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 근대사 1,26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근대사
  • 허형 / 許炯 [역사/근대사]

    1894-1963년. 독립운동가. 평안남도 안주 출신. 1919년 3·1운동 후에 서울에서 조선독립청년단을 조직,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안국동 이도제(李道濟)의 집에서 노령(露領)지방의 이동휘(李東輝)가 경상북도 경주에 거주하는 최익선(崔益善)에게 보내는 “우리들의

  • 헌병사령부 / 憲兵司令部 [역사/근대사]

    구한말 설치된 헌병대를 총할하던 기관. 헌병제도는 육군참장 백성기의 건의가 받아들여져 1900년 6월 30일 '육군헌병조례'가 반포됨으로써 창설되었다. 대한제국의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만들어졌으나, 1905년 4월 일제에 의해 군대가 감축될 때 사령부, 본부, 구대(區

  • 헤이그특사사건 / 헤이그特使事件 [역사/근대사]

    1907년 고종이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해 일제에 의해 강제 체결된 을사조약의 불법성을 폭로하고 한국의 주권 회복을 열강에게 호소한 외교 활동. 회의 참석이 거부되자 우분울읍(懮憤鬱悒)하던 끝에 이준이 7월 14일 순국하게 되었다. 특사 일행은 만국평화회의가

  • 현상로 / 玄相魯 [역사/근대사]

    미상-1919년 3월 13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현남로(玄南魯)이다. 1919년 3월 13일 조선독립기성총회(朝鮮獨立期成總會)가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정촌(龍井村) 서전평야(瑞甸平野)에서 주최한 3·1독립운동축하식에 참석하였다.

  • 현상윤 / 玄相允 [역사/근대사]

    1893-?. 항일기의 독립운동가·교육가. 3·1운동의 계획과 추진에 중요한 구실을 한 인사 16인 중 한 사람으로, 3·1운동 후 복역한 뒤, 중앙고등보통학교 교장, 조선민립대학기성회 중앙집행위원을 지냈다. 광복 후 보성전문학교 교장을 지내다가, 고려대학교로 승격되

  • 현순 / 玄楯 [역사/근대사]

    1880-1968. 독립운동가. 일명 송원상(宋元相). 서울 출신. 1919년 3·1운동 때 목사로서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뒤 중국 상해(上海)에 밀파되어 평화회의의 주도자인 미국대통령 윌슨(Wilson, T. W.)과 평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어 동양평화유지에

  • 현시화 / 玄始化 [역사/근대사]

    1892-1968.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연주(延州)로 제주 표선면(表善面) 세화리(細花里)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으며 보천교(普天敎)를 믿다가 무극대도교(無極大道敎)의 핵심 신도가 되어 포교 활동을 하였다. 1940년 제주도 내에 신도들이 확

  • 현정경 / 玄正卿 [역사/근대사]

    1886-1941. 독립운동가. 본명은 병근(炳瑾). 호는 하죽(河竹). 평안북도 박천 출생. 1919년의 3·1운동 후 만주 동삼성(東三省)으로 망명하여 한족회(韓族會)와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등에 가담하여, 항일활동을 하였다. 1920년에는 광한단(光韓團)을 조

  • 현천묵 / 玄天默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 본관은 수원(水原). 호는 백취(白醉). 함경북도 경성 출신. 1910년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점하자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후 서일(徐一)을 만나 대종교에 입교하여 1911년 1월 참교(參敎), 1913년 4월 지교(知敎), 1917년 5월

  • 형평운동 / 衡平運動 [역사/근대사]

    1923년부터 일어난 백정(白丁)들의 신분 해방 운동. 1923-1924년 조선노농총동맹, 조선청년총동맹 등이 탄생하면서 이들의 지원을 받게 되고, 또 이들 단체와 제휴도 이루어지면서 형평운동은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각종 파업, 소. 작쟁의 등에 참여하는 등 다른 사

페이지 / 12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