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 한국은어사전 / 韓國隱語辭典 [언어/언어/문자]

    1963년에 장태진(張泰鎭, 1927~2012)이 펴낸 한국 은어(隱語) 사전. 『한국은어사전』은 ‘(Ⅰ) 은어~공통어, (Ⅱ) 공통어~은어, (Ⅲ) 돈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 뒤에는 ‘(Ⅳ) 은어수집란’으로 공란의 백지를 두어 독자가 직접 은어를 수집할 수

  • 한국음운론학회 / 韓國音韻論學會 [언어/언어/문자]

    1983년 음운론과 인접 학문의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학술단체. 1983년 2월 22일 ‘음운론연구회’로 창립된 후, 1996년 9월 ‘한국음운론학회’로 개명하였다. 회원은 정회원, 준회원, 명예회원 및 특별회원으로 구성하고 있다. 강독회 연 2회와 학술발표대회 연

  • 한국응용언어학회 / 韓國應用言語學會 [언어/언어/문자]

    1978년 세계 여러 언어의 학문적인 응용과 학술교류를 위해 설립된 학술단체. 1978년 세계 각 국의 관련학회 회원들과의 교류 및 국외 학자 초빙 등을 통하여 응용언어학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학술단체이다. 회원은 정회원(부회원), 준회원, 단체회원, 특별회원으

  • 한국지명총람 [언어/언어/문자]

    한글학회에서 우리나라의 고금 지명을 지역별로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여 펴낸 총서. 원래 하버드대학의 지원에 의해 연세대학교 동방문화연구소에서 전국 지명 조사가 시작되었지만 사업의 성격을 감안하여, 당시 연세대학교 총장 백낙준과 연세대학교 교수이자 학글학회 이사장이던 최현

  • 한국한자음 / 韓國漢字音 [언어/언어/문자]

    본래의 한자음이 한국어의 음운체계에 합치하도록 변형된 한자음. 한자의 토착화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에서 통용되는 한자음으로 특별히 중국음·일본음 등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만 한국한자음(Sino-Korean)이라 한다. 한국한자음이라 하더라도 시대에

  • 한글 [언어/언어/문자]

    1446년(세종 28) ‘훈민정음’이란 이름으로 반포된 한국의 고유 문자. 세종은 일반 민중이 글자 없이 생활하면서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음을 마음 아프게 여겼다. 그들 민중은 관청에 호소하려 해도 호소할 길이 없었고, 억울한 재판을 받아도

  • 한글간소화방안 / 한글簡素化方案 [언어/언어/문자]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지시에 따라 만들어진, ‘소리나는 대로 적기’를 기본으로 한 한글 맞춤법 개정안. 1949년 10월 9일 당시 대통령이던 이승만이 담화를 통해 맞춤법 개정의 필요성을 제기함에 따라 만들어진 한글 표기법안. 간소화 3개조와 용례, 부록 등을

  • 한글갈 [언어/언어/문자]

    최현배(崔鉉培)가 지은 훈민정음에 관한 이론적 문제와 역사적 문제를 다룬 연구서. 저술동기에 대해서는 머리말에서 “훈민정음에 관한 일체의 역사적 문제와 한글에 관한 일체의 이론적 문제를 크고 작고를 망라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논구하여 그 숨은 것을 드러내며, 그 어두운

  • 한글마춤법개정안 [언어/언어/문자]

    한글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을 개정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 정경해의 한글 표기법 연구서. 「한글마춤법개정안」은 총론 3장, 각론 1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론은 “제1장 한글마춤법은 사람 사람이 쉽게 배워서 마쳐 쓰기 편한 것으로 정한다. 제2장 국문법은, 말 소

  • 한글마춤법통일안 / ─統一案 [언어/언어/문자]

    1933년에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국어 정서법 통일안. 1933년에 공표된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 통일안은 총론 3항, 각론 7장 63항, 부록 2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론은 통일안의 기본적인 강령을 밝힌 것으로 첫째, 표준말은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고, 둘

페이지 / 7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