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 이유태 / 李惟泰 [종교·철학/유학]

    1607(선조 40)∼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서이다. 희릉참봉, 대군사부, 지평, 집의, 공조참의, 이조참의, 우부승지,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초려집≫ 26권이 전한다.

  • 이윤망 / 李贇望 [종교·철학/유학]

    1694년(숙종 20)∼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 유학자. 아버지는 이경배, 어머니는 정영주의 딸이다. 처부는 이의연이다. 재종숙 이명배에게서 수학하였는데, 모계는《소학》이 학문하는 근본임을 그에게 가르쳤다. 이후 밀암 이재를 찾아가 뵈었다. 슬하에 아들 이

  • 이윤성 / 李潤成 [종교·철학/유학]

    1719년(숙종 45)∼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이방협의 아들이다. 1736년(영조 12) 병조판서 박문수의 천거로 남행선전관에 제수되었다. 1758년에 제주목사로 나아가 수입된 호마의 방목에 힘썼다. 1769년에 양주목사가 되었다. 사후 형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이윤영 / 李胤永 [종교·철학/유학]

    1714년(숙종 40)∼1759년(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이색의 14대손, 이기중의 아들, 이태중의 조카이다. 노론의 문사들인 송문흠·김종수·김무택·신소·황경원 등과 교유하며 지은 많은 시문이《단릉유고》·《단릉산인유집》에 실려 있다. 글씨는 예서와 전서

  • 이윤중 / 李允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선비(?∼?). 이서 후손으로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고향인 강화 송해에서 여생을 보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저서에는《포상만록》이 있다.

  • 이은 / 李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81). 1740년 진사, 남평현감을 역임했다. 1759년 정시문과 급제 후에 교리가 되었다. 수찬·승지·이조참의·대사헌·이조참판·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한 후 찬집청도제조를 거쳐 진하 겸 사은정사로 청에 다녀왔다

  • 이을규 / 李乙奎 [종교·철학/유학]

    1508∼1545. 조선 중기의 문신. 수 증손, 할아버지는 구산, 아버지는 한주, 어머니는 조계량의 딸이다. 1531년(중종 26)에 진사가 되고, 1535년에 문과별시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형조좌랑을 거쳐 승문원교리에 이르렀다. 1537년(중종 30)에 사은사 겸

  • 이응 / 李膺 [종교·철학/유학]

    1365(공민왕 14)∼1414(태종 1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희충이다. 1385년(우왕 11) 문과에 급제, 1400년(정종 2) 방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한 공으로 1401년(태종 1) 익대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고 영양군에 봉작되었다. 좌부대

  • 이응윤 / 李應胤 [종교·철학/유학]

    1573∼1620. 조선후기의 문신. 이세기 후손, 부친은 이대립이다. 한백겸의 문인이다.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벼슬은 첨정에 이르렀다. 광해군 때 낙향하였다. 저술로『삼서집의록』,『관향요결』등이 있다.

  • 이응종 / 李應鍾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유학자‧의병장. 완풍대군의 8세손이다. 윤교형의 문인이다. 1558년(명종 13)는 생원으로 성균관에서 수학하였으나 붕당의 조짐을 보고 귀향하였다. 예학을 연구하여『가례부기』를 저술하였다. 임진왜란시 호남 의병에 가담하여 광주의 의병 진영에

페이지 / 35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