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74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 전함병량도감 / 戰艦兵糧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전함을 건조하고 군량미를 보급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1274년(원종 15)과 1281년(충렬왕 7) 일본에 원정을 하였고, 그 때마다 고려는 900척에 이르는 군선을 건조, 수만명의 원정군을 파견하고 군량도 차출하였다. 원래 군선을 관장하는 특정한 기

  • 정과정곡 / 鄭瓜亭曲 [문학/고전시가]

    고려 때 정서(鄭敍)가 지은 가요. 『고려사』 악지에 제작동기와 이제현(李齊賢)의 해시(解詩)가 수록되어 있으며, 우리말 노래는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전한다. 또, 『대악후보(大樂後譜)』에는 노래와 함께 곡조도 아울러 표시되어 있다. 우리말로 전하는 고려가요 가운데

  • 정도사조탑형지기 / 淨兜寺造塔形止記 [언어/언어/문자]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 정도사에 있었던 고려시대 오층석탑의 조탑기(造塔記). 탑을 경복궁으로 옮길 때에 탑 안에서 나온 백지묵서(白紙墨書)에 쓰여 있었다. 1031년(태평 11, 현종 22)에 쓰여진 이두문으로 11세기를 대표하는 것이다. 군백성(郡百姓) 광현(

  • 정도전 / 鄭道傳 [종교·철학/유학]

    1337-1398. 여말선초의 유학자. 이색에게서 배웠다. 1383년 이성계의 참모가 되었고 1388년 위화도회군을 계기로 조선건국의 기초작업을 하였다. <조선경국전>을 지어 치국의 대요와 관제 등 모든 문물과 제도를 정비하였다. 제1차 왕자의 난때 이방원에 의해 참수

  • 정몽주 / 鄭夢周 [종교·철학/유학]

    1337-1392. 고려 말의 유학자. 삼은의 한 사람이다. 1360년에 과거급제하 여러관직을 두로 역임하였다. 이성계의 세력이 커지자 그 일파를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선죽교에서 피살당했다. 조준, 정도전 등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온건개량파의 입장에서 유교를 진흥하

  • 정부원 / 征婦怨 [문학/한문학]

    고려말에 정몽주(鄭夢周)가 지은 한시. 칠언절구 2수. 『포은집(圃隱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는 출정나간 남편을 기다리며 괴로워하는 한 아낙의 호소를 읊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고려 말기의 혼란한 정치적 상황에서, 외침이 빈번하여 많은 남정네들이 국경지대로

  • 정산 / 定山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사(原詞)는 전하지 않으며, 노래의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악지 속악조(俗樂條)에 전하고,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공주의 속현인 정산의 백성들이 굽은 나무의 얽힌 마디를 비유하여

  • 정서 / 鄭敍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 『과정잡서』, 「정과정곡」 등을 저술한 문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항(鄭沆)의 아들이다. 인종비 공예태후(恭睿太后) 동생의 남편으로서 왕의 총애를 받았다. 음보로 내시낭중(內侍郎中)에 이르렀으며, 1151년(의종 5)에 폐신 정함(鄭諴)·김존중(金存中)의

  • 정석가 / 鄭石歌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요(俗謠). 『악장가사』와 『시용향악보』에 전한다. 『고려사』 악지(樂志)에는 그 배경설화나 명칭이 전혀 보이지 않고 있어 고려 속요라 단정할 수 없다. 그러나, 형식적 장치와 주제 및 정조(情調)로 보아 속요와 동질적이므로 일반적으로

  • 정선향교 / 旌善鄕校 [교육/교육]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에 있는 향교. 1110년(예종 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605년(선조 38)에 대홍수로 향교가 유실되자 향유(鄕儒) 정유열(鄭有說)·유대방(劉大芳)·최흥립(崔興岦) 등이

페이지 / 7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