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위계서원 / 葦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석마리에 있는 서원. 1713년(숙종 3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인형(李仁亨)·이의형(李義亨)·이익인(李翊仁)·이현(李顯)·이응성(李應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위남입촉기 / 渭南入蜀記 [언론·출판]
저자 육유(1125-1210). 필사본. 불분권 1책. 표제는 "입촉기 전"이고, 권두제는 "위남입촉기"이다. 권두제 아래에는 "산음 육유"라고 적혀 있다. <입촉기>는 육유가 1170년 윤5월 18일부터 그해 10월 27일까지 158일간 고향 산음을 떠나 임지인 기주
위미 / 位米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전세조공물을 쌀로 내게 하던 부세제도. 조선 전기에는 전세를 중앙으로 수송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그 일부를 쌀이나 콩 대신에 명주(細布)·모시(苧布)·면포·정포 등으로 내게 하고, 그것을 전공 또는 전세조공물이라고 하였다. 대동법을 실시한 뒤 이 전공을
위백규 / 魏伯珪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27∼1798). 천거로 옥과현감·장원서별제·경기전령 등을 지냈다. 경세론은 물론 경학·지리·역사·의학 등에 밝아 실학자적인 면모를 갖추었다. 저서로 《정현신보》·《본초강목》·《고금》등이 있다. 죽천사에 배향되었다.
위성공신 / 衛聖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임진왜란 때 광해군 호종에 공을 세운 관원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613년(광해군 5) 모두 80명을 공신으로 책봉하였는데 1등은 최흥원·정탁·윤두수·이항복·윤자신·심충겸 등 10명으로 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위성공신이라 하였고, 2등 17명은 갈충진
위수 / 衛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에 소속된 종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우에 각 1인씩이었다. 무관직으로 왕세자를 배호하며 입직 1인이 세자강서에 참석하였다. 참하는 사만 12∼36삭(朔)을 채운 뒤 비로소 승품하여 위수가 될 수 있었다.
위씨세대록 / 魏氏世代錄 [문학/한문학]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27권 27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주인공 위형이라는 승상이 5남 3녀를 낳아 성취시키는 과정과, 둘째 아들 세영이 대원수가 되어 출전하는 영웅담을 엮어 놓았다. 그러면서도 일부다처 속에서 부인들 사이에 갈등이 없이 외부 요인에 의해서
위씨절행록 / 衛氏節行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 여성의 정절을 주제로 한 윤리소설이다. 이 작품에 있어서 여성의 절행은 여주인공인 위씨가 동서인 주씨의 모해를 입어 시가에서 쫓겨나와, 친정 부모들의 개가 권유를 거부하고, 산사로 들어가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정
위원향교 / 渭原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현재의 자강도) 위원군 위원면 구읍동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교관실(敎官室)·제기고(祭器庫
위유가 / 慰諭歌 [문학/고전시가]
1867년경에 시누이가 올케를 비판하며 지은 규방가사. 4음보 1행의 가사체를 기준으로 45행(2음보의 2행이 있음)이고, 서사(7행)·본사(34행)·결사(4행)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윤학민(1857∼1939)이 필사한 52장본과 윤석주(1883∼1953)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