  • 구제도감 / 救濟都監 [과학기술/의약학]

    고려시대 질병환자의 치료 및 병사자의 매장을 관장하던 임시관서. 1109년(예종 4) 개경의 백성들이 질병에 걸리자 이들을 치료하고, 병으로 죽은 사람들의 시체와 뼈를 거두어 드러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 구족달 / 仇足達 [예술·체육/서예]

    고려전기 「강릉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충주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등의 글을 쓴 서예가. 한윤(韓允)·민상제(閔賞濟) 등과 함께 신라 말과 고려 초 구법(歐法)의 대가로 평가된다.940년(태조 23)에 건립되어 현재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사에 있는 보현사낭원대사오

  • 구주 / 龜州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구성 지역의 옛 지명. 원래 고구려의 만년군(萬年郡)인데, 994년(성종 13) 성종이 평장사(平章事) 서희(徐熙)에게 명하여 이곳에 살던 여진족을 내쫓고 성을 쌓아 구주라 칭하여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방어사(防禦使)를 두

  • 구주성 / 龜州城 [예술·체육/건축]

    북한 평안북도 구성시 구성읍에 있는 고려전기 서희가 구축한 석축 성곽.산성. 내성의 둘레 약 5㎞, 외성의 둘레 약 2㎞, 이구산(犛邱山)의 자연지세를 잘 이용하여 쌓은 돌성으로 고려 성종 13년(994)에 서희(徐熙)가 거란의 침략을 막아내기 위해 구축하였고, 170

  • 구천각 / 九千閣 [예술·체육/건축]

    북한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동흥산(東興山)에 있는 고려전기 함흥읍성의 누정.누각·조경건축물. 정면 3칸, 측면 3칸의 2익공 사모지붕건물. 함흥읍성(咸興邑城)의 북장대(北將臺)로서 고려 예종 3년(1108)에 처음 세우고, 1713년(숙종 39)에 고쳐 지었다.전

페이지 / 13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