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1,8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미지무 / 美知舞 [예술·체육/무용]

    신라 신문왕 9년(689) 임금이 신촌에서 잔치를 베풀었을 때 추던 춤의 하나. 감(監) 4인, 금척(琴尺) 1인, 무척(舞尺) 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흥왕 때 만든 것으로 향인(鄕人)이 즐기던 미지악(美知樂)이 있는데, 이 미지악과 미지무는 같은 흐름의 무악(舞樂

  • 민관식 / 閔寬植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대한체육회 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한 체육인.관료. 1918년 개성에서 태어난 민관식은 경기고의 전신인 경성제일고보(1937)와 수원고등농림학교(현 서울대 농대)를 졸업한 후 일본에 건너가 교토제국대학 농예화학과를 졸업했다. 6·25전쟁이 끝

  • 민병대 / 閔丙大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감독, 대한축구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한 체육인. 1918년 2월 20일 출생으로, 고창사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배재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축구부 선수로 활동하면서 일본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1936년 베를린올림픽 축구경기에 참가했다.1

  • 민병휘 / 閔丙徽 [예술·체육/연극]

    생몰년 미상. 일제 강점기 극작가·평론가. 출신지는 경기도 개성(開城)이다. 1920년대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인 ‘카프(KAPF)'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1926년 《시대일보에》에 〈동인군의 ‘흘노리’를 읽고〉를 발표하면서부터 평론활동을 시작하였다. 경기도

  • 민속춤 / 民俗舞 [예술·체육/무용]

    세시풍속과 농경생활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민간에 전승되는 춤. 민속무용은 신직자(神職者)들이 주축이 되어 추는 종교적인 춤과 민간인들이 추는 춤으로 분류할 수 있다.우선 종교적인 춤을 살펴보면 무(巫)굿에서 행하여지는 무당춤과 사찰에서 큰 재(齋)를 지낼 때 승

  • 민족춤제전 / 民族춤祭典 [예술·체육/무용]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민족춤위원회가 매해 3월 말부터 6월 사이 서울에서 주최한 ‘열린사회를 위한 춤 운동’ 예술축제.무용제. 1994년 제1회 행사는 ‘진보·개방’이라는 주제 아래 12개 무용단이 문예회관대극장(현 아르코예술극장)과 마로니에 공원 야외무대에서 공연을 펼

  • 민족통일체육연구원 / 民族統一體育硏究院 [예술·체육/체육]

    한민족 통일 기반조성을 위해 남북체육을 연구하는 학술단체. 남북한 체육교류협력과 관련한 비영리 학술단체로서 북한 체육에 관한 연구 및 정책 개발, 국내외 연구기관·단체 등과의 공동연구 및 연구용역 수탁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북한 체육 관련 정보·자료의 종합관리 및

  • 민충사 / 愍忠祠 [예술·체육/건축]

    조선시대 유적. 1457년(세조 2) 단종(端宗)이 강원도 영월로 유배되어 1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그를 모시던 노복과 시녀가 낙화암(落花巖)에서 금강에 몸을 던져 사절하였다. 1742년(영조 18)에 사당을 건립, 1749년(영조 25) 사당을 중수하며 민충사

  • 민화 / 民畵 [예술·체육/회화]

    정통회화의 조류를 모방하여 생활공간의 장식 및 민속적인 관습에 따라 제작되었던 실용화. 민화는 장식장소와 용도에 따라 종류를 달리하고 있는데, 화조도, 어해도, 작호도, 신방생도, 산수도, 풍속도, 무속도 등이 있다.

  • 민화장 / 民畵匠 [예술·체육/공예]

    민화를 전문적으로 그리는 일 또는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조선시대에는 화가들 중에 가장 천하게 여겨져 온 사람이 민화가였다.6·25 이후까지도 민화장들은 겨울철이면 시골마을이나 장터를 무대로 괴나리봇짐에 간단한 필구와 물감을 준비하여

페이지 / 18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