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70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중철 / 重綴 [언어/언어/문자]

    체언이나 용언어간의 받침을 어간의 종성에도 쓰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의 초성에도 다시 쓰는 표기 방식. 체언이나 용언어간의 받침을 조사와 어미의 초성으로 내려 쓰는 연철 표기(말ᄊᆞᆷ+이→말ᄊᆞ미)에서 받침을 그대로 종성에 쓰는 분철 표기(말ᄊᆞᆷ+이→말ᄊᆞ

  • 중학 국문법책 [언어/언어/문자]

    1947년에 김근수(金根洙, 1910~1999)가 지은 중학교 초급용(오늘날의 중학교 과정용) 문법 교과서. 『중학 국문법책』은 저자가 일러두기에서 밝힌 것처럼 중학교 국어과 교수요목에 준거하여 중학교 초급용(또는 고급용) 교과서로 사용하도록 편찬된 것이다. 책의 구성

  • 중학말본 [언어/언어/문자]

    최태호(崔台鎬, 1915∼1987)가 중학교용 교재로 지은 문법 교과서. 최태호가 집필하여 1957년에 사조사에서 발행한 중학교 문법 교과서로 각 학년별로 쓸 수 있도록 3책으로 되어 있다. 1책에서는국어와 문법, 국어와 한글, 말소리, 글월, 글월의 성분, 품사, 토

  • 중화 / 中和 [언어/언어/문자]

    음운체계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음소들의 대립이 어떠한 환경에서 없어지는 현상. 국어에서는 음절말(音節末) 위치에서 자음의 중화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국어의 ‘ㅂ’, ‘ㅍ’, ‘ㅃ’은 어두(語頭) 위치에서는 ‘불[火]’, ‘풀[草]’, ‘뿔[角]’에서

  • 증수무원록언해 / 增修無寃錄諺解 [언어/언어/문자]

    1790년(정조 14)에 『증수무원록대전(增修無寃錄大全)』을 정조의 명에 의하여 서유린(徐有隣) 등이 언해한 법의학서(法醫學書). 시체의 시기적인 변화로부터 사인(死因)의 규명에 이르기까지의 법의학적 감정을 필요로 한 각종 사항과 검사 종류의 재료, 또는 검안서식

  • 증주삼자경 / 增註三字經 [언어/언어/문자]

    1825년에 홍의영(洪儀泳)이 중간본 『신간삼자경(新刊三字經)』을 개편한 훈몽서(訓蒙書). 『증주삼자경』은 아동교육에 필요한 한자의 경문을 3자씩 떼어 구결로 토를 달고 한자로 주석한 훈몽서이다. 중국에서 아동들에게 한자를 가르치는 데 사용한 대표적인 교과서인 『삼자경

  • 지시대명사 / 指示代名詞 [언어/언어/문자]

    대명사를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로 양분하는 체계에서의 대명사의 한 하위류. 사물을 가리키는 ‘이것, 그것, 저것, 무엇’과 처소를 가리키는 ‘여기, 거기, 저기, 어디’를 묶어 지시대명사로 한다. 따라서, 지시대명사는 흔히 사물대명사와 처소대명사로 다시 가른다. 그리고

  • 지장경구결 / 地藏經口訣 [언어/언어/문자]

    『지장보살본원경』, 곧 『지장경』의 한문구절 사이에 한자를 차용하여 구결을 단 책. 이 책(권상)에는 다라니(陀羅尼)의 한글 음역(音譯)이 나타나는데, 『지장경』을 저본으로 한 『월인석보』 권21에 보이는 같은 다라니의 한글 음역은 물론이고, 『오대진언(五大眞言)』이나

  • 지장경언해 / 地藏經諺解 [언어/언어/문자]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을 언해하여 간행한 불경언해서. 변상도(變相圖) 서문과 주문(呪文)의 뒤에 본문이 시작되는데, 이 본문 앞에 ‘지장보살본원경언ᄒᆡ 권샹’, ‘월린쳔강지곡 졔이십일’, ‘셕보샹 졔이십일’(釋譜詳節의 ‘節’이 빠져 있다.)과 같이 세 가지

  • 지정사 / 指定詞 [언어/언어/문자]

    용언의 하나. “이것은 책이다.”, “이것은 책이 아니다.”의 ‘-이다, 아니다’를 최현배의 ≪우리말본≫에서 ‘잡음씨’라고 하였다. 이 지정사를 동사·형용사와 함께 용언의 한가지로 보고, 그의 10품사 중의 하나로 세웠다. 지정사로서의 ‘-이다’와 ‘아니다’의 ‘-이-

페이지 / 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