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사회 7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사회
  • 이농 / 離農 [사회/사회구조]

    농가인구가 농촌으로부터 유출되는 현상. 좁은 의미에서 ‘농가인구로부터의 이탈’로 정의되기도 하고, 넓은 의미에서 ‘농가, 농촌, 농업으로부터의 이탈’로 파악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이농이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였고, 농민들은 국경을 넘어 만주나

  • 이문 / 里門 [사회/촌락]

    조선시대 도둑을 단속할 목적으로 전국의 마을 입구에 세운 문. 1464년(세조 10) 한성의 각 마을에 설치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주로 야간 통행자를 검문하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222번지, 중구 남대문로 2가에서 조선호텔로 들어가는 입구, 중구 태평로 2

  • 이발소 / 理髮所 [사회/사회구조]

    남자의 머리털을 깎아 다듬거나 모발 염색, 얼굴 면도를 업으로 하는 장소. 이용원 또는 이발관이라고도 함. 이발소는 본래 서양에서 외과병원을 겸하기도 했기 때문에 간판이 적색·백색·청색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간판의 시초는 1540년 파리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

  • 이정 / 里正 [사회/촌락]

    조선시대 지방행정조직의 최말단 단위인 이의 책임자. 조선 후기에 와서 그 담당자들이 낮은 신분 출신으로 동네의 심부름꾼과 다름없이 되었으므로 이정(里丁)이라고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군현 이하의 하부조직으로는 면(面)·사(社)·방(坊)·동(洞)·이(里)·촌(村) 등 여

  • 이정표 / 里程標 [사회/촌락]

    도로나 선로(船路) 등의 길 가장자리 일정한 곳에 이르는 거리를 적어 세운 푯말이나 표석(標石). 이정표가 언제, 어떤 형태로 발생했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기능상으로 볼 때 우리 나라의 고대 신앙형태인 솟대나 장승, 성황당을 이와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이족촌 / 吏族村 [사회/촌락]

    조선시대의 중인인 향리·서리가 집단적으로 거주한 마을. 이족은 지위의 세습 여부에 따라 그 지방출신으로 아전을 대대로 맡는 향리와 다른 지방에 와서 임시로 근무하는 가리(假吏)로 구분할 수 있다. 이족촌은 전자가 집단적으로 거주한 마을을 가리킨다. 이 마을은 중앙과

  • 이칠총파업 / 二七總罷業 [사회/사회구조]

    1948년 2월 7일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약칭 전평)가 남한 지역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위한 총선 준비를 위해 입국한 유엔조선위원단을 반대하여 일으킨 파업 투쟁. 2·7 총파업은 미군정의 진압으로 실패하였고, 2월 26일 미국이 주도하는 유엔소총회는 남한지역만의 단독

  • 이태원 / 梨泰院 [사회/촌락]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로서 주한 미군을 비롯한 외국인, 외국 상품, 외국 문화의 집결지. 조선시대 말에는 일제가 식민지 통치를 위한 군사기지를 용산에 두었고, 1945년 해방 후에는 그 자리에 미군이 주둔해왔다. 외국군의 주둔은 이태원 일대의 성격을 규정하게

  • 인구 / 人口 [사회/사회구조]

    인간집단의 계수(計數)로서 정치적·경제적·사회문화적으로 구획된 일정한 지역내에 거주하는 주민. 인구는 국민·인종·민족 등과는 다르며 일정한 지역내에 있는 주민 전부를 포괄하는 말로서 그 지역에 사는 외국인이나 이민족도 포함된다. 반대로 그 나라 국민이라고 해도 그 지역

  • 인구주택총조사 / 人口住宅總調査 [사회/사회구조]

    전국 인구와 주택의 총수와 기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총조사. 한국의 총조사는 일본의 식민지였던 상황에서 1925년 간이총조사부터 시작되었다. 일본은 1920년 최초로 ‘국세조사(國勢調査)’라는 다소 과장된 명칭으로 제국 전체에 걸친 ‘현주인구(現

페이지 / 7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