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차년법 / 差年法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관리의 직위 교체와 승진 등의 인사제도에서 기준이 되는 근무 기간의 산출방법. 관리의 인사고과를 위한 근무 기간 파악방법에는 연 단위의 차년법, 월을 단위로 하는 개월법, 일을 단위로 하는 도숙법이 있었다. 그러나 관찰사·도사 등은 ≪경국대전≫에 임기가
차비 / 差批 [정치·법제]
1882년 차비(差批)는 청에 입국할 때 요구되었던 문서. 차관과 달리 사신 일행이 갖고 가는 문서명만 기록되어 있고, 다음으로 사신 일행이 지나가는 관사와 역참으로 하여금 지체됨이 없도록 당부한 짧은 내용의 글이 있다. 발급자는 의정부, 수급자는 사절단 일행인 종인(
차비관 / 差備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의례 등의 특별한 일을 맡기기 위하여 임시로 임명하는 벼슬. 조선 시대 종묘 제사, 가례 등의 의전을 행할 때 특별한 임무를 맡아보기 위하여 임시로 임명되던 관원인데, 유사시에 쓸 목적으로 미리 정해 둔다. 예차는 유사시에 쓸 차비관을 미리 정하는 것이고, 실차는 나
차비충의위 / 差備忠義衛 [정치·법제/법제·행정]
가례 등의 의례 행사 때 충의위에서 의장을 위해 차출된 군인. 조선 시대 가례 및 향사 등의 의례 행사 때 임시로 도감이 만들어지거나 할 때 의장, 의례 행사에 동원할 관원을 차비하였다. 이때에 중앙 군인 오위의 충의위에서 많이 차출되었다.
차비충찬위 / 差備忠贊衛 [정치·법제/법제·행정]
가례 등의 의례 행사 때 충찬위에서 의장을 위해 차출된 군인. 조선 시대 가례 및 향사 등의 의례 행사 때 임시로 도감이 만들어지거나 할 때 의장, 의례 행사에 동원할 관원을 차비하였다. 이때에 중앙 군인 오위의 충찬위에서 많이 차출되었다. 그들은 주로 원종공신의 자
차산필담 / 此山筆談 [문학/한문학]
저자 미상의 「삼난금옥」·「시각습장」·「원납이문」 등 16편이 수록된 종합서.한문단편집. 2권 2책. 필사본. 『차산필담』에 수록된 작품은 건(乾)권에 「영가김씨부부적음설 永嘉金氏夫婦積陰說」·「홍녀가천치귀록 洪女嫁賤致貴錄」·「시각습장 試榷慴將」·「삼난금옥 三難金玉」·「
차옥당소도운 / 次玉堂小挑韻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황정욱(黃廷彧)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로 『지천집(芝川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옥당에 있을 때 이순인(李純仁)의 시 「옥당소도(玉堂小桃)」에 차운한 작품이다.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영향을 깊이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작자의 시는 대체로 교건기굴(矯健
차좌일 / 車佐一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사명자시집』을 저술한 시인. 차천로(車天輅)의 6대손이며, 아버지는 차윤태(車潤泰)이다. 어머니 백씨(白氏)가 그를 잉태하였을 때 하지장(賀知章)을 꿈에 보아 그의 자와 호를 따라 지었다 한다. 하지장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소식(蘇軾)의 흔적도 많다. 경사
차청음 / 次淸音 [언어/언어/문자]
유기(有氣)·무기(無氣), 유성(有聲)·무성(無聲) 등에 의한 조음방법으로 나눈 두자음(頭子音)의 분류 중 하나. 전통적인 중국의 음운학인 등운학(等韻學)에서는 두자음(頭子音)에 해당되는 자음, 즉 성모(聲母)를 유기(有氣)·무기(無氣), 유성(有聲)·무성(無聲) 등에
찬궁 / 攢宮 [정치·법제/법제·행정]
국장 중 빈전 혹은 정자각에 재궁을 모셔 두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 국장에서 시신을 넣은 재궁을 능에 묻기 전까지 보관하는 곳을 찬궁이라 한다. 발인 전까지는 빈전에 찬궁을 만들고 산릉에 도착한 후 현궁에 내릴 때까지는 영악전 또는 정자각에 찬궁을 만들었다. 왕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