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어진익 / 魚震翼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운해 증손, 할아버지는 몽린, 아버지는 한명, 어머니는 권숙지의 딸이다. 여주목사, 충청도관찰사, 병조참의, 좌승지, 강원도관찰사,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언간 / 諺簡 [문학]
조선시대 한글 편지. 언(諺)은 언문(諺文)으로서 중국 문자인 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추어 부르는 의미가 아닌 '한글'의 다른 이름이다.
언간독 / 諺簡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 한글 편지의 서식(書式)을 모은 책. 1책. 한글목판본. 상편에서는 일반 가족과 이웃 사이, 하편에서는 신부가 올리는 문안지(問安紙) 계통을 주로 다루었다. 편지마다 봉투의 서식을 앞에 싣고, 다음에 사연의 본문과 맺음말을 격식에 따라 예문을 제시하였다. 편
언문지 / 諺文志 [언어/언어/문자]
1824년(순조 24) 유희가 지은 한글 및 한자음 관계 연구서. 유희는 박성원이 『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의 범례와 책 끝에서 언급한 ‘언문초중종삼성변(諺文初中終三聲辨)’ 등을 바탕으로 하여, 『언문지』 전반에 걸쳐 한자음을 제대로 표기할 수 있는 한글이
언사 / 諺詞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이운영과 그의 아들 이희현의 국문가사집. 조선 후기 경종(景宗)~정조조(正祖朝)의 문신 이운영(李運永, 1722~1794)의 「착정가(鑿井歌)」·「순창가(淳昌歌)」·「수로조천행선곡(水路朝天行船曲)」·「초혼사(招魂詞)」·「세장가(說場歌)」·「임천별곡(林
언양향교 / 彦陽鄕校 [교육/교육]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처음에는 반월산(半月山) 아래에 세웠다가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고, 그 뒤 화장산 아래로 옮겼다가 또다시 현위
언양현호적대장 / 彦陽縣戶籍臺帳 [사회/촌락]
조선 후기 호적식년을 당하여 경상도 언양현에서 관내의 호구를 조사하여 작성한 호적책.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울산광역시 울주군청에 있다. 현재 7개 식년의 것 9책이 전하고 있는데, 모두 필사본으로 기재방식은 조선시대의 호적대장 일반의 양식을 보이고 있는데, 1
언음첩고 / 諺音捷考 [언어/언어/문자]
1846년(헌종 12)에 시곡병부(詩谷病夫) 또는 석범(石帆)이 우리말의 소리나 한자음을 구별하기 위한 편람으로 만든 책. 2권 1책. 필사본. 상권의 끝에는 ㄷ종성고(終聲考)라 하여 ≪훈몽자회≫·≪동의보감≫·≪소학언해≫·≪사성통해≫에서 뽑은 ‘ㄷ’받침으로 끝나는 단어
언해두창집요 / 諺解痘瘡集要 [언론·출판/출판]
1601년(선조 34)에 허준(許浚)이 왕의 명을 받아 지은 것을 1608년에 내의원(內醫院)에서 발간한 의서(醫書). 2권 2책. 목판본. 이 책은 상권에 두창의 원인·예방법 및 그 증상, 그리고 이들의 해독법(解毒法)에 대하여 설명하고, 하권에는 두창에서 일어나는
언해태산집요 / 諺解胎産集要 [언론·출판/출판]
1608년(선조 41)에 허준(許浚)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 간행한 산부인과 계통의 의서. 1권 1책. 목판본. 원래 1434년(세종 16)에 노중례가 편찬한 ≪태산요록≫ 2권을 개편, 언해한 것으로서 주로 부인과에 속하는 잉태에서부터 출산과 유아보호에 이르기까지의