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2,22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경현당선마록 / 景賢堂宣麻錄 [역사/조선시대사]

    1767년(영조 43) 봉조하(奉朝賀) 남유용(南有容)·김상익(金尙翼)·박성원(朴聖源) 등에게 선마(宣麻)한 내용을 기록한 책. 1권 1책. 활자본. 책 끝에 왕의 교지를 받들어 쓴 남유용의 발문이 있다.내용은 1767년 1월 14일 남유용·김상익·박성원 등 3인이 함

  • 경현록 / 景賢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유학자 김하석이 김굉필의 시와 사적을 중심으로 1719년 증보, 편찬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도동서원(道東書院)에서 간행하였다.편찬과정을 살펴보면, 처음에 이정(李楨)이 김굉필과 조위(曺偉)의 사적을 엮어 『경현록』 1책을 만들었는데, 뒤에 김굉필의

  • 경효전 / 景孝殿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명성황후 민씨의 신주를 봉안한 혼전(魂殿: 喪廳). 명성황후가 1895년 을미사변으로 시해당하자 그 해 10월 복위되어 국장을 치르면서 설치되었다. 장소는 경운궁 문경전이었는데, 경효전으로 개칭하였다. 1897년 홍릉에 안장되고, 1921년 고종의 신주와 함

  • 경효전일기 / 景孝殿日記 [역사/근대사]

    1895년 8월 20일부터 1898년 10월 20일까지 명성황후 민씨의 혼전(魂殿)행사를 기록한 일지.관청일기. 1권 1책. 필사본. 1895년 8월 20일부터 1898년 10월 20일까지 3년간의 모든 의례행사를 기록한 일기이다. 편자는 미상이나 경효전의 실무담당관들

  • 계갑록 / 癸甲錄 [역사/조선시대사]

    1703년 박세당의 『사서사변록』에 대한 찬반의 상소·청대 등을 수록한 정치서. 이 책은 이 때부터 1723년(경종 3) 박세당이 ‘문정(文貞)’이라는 시호로 신원되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제1책 상권에는 상소 및 계(啓) 등 24건이 실려 있다.즉, 1703년

  • 계림잡전 / 鷄林雜傳 [역사/고대사]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김대문이 고구려·백제·신라의 설화를 모아 엮은 설화집. 『삼국사기』는 김대문의 저술로 『고승전(高僧傳)』·『화랑세기(花郎世記)』·『악본(樂本)』·『한산기(漢山記)』 등을 소개하면서, 『계림잡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계림잡전』이 지금

  • 계미기사 / 癸未記事 [역사/조선시대사]

    1583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동서당론에 관계된 기사를 모아 수록한 정치서.잡저. 1책. 필사본. 1583년(선조 16)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의 시정(時政)을 기록한 것으로, 이이(李珥)를 중심으로 동서당론에 관계된 기사를 뽑아 편찬하였다. 『대동야승』 권25에

  • 계미동사일기 / 癸未東槎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문신 윤순지·조경 등의 일행이 1643년 2월부터 1643년 11월까지 일본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 정사 윤순지(尹順之), 부사 조경(趙絅), 종사관 신유(申濡) 등이 1643년(인조 21) 2월부터 11월까지 10개월간 일본을 다녀온 사실에 관한 일기

  • 계미진신풍우록 / 癸未搢紳風雨錄 [역사/조선시대사]

    1583년 이이를 중심으로 전개된 동서당론과 관련되는 소·차·계 등을 수록한 역사서. 2권 2책. 필사본. 1582년 동서분당이 뚜렷해지자 병조판서 이이는 6조소(六條疏)를 올리고, 또 6진폐소(六陳弊疏)를 올려 선조의 신임을 강화시켰다.그러나 이때 그는 여진족(女眞族

  • 계방록 / 桂坊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영조 연간에 세자에 대한 강학을 일기체 형식으로 기록한 역사서. 3책. 필사본. 저자는 미상이다. 계방이란 본래 왕세자를 호위하는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다른 이름이나, 이 책은 오히려 호위보다는 강학에 관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다. 즉, 저자가 다른 관원

페이지 / 22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