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 당나귀알설화 [문학/구비문학]

    수박을 당나귀알로 잘못 알고 샀으나 결국은 행운을 얻는다는 내용의 설화. 소화(笑話) 중 치우담(痴愚譚)에 속하며, 국내의 여러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다. 이 설화는 어리석은 행동이 두번에 걸쳐 전개되는 해학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설화는 어리석음 그 자체를 긍정하

  • 당본풀이 [문학/구비문학]

    마을신인 당신(堂神)의 내력담. 이는 유독 제주도 지역의 당에 많이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서, 마을굿을 할 때 심방(무당)에 의하여 구연되는 설화이다. 이처럼 설화 형식화된 당본풀이는 그 전기적 사건의 전개를 기·승·전·결의 4단계 진행으로 설명할 수가 있다. 당본풀이는

  • 대감타령 [문학/구비문학]

    서울 및 경기 지역 재수굿 중 대감굿에서 불려지는 무가. 대감굿은 터주신을 제향하는 굿거리로 대감청배와 대감공수에 이어 대감놀이가 행하여지는데 여기서 「대감타령」이 불려진다.「대감타령」은 서정무가로서 굿놀이에서 신과 인간이 함께 유대를 강화하면서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 대대로내려온불씨설화 / 代代─佛氏說話 [문학/구비문학]

    며느리를 통해 대대로 내려오는 불씨를 지켜 내려다가 동자삼을 발견하고 부자가 된 이야기. 대대로 내려온 불씨 설화는 본질적으로는 불씨를 지켜 내는 이야기이다. 불씨를 지피는 행위는 본래 화덕이나 아궁이에서 연료를 때는 행위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연료가 황금이나

  • 대동기문 / 大東奇聞 [문학/구비문학]

    조선시대 역대 인물들의 전기·일화들을 뽑아 엮은 책. 4권 1책. 이 책에는 태조대 배극렴(裵克廉)으로부터 시작하여 고종대 민영환(閔泳煥)에 이르기까지 총 716항이 실려 있다. 이어 부록으로 ‘고려말 수절제신(高麗末守節諸臣)’편에 정몽주(鄭夢周) 이하 98항이 첨가되

  • 대동야승 / 大東野乘 [문학/구비문학]

    조선시대 야사(野史)·일화(逸話)·소화(笑話)·만록(漫錄)·수필(隨筆) 등을 모아 놓은 책. 조선 초부터 인조 때까지의 작품들을 수록한 것이다. 『대동야승』은 총서명(叢書名)으로, 한 개인이 저술한 것이 아니라 여러 저자들에 의하여 편술된 것이 특징이다. 구성체재는 조

  • 도깨비감투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몸에 붙으면 그것을 붙인 사람의 형체가 보이지 않는다는 마술적인 물건에 관한 설화. 어떤 사람이 우연한 기회에 도깨비감투를 얻었다. 그것을 쓰면 자신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그 사람은 감투를 이용하여 시장에 가서 남의 물건을 훔쳐 오기 시작하였다. 그

  • 도깨비방망이설화 [문학/구비문학]

    도깨비와 보물이 나오는 도깨비방망이를 소재로 한 설화. 이 설화는 판소리계 소설 「흥부전」의 기본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형제간의 갈등이 빈자와 부자라는 사회적 차원의 주제로 구현되고 있는 「흥부전」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도깨비설화 [문학/구비문학]

    도깨비를 소재로 한 설화. 도깨비는 여러 형태로 나타나지만, 대개는 약간의 신성(神性)을 가진 요괴(妖怪)로서, 인간에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의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 전설이나 야담에는 신성성이 아직도 어느 만큼 인정되나, 설화에는 민간신앙의 대상이었던 도깨비가

  • 도랑선배청정각씨노래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망묵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1926년함경남도 홍원군에서 손진태(孫晉泰)가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수록한 것이다. 이 무가는 한 여인의 지극한 정성과 사랑이 하늘을 감동시켰다는 것으로서, 부부 애정의 소중함을 가르쳐 주는 무속신화이다. 이

페이지 / 6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