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조정준 / 趙廷俊 [과학기술/의약학]
생몰년 미상. 조선 영조 때의 명의. 1728년(영조 4) 동궁의 병을 입진하였고, 1749년 우리나라 소아과 전문의서의 효시인《급유방》을 저술하였다.
조정희 / 趙定熙 [종교·철학/유학]
1845년(헌종 11)∼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휘림의 아들이다. 1863년(철종 14) 정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한림·집례를 지낸 뒤 1869년(고종 6)동지 겸 사은사행때 정사 이승보, 부사 조영하를 수행하여 서장관장령으로 청나라를 다녀왔다. 이조참의, 사간원대사간
조조 / 朝祖 [생활/주생활]
상례에서 죽은 자의 시신을 사당에 옮겨 조상을 알현하고 하직 인사를 올리도록 하는 의식. 조조는 발인에 앞서 사당에 모셔진 조상에게 하직 인사를 올리는 의식이다. <주자가례>의 상례 절차에 의하면 발인 하루 전에 빈소에 있던 영구를 사당으로 옮겨 조상을 뵙는 조조의를
조조잡기놀이 / 曹操─ [생활/민속]
여러 사람이 각각 괘를 들고 둘러앉아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간웅(奸雄) 조조를 찾아내어 벌을 주는 아이들놀이. 놀이방법은, 사람수대로 마련한 종이쪽지에 조조를 비롯하여 유현덕(劉玄德)·제갈량(諸葛亮)·한신(韓信)·장량(張良)·조자룡(趙子龍)·관우(關羽)와 같은
조종도 / 趙宗道 [종교·철학/유학]
1537(중종 32)∼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언, 어머니는 강로의 딸이다. 정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58년(명종 13) 생원시에 합격한 뒤 천거로 안기도찰방이 되었다. 이 때 이황의 문하생들인 유성룡·김성일 등과 교유하였다. 양지현감
조종필 / 趙鐘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40∼?). 1874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형조참판·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정부당상·태의원경·궁내부특진관이 되고 각 도의 관찰사를 두루 역임하였다. 1901년에는 정헌대부 정2품에 승진되었다.
조종현 / 趙宗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1∼1800). 대사간·대사성·대사헌을 지냈고, 시파의 탄핵으로 삭탈 당했다가 재 등용 되었다.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함경도관찰사·병조·형조·공조의 판서 등을 역임하였고, 한성부판윤 때 호적단자 소실사건으로 포천에 유배되었다. 이후 판중추부
조준 / 趙浚 [종교·철학/유학]
1346(충목왕 2)∼1405(태종 5). 여말선초 때 문신. 인규의 증손, 아버지는 덕유이다. 아들 대림이 태종의 둘째딸 경정공주와 혼인, 태종과는 사돈이 된다. 판문하부사, 좌정승, 영의정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정도전의 ≪조선경국전≫ 및 ≪경제문감≫ 편찬에 영향을
조준도 / 趙遵道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지, 어머니는 권회의 딸이다. 재종숙인 개에게 입양되었으며, 김언기의 문인이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에는 고을사람들과 함께 창의하고 사재를 털어 군수물자를 조달하였고, 1629년 행의로
조중우 / 趙重遇 [종교·철학/유학]
미상~1720(경종 즉위년). 조선 후기 유생. 1720년(경종 즉위년) 조중우는 왕의 생모인 희빈장씨가 경종이 왕위를 계승한지 오래되었음에도 아직까지 서인의 지위에 있다며 작호를 더하기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러자 승지 홍치중‧권엽‧한중희‧홍계적‧윤석래 등이 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