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총 74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초은집 / 樵隱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이인복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초은집(樵隱集)』에 관한 기록은 『용재총화』 권8, 『대동운부군옥』의 「찬집서적목록(纂輯書籍目錄)」,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고려사』 권112 「이인복열전」에는 문집에 관한
촌중사시가 / 村中四時歌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달충(李達衷)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 각 14구. 『동문선』 권7에 실려 있고, 작자의 유고를 모은 『제정집(霽亭集)』에도 전한다. 원제목은 ‘김회옹남귀작촌중사시가이증(金晦翁南歸作村中四時歌以贈)’이다. 이 작품은 김회옹이 남으로 돌아갈 때에 지어준 시로,
총석정 / 叢石亭 [문학/고전시가]
고려 공민왕 때 기철(奇轍)이 지었다는 가요. 작품은 전하지 않고 노래의 내력만이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에 따르면 작자는 원나라 순제(順帝)의 제2황후인 기황후의 오라비로서 일찍이 원나라에서 평장(平章) 벼슬을 하다
최상국집 / 崔相國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최자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최자의 문집명이 『최상국집(崔相國集)』으로 기록된 예는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에 보인다. 8권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고려사』 권102 「최자열전」에는 “가집(家集) 10권이 세상에 전한다.
최영 / 崔瑩 [종교·철학/유학]
1316년(충숙왕 3)∼1388년(우왕 14). 고려 후기의 명장. 최유청의 5세손, 아버지는 최원직이다. 육도도순찰사, 판삼사사, 철원부원군, 문하시중, 판문하부사, 팔도도통사 등을 역임하였다.
최영장군설화 / 崔瑩將軍說話 [문학/구비문학]
고려 말기의 명장 최영에 관한 설화. 최영은 무장으로서 수많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고 간신의 발호를 징치한 인물로서, 그의 행적은 『고려사』 열전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같은 최영장군의 실제 행적과는 다른 설화가 세간에 전승되는데, 인천광역시 강화군과 강원도 영월군
최유선 / 崔惟善 [종교·철학/유학]
984 ∼1075(문종 29). 고려 중기의 문신. 충의 아들이다. 1030년(현종 21) 과거에 급제하여 7품으로 한림원에 들어갔다. 그 뒤 1047년(문종 1) 어사잡단을 거쳐 1052년 형부상서를 역임했다. 판상서예부사를 거쳐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문하시중이
최자 / 崔滋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명유(名儒)인 문헌공 최충(崔冲)의 6대손이다. 우복야 최민(崔敏)의 아들이다. 1212년(강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상주사록(尙州司錄)이 되었다. 치적이 우수하여 국자감 학유(國子監學諭)에 이르렀
최해 / 崔瀣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예산은자전』, 『졸고천백』 등을 저술한 문인. 최치원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민부의랑(民部議郎) 백륜(伯倫)이며, 어머니는 대호군(大護軍) 임모(任某)의 딸이다. 최해는 평생을 시주(詩酒)로 벗을 삼았다. 이제현(李齊賢)·민사평(閔思平)과 가까이 사귀었다. 성품
춘망부 / 春望賦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부(賦). 『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 권1과 『동문선 東文選에』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의 내용은 앞부분에 봄의 여러 경치와 흥겨움을 묘사하였다. 춘망 중에서 이별의 한(恨)이요, 관산(關山) 밖의 출정간 군사나 귀양가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