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도교 3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도교
  • 난랑비서 / 鸞郎碑序 [종교·철학/도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최치원이 화랑인 난랑을 위하여 지은 서문. 금석문. 작자는 최치원(崔致遠, 857-908)이다. 전문은 전하여지지 않고 일부만이 『삼국사기』의 「신라본기」 진흥왕 37년(576)조 기사에 인용되어 있다. 「난랑비서」가 있었다는 사실도 『삼국사기

  • 남사고비결 / 南師古秘訣 [종교·철학/도교]

    조선전기 학자·도사 남사고가 역리(易理)를 근거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예언한 도참서. 참위서. 이 책은 처음에 저자에 대한 간략한 약력을 소개하고 있고 예언서(豫言書)·세론시(世論視)·계룡론(鷄龍論) 등 논 18편, 궁을가(弓乙歌)·은비가(隱祕歌) 등 가사 30편, 출

  • 남화경 / 南華經 [종교·철학/도교]

    중국 전국시대의 대표적인 도가사상가인 장주가 지었다고 전하는 도가서. ≪남화진경 南華眞經≫ 또는 ≪장자남화경 莊子南華經≫이라고도 한다. 원래 이름은 ≪장자≫였으나 당나라 현종(玄宗)이 천보(天寶) 원년(742)에 존경하고 숭상한다는 뜻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 때

  • 남화경산보 / 南靴經刪補 [종교·철학/도교]

    장자의 『남화경』을 풀이한 주석서. 2편 6책. 필사본. 산보한 사람과 연대는 자세하지 않다. 권두에 1721년에 쓴 선영의 자서가 있고, 다음에 범례인 장자소언(莊子小言) 12조가 있다. 내편과 외편으로 나누어서 내편은 2책으로 소요유(逍遙遊)·제물론(齊物論)·양생

  • 노자주해 / 老子註解 [종교·철학/도교]

    조선후기 학자 박세당이 노자의 『도덕경』을 풀이한 주석서. 2권 1책. 목판본. ‘신주도덕경’이라고도 한다. 간행 연대는 미상이다. 예와 지금의 전주(箋註:본문의 뜻을 해석한 주석)를 참작하여, 삭제할 것을 삭제하고 보충할 것을 보충하면서 저자의 의견과 평을 추가하였

  • 단전호흡 / 丹田呼吸 [종교·철학/도교]

    단전을 이용한 호흡법. 도교의 장생술의 일종이다. 단전호흡은 시대와 도맥에 따라 각기 다르다. 단전은 세 개가 있다. 상단은 이환이라 하여 눈썹 위 3촌에 위치하며, 중단은 강궁금월이라 하여 명치에 위치하고, 하단은 흔히 말하는 단전으로서 배꼽 밑 2촌4푼에 위치하고

  • 답산록 / 踏山錄 [종교·철학/도교]

    삼국시대 신라 승려 도선이 산세와 물길에 따라 국가의 운명이 결정된다는 내용으로 서술한 가사집. 첫머리에 사험결(沙驗訣)을 비롯하여 주마육임정국(走馬六壬定局)·통천규첩법(通天窺捷法)·산도(山圖)·답산가·설심부(雪心賦)·마상시(馬上詩)·금낭시(錦囊詩)·지리종지(地理宗旨

  • 대성 / 大星 [종교·철학/도교]

    중국 『육임대전』의 중요 부분을 요약 정리하고, 의견을 첨가하여 알기 쉽게 엮은 역학서. 음양서. 2권 2책. 필사본. 작자 및 연대는 미상이다. 이 책은 신살전도(神煞全圖), 신살 7편, 부(賦) 2편, 점과(占課) 22편, 과점(科占) 9편, 필법(畢法) 100편

  • 도교 / 道敎 [종교·철학/도교]

    신선사상을 기반으로 자연 발생하여, 거기에 노장사상·유교·불교 그리고 통속적인 여러 신앙 요소들을 받아 들여 형성된 종교. 도교가 종교의 형태로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 莊子≫·≪열자 列子≫ 등에 드러나 있는 도가사상은 존재하고 있었다. 동서고금

  • 도덕경 / 道德經 [종교·철학/도교]

    노자가 지었다는 도가의 대표적인 책. 상편 37장을 <도경>, 하편 44장을 <덕경>이라고 한다. 성립연대 및 저자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다. 여러가지 판본이 전해오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한나라 문제때 하상공이 주석한 하상공본과 위나라 왕필이 주석한 욍필본이 있다

1 2 3 4
페이지 / 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