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불교 32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불교
  • 능가경요간 / 楞伽經料簡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능가경』의 주요 내용을 선별하여 논술한 교리서. 불교교리서. 원효가 찬술한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에 언급되어 있어 원효의 저술로 추정되는 권수 미상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 능가경종요 / 楞伽經宗要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능가경』의 내용을 집약하고 핵심요지를 설명한 해설서. 불교해설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고산사성교목록(高山寺聖敎目錄)』, 『나라록(奈良錄)』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 능엄경 / 楞嚴經 [종교·철학/불교]

    대승불교 경전 중의 하나. 마음이란 그 어느 곳에도 없음을 밝히고 깨달음의 본성과 과정, 여래장이 무엇인가에 관하여 설하고 있다. 10권으로 되어 있다.

  • 능엄경사기 / 楞嚴經私記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의첨이 『능엄경』을 해석하여 1797년에 간행한 주석서. 불교서. 1권 1책. 목판본. 1797년(정조 21) 팔공산 동화사(桐華寺)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홍직필(洪直弼)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희문(喜聞)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능엄경』에서 설명한

  • 능엄경신과 / 楞嚴經新科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보환이 『능엄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2권 2책. 목판본. 대선사 경지(鏡智)가 간행하였다. 권말에 김지정(金之楨)의 발문이 있다. 보환의 또 다른 저서인 『능엄경산보기(楞嚴經刪補記)』에 대한 김지정의 간기(刊記)에 의하면, 보환은 『능엄경』에

  • 다비 / 茶毘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전통적인 화장 장례의식. 이 의식의 절차는 먼저 오방불(五方佛)에 귀의하여 오방불의 자비심으로 죽은 이의 영혼을 잘 인도하여 줄 것을 발원한다. 이어서 죽은 이가 승려였을 경우, 삭발시키는 삭발의식을 행하고, 몸을 깨끗이 한다는 뜻에서 목욕·세수·세족 의식을 차

  • 다비문 / 茶毘文 [종교·철학/불교]

    청평산 문수사에서 다비에 대한 의식문과 절차를 정리하여 1542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1책. 편찬자는 미상이다. 1542년(중종 37) 강원도 청평산 문수사(文殊寺)에서 개판(開板)하였다. 내용은 앞부분에 천수경(千手經)·사자단작법(使者壇作法)·제불통청(諸

  • 다비문 / 茶毘文 [종교·철학/불교]

    해인사에서 정행이 다비에 대한 의식문과 절차를 정리하여 1882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1책. 목판본. 1882년(고종 19) 해인사에서 간행되었다. 권말에 봉기(鳳機)의 발문이 있고 부록으로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와 「승속오복도(僧俗五服圖)」가 있다.

  • 다비설 / 茶毘說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긍선이 다비의식을 선의 입장에서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조선 말기의 조계종 승려였던 백파 긍선의 저술서로, 「삭발편(削髮篇)」을 시작으로 「소석회송(燒席灰頌)」까지 2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비의식을 다룬 것이지만 의례집은 아니며, 다비의식을 선(禪

  • 다송시고 / 茶松詩稿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승려 금명 보정의 시 「순치황제출가시」·「영평시」 등을 수록한 시집. 불교시집. 구한말 조계종의 승려였던 금명보정이 자신이 쓴 시 1,000여 편을 모은 책이다. 총 3편으로 구성되는데, 제1편에는 430편 582수의 시가 수록되어

페이지 / 3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