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 무용 28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무용
  • 광주항쟁삼부작 / 光州抗爭三部作 [예술·체육/무용]

    1995~1998년에 걸쳐 공연된 5·18광주민주화운동에 관한 현대무용. ‘광주항쟁 3부작’은 「그 해 오월」(1995), 「편애의 땅」(1997), 「그들의 결혼」(1998)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주항쟁 3부작’은 5·18광주민주화운동의 현장을 재현하며 대한민국의

  • 교방가요 / 敎坊歌謠 [예술·체육/무용]

    『악학궤범』에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 중의 하나. 이는 춤이라기보다 임금의 대가(大駕)의 행로(行路)에서 가요(歌謠)를 적은 축(軸)을 올릴 때 「학무 鶴舞」와 「연화대 蓮花臺」 등을 연출하여 임금을 즐겁게 하는 행사이다.연출 내용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길

  • 교방춤 / 敎房舞 [예술·체육/무용]

    고려와 조선시대의 교방 소속 기녀가 교방에서 학습하고 공연했던 모든 춤. ‘교방춤’은 두 가지 의미로 구분된다. 하나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교방 소속 기녀가 교방에서 학습하고 공연했던 모든 전통춤 종목을 총괄하여 이르는 말이다. 당악정재와 향악정재 그리고 각 지방 교

  • 구장기별기 / 九張機別伎 [예술·체육/무용]

    고려시대 송나라에서 전래된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1073년(문종 27) 11월 신해(辛亥)에 임금이 팔관회를 베풀고, 신봉루(神鳳樓)에 나아가 감상할 때에 교방여제자(敎坊女弟子) 초영(楚英)이 새로 전한 「포구락(抛毬樂)」과 「구장기별기」를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 국립무용단 / 國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서울에 소재하고 전국에서 공연하는 공공 무용단. 한국의 춤 유산을 계승하고 춤 양식을 개발하여 춤을 진흥하는 데 목적을 두고 1962년 2월에 창단되었다. 국립무용단은 국립극장(서울 명동 소재) 산하 단체로 창단되어 한국무용 계열의 송범과 발레 계열의 임성남의 공동 단

  • 국립발레단 / 國立발레團 [예술·체육/무용]

    서울에 소재하고 전국에서 공연하는 공공 발레단. 한국에서 발레의 양식을 정립하고 레퍼토리 개발을 통해 발레를 진흥할 목적으로 1962년 국립무용단 소속으로 창단되었다. 1972년 국립무용단에서 독립하여 국립중앙극장(서울 장충동 소재) 산하 단체로 재출범하였다. 임성남(

  • 국연정재창사초록 / 國讌呈才唱詞抄錄 [예술·체육/무용]

    윤용구가 정재에서 부르던 구호(口號)·치어(致語)·창사(唱詞)를 묶어서 엮은 악서.잡저. 필사본.표제는 ‘국연정재창사초록전’이라 되어 있고 표지에 기록된 제작연월은 광무 5년 신축(辛丑) 7월, 즉 1901년으로 되어 있으나 정작 편자의 후기에는 1894년, 즉 고종

  • 국제현대무용제 / 國際現代舞踊祭 [예술·체육/무용]

    서울에서 열리는 현대춤의 국제적 제전. 1982년 5월문예회관(서울)에서 (사)한국현대무용협회가 주최한 제1회 현대무용협회향연을 효시로 출발하였으며, 1984년 한국현대무용제, 1988년 국제현대무용제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2003년부터 모다페라는 약칭을 병용해서 열렸

  • 굿거리춤 / 굿거리춤 [예술·체육/무용]

    풍물 판굿이나 탈춤을 출 때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 풍물 판굿이나 탈춤 중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추는 소고춤 등 개인기를 굿거리춤이라고 한다. 또는 그 춤사위도 굿거리춤이라고 한다. 기녀들이 입춤을 출 때 사용되는 장단 역시 주로 굿거리와 자진굿거리가 사용되는

  • 궁시무 / 弓矢舞 [예술·체육/무용]

    둑제(纛祭)의 아헌 때에 활과 화살을 들고 추던 춤. 둑제는 경칩·상강에 거행되었으며 잔을 올릴 때 「납씨가(納氏歌)」를 노래하는데, 초헌에는 「간척무(干戚舞)」, 종헌에는 「창검무(槍劍舞)」를 추었다. 철변두(撤籩豆)에는 「정동방곡(靖東方曲)」을 노래하였다.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