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 선사시대사 38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선사시대사
  • 대전비래동고인돌 / 大田比來洞─ [역사/선사시대사]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구조형식은 개석식 지석묘이다. 가장 큰 구조적인 특징은 지석묘 축조를 위한 봉분형의 원형 성토부의 존재이다. 성토부는 계곡부의 제1.2호 지석묘에서 확인되었다. 매장주체부가 남아 있는 제1호의 경우, 층위상 성토 후

  • 대전탄방동유적 / 大田炭坊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취락유적. 1993년한남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시굴조사 결과 야산의 남쪽 경사면에 다수의 움집터가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민무늬토기와 타날문토기(打捺文土器) 조각들이 출토되었다. 그 중 움집터 1기가

  • 대쪽모양동기 / ─銅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돌널무덤에서 출토된 칼손잡이나 대나무를 쪼갠 듯한 모양의 청동기. 두 마디의 대나무를 세로로 쪼개놓은 형태로 표면에 평행세선문(平行細線文)과 점선문(點線文) 등 기하학적인 무늬를 새기고 반원형 꼭지〔鈕〕에 세 가닥의 굵은 실을 꼬아 만든 고리〔絡繩形鐶〕를 위

  • 대항리패총 / 大項里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조개미[蛤九味]에 있는 조개더미. 1981년 4월 11일에 전라북도 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으며 지정면적 3,484㎡에 이른다. 석래산(石來山, 244m)을 배경으로 하고, 변산해수욕장에서 동쪽으로 1km 떨어진 변산면 대항리의 조개미

  • 덕곡리지석묘군 / 德谷里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덕곡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지석묘는 덕곡리의 마을회관 뒤쪽과 주변의 논밭에 모두 15기가 있으며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상석과 지석을 갖춘 기반식지석묘로서 상석의 크기는 대체로 길이 2.2m, 너비 1.4m, 높이 0.8m이며 노출

  • 덕성월근대리유적 / 德城月近坮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남도 북청군 하거서면(현재 북한의 덕성군) 월근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주거지유적. 거서천 기슭, 북청 남대천지류에 있으며, 유물 가운데 석기류로는 반월형석도 2점, 석촉 3 점, 석착 2점, 석부 1점 등이 출토되었고, 토기류로는 갈색마연토기와 흑색마연토기편들이 출

  • 덕적도패총 / 德積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에 있는 조개더미 유적. 1954년 국립박물관에서 실시한 서해도서조사를 통하여 덕적도를 비롯한 소야도(蘇爺島)·승봉도(昇鳳島) 등에서 빗살무늬토기가 나오는 패총의 소재가 알려졌으며, 1967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중심으로 자세한 조사

  • 덕천인 / 德川人 [역사/선사시대사]

    평양 근처 덕천 승리산 동굴 유적의 제4층에서 발견된 중기 구석기시대의 인류화석. 승리산 동굴은 평양 동북쪽 75㎞ 지점에 있다. 1972년부터 1973년에 걸쳐 북한의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에 의해 발굴이 실시되었다. 이 덕천인은 동물화석을 근거로 중기 홍적세(中期洪

  • 덧널 [역사/선사시대사]

    널을 넣기 위해 따로 짜맞춘 매장시설.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것을 말하며, 곽(槨)과 같은 의미의 용어이다. 매장시설은 시체를 직접 넣는 널〔棺〕, 이를 안치할 수 있는 보호시설로서의 덧널, 곽의 외부시설로서의 묘실(墓室)이 있다. 널과 덧널은 쉽게 구분된다. 즉

  • 덧띠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아가리 바깥부분에 단면이 원형 내지 타원형 또는 삼각형의 덧띠를 말아 붙여서 아가리를 두껍게 만든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아가리에 단면이 원형·타원형·삼각형인 덧띠를 말아 붙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토기의 표면은 적갈색·흑갈색·갈색 등을 나타내고 있으며, 점토대의

페이지 / 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