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유한당언행실록 / 柳閑堂言行實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유한당 권씨(柳閑堂權氏)가 기록한 언행록. 1책. 필사본. 김양선(金良善) 소장본으로, 1983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지면은 ‘중앙은행’이라 쓴 괘지를 사용하였고, 해서체로 되어 있다. 유한당 권씨는 이벽(李霹)의 부인이며, 천주교
유한소 / 兪漢蕭 [역사/조선시대사]
1718년(숙종 44)∼1769년(영조 45).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여인(汝人), 본관은 기계(杞溪)이다. 1740년(영조 16)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시강원설서‧사헌부지평 등을 지냈다. 1749년(영조 25) 승지로 있을 때 사도세자의 일을 보고하지 않
유한준 / 兪漢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장가·서화가(1732∼1811). 영조 때 김포군수와 형조참의를 지냈다. 당대에 뛰어난 문장가로 손꼽혔으며 저서로 《저암집》이 있다. 그림에 대한 재능이 있었다고 하며 당시 화가들의 그림에 제발문을 많이 썼다.
유한집 / 幽閒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시인 홍원주의 시「구호16영」·「몽귀」등을 수록한 시집. 1권 1책(37장). 목활자본. 표지에는 ‘幽閒集(유한집)’이라 쓰고 책표지 안의 서문 머리에는 ‘공인홍씨시집’이라고 되어 있다. 서문은 사위 이대우가 1854년(철종 5)에 썼고, 발문은 없다. 5
유항선생시집 / 柳巷先生詩集 [언론·출판]
한유(1333-1384). 목판본, 불분권 1책 선장본. 불분권 1책이다. 제1장의 1행 첫머리에 '류항선생시집'이라는 권수제가 있고 제2행 하반부에 '양촌 권근선생비점'이란 기록, 이하 32장 반에 걸쳐 147제 218수의 시가 실려 있다. 시체별로 5언 절구 15수
유향소 / 留鄕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에 악질 향리를 규찰하고 향풍을 바로잡기 위해 지방의 품관들이 조직한 자치기구. 고려 말기에 향리 신분으로서 군공으로 첨설직을 얻거나, 조선 건국과 더불어 중앙관계에 진출해 관원이 된 자들은 중앙에 머무를 필요성이 없어졌을 때 향촌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들
유현시 / 柳顯時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667∼1752). 45세 때 생원시에 장원하였으나 대과를 포기하고 후진교육에 힘썼는데, 66세에 안동부의 추천으로 안동부내 도훈장이 되었고, 1749년 수직으로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만년에 《심경》, 《근사록》을 연구하였다. 저서는《호와유고》가
유형원 / 柳馨遠 [종교·철학/유학]
1622-1673. 조선 현종 때의 실학자. 1654년 과거에 급제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야인으로 학문연구에 전념하였다. 학문적 관심은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측면에 있었다. 실사의 문제와 부편적 인도로서의 천리를 문제를 조화시키려고 하였다. 저서에 <반계수록
유호서원 / 柳湖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에 있었던 서원. 정종로(鄭宗魯, 1738∼1816)의 행장에 따르면, 유호서원(柳湖書院)은 채응린(蔡應麟, 1529∼1584)과 곽재겸(郭再謙, 1547∼1615)을 제향하기 위해 1784년(정조 8)에 지묘동에 건립한 유호리사(柳湖里祠)에서 출
유호인 / 兪好仁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494(성종 25). 조선 전기의 문신·문장가. 음의 아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62년(세조 8)에 생원, 1474년(성종 5)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봉상시부봉사를 거쳐, 1478년 사가독서한 뒤 1480년에 거창현감으로 부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